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사회과 교육과정 시기별 학술 담론의 특징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5518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outh Korea follows a national standard curriculum. Since the 1946 syllabus period, the national standard curriculum has undergone 10 revisions, which have brought about many changes in the field of education, such as the distribution of new textbooks and changes in the class hours for each subject. Changes in the curriculum are interconnected with the different contexts and circumstances that affect each subject, revealing various issues and discourses. Social studies in particular generates more complex and varied discourses than other subjects do, owing to its essenti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abstractness of its educational goals and the diversity of its background disciplines.
      Since the 7th revision, changes in the curriculum have revealed a variety of discourses within the field of social studies. This is because the national curriculum's content began to act as a practical educational standard and became more important after the 7th revision. Additionally, starting in the 2000s,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studies that dealt with the curriculum, which began to generate a variety of discourses. This increase in the number of discourses has made it more difficult to understand the circumstances that currently affect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creating more confusion among the schools that actually use the curriculum.
      As such, there is a need to comprehensively and systematically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courses that emerged during each social studies curriculum revision period. This is because a meta-examination of these various discourses can reveal the major issues we are currently facing, and can provide useful lessons and perspectives for future curriculum revisions. Academic discourses contain the widest variety of issues that surround social studies curricula, and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se discourses also has great value as a subject of analysis.
      As for methodology, text mining techniques have been used to perform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analyses of academic discourses. Text mining is a text analysis technique that has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and is useful for quantitatively processing large amounts of text data. This study has employed text mining techniques such as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which is suitable for revealing latent discourse topics,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which is suitable for understanding the semantic structures of discourse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use text mining techniques to perform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eatures that appear in academic discourses regarding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during each curriculum revision period, starting from the 7th revision. To this en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chosen.

      Research Question 1. What are the topics and semantic structural features of academic discourses regarding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light of the changes that occurred in the national social studies curriculum?
      1-1. What are the topics and semantic structural features of academic discourses regarding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during the 7th curriculum revision period?
      1-2. What are the topics and semantic structural features of academic discourses regarding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during the 2007 curriculum revision period?
      1-3. What are the topics and semantic structural features of academic discourses regarding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during the 2009 curriculum revision period?
      1-4. What are the topics and semantic structural features of academic discourses regarding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during the 2015 curriculum revision period?

      Academic journal papers on the topic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were collected from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website, and a filtering process was performed to ultimately select 1,471 papers as samples for analysis. In the analysis results, 18 latent topics were discovered through latent Dirichlet allocation, and the changes in each topic according to the curriculum period were identified.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used to find the network structure of core keywords for each curriculum period. Based on the analysis conclusions, the following arguments can be made.
      First, there were 4 topics that were always in the top 7 in terms of appearance ratio for each curriculum period: "textbook content and composition," "instruction/learning methods and strategies," "goals and nature of social studies," and "integration and sequence." This shows researchers' interest and continued efforts in the area of applying and implementing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it has great significance in confirming the common academic concerns and research topics in the three fields of general society, history, and geography.
      Second, during the 7th curriculum period, the salient topics were "classroom instruction and teacher expertise" and "regional learning and regionalization." During the 2007 revised curriculum period, these wer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olitical education and law-related education," and "evaluation and scholastic ability testing." During the 2009 revised curriculum period, the main topics were "territorial disputes and Dokdo Islets education," "achievement standards and competenc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During the 2015 revised curriculum period, these were "history textbook description and standardization," "achievement standards and competency," and "historical education and historical awareness." Thus, it can be seen that the academic discourses o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responded sensitively to national and societal issues, and they actively reflected these issues as major academic topics. That is, it was confirmed through the academic discourses that social studies has a strong nature of political subject matter.
      Third, the keywords that always had high network centrality in each curriculum period included the words "textbook," "social studies", "learning", "teacher", "class", "geography", "student", "goal", "history", "composition", and "narrative". These words can be considered important keywords in academic discourses regarding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However,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same keywords formed different semantic structures in each curriculum period. Typical examples of this include "integr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geography education." Even for the same concepts and discourse, the focus of the discussion varied according to the individual's interests and curriculum context. This implies that the structures of the various issues and disagreements that surround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are not of a nature that can be easily resolved, and it also confirms that the related discussions are gradually developing various offshoots.
      Fourth, "textbooks" are an important subject and concern in academic discourses o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Compared to other subjects, social studies includes a large number of electives. Additionally, there are many types of textbooks, and a variety of societal issues are included in the textbook content. Because of these characteristics, "textbooks" can be considered very important. By contrast, the suppression of curriculum discussions in textbooks gives rise to the concern that various discourses may be excluded from academic debate, and this is a phenomenon that curriculum researchers must guard agains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nd discuss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18 topics and core keywords that were discovered in this study, we find that discussions have been lacking in the academic debate regarding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academic interest must be shown toward these discussions in the future. Scholastic organizations must make an effort to take an academic interest in the topics that have not emerged as prominent content such as “social & culture education”, “citizenship education”, and allow for new and rich discourses to be conducted.
      Second, the academic discourses o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reacted sensitively to national and societal issues during each period. This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for researchers to discuss the political and academic issues regarding the curriculum from a more balanced perspective. Because the discourses that are represented by text have the power to bring about changes in the beliefs, attitudes, and behavior of the people who read the text, the researchers who create academic discourses must discuss political and academic issues appropriately from a balanced perspective.
      Third, it is necessary to collect in-depth arguments and opinions on relevant academic issues when revising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or creating policies. The specific semantic structures that formed around the same core keywords were different in each curriculum period, which shows that there is a need for a better process of gathering various opinions for curriculum revision and appropriately debating these opinions.
      In the future, an expanded understanding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can be obtained by performing discourse-related studies that use a greater variety of text data, making comparisons between different countries, and using the latest and proven text mining techniques.
      번역하기

      South Korea follows a national standard curriculum. Since the 1946 syllabus period, the national standard curriculum has undergone 10 revisions, which have brought about many changes in the field of education, such as the distribution of new textbooks...

      South Korea follows a national standard curriculum. Since the 1946 syllabus period, the national standard curriculum has undergone 10 revisions, which have brought about many changes in the field of education, such as the distribution of new textbooks and changes in the class hours for each subject. Changes in the curriculum are interconnected with the different contexts and circumstances that affect each subject, revealing various issues and discourses. Social studies in particular generates more complex and varied discourses than other subjects do, owing to its essenti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abstractness of its educational goals and the diversity of its background disciplines.
      Since the 7th revision, changes in the curriculum have revealed a variety of discourses within the field of social studies. This is because the national curriculum's content began to act as a practical educational standard and became more important after the 7th revision. Additionally, starting in the 2000s,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studies that dealt with the curriculum, which began to generate a variety of discourses. This increase in the number of discourses has made it more difficult to understand the circumstances that currently affect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creating more confusion among the schools that actually use the curriculum.
      As such, there is a need to comprehensively and systematically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courses that emerged during each social studies curriculum revision period. This is because a meta-examination of these various discourses can reveal the major issues we are currently facing, and can provide useful lessons and perspectives for future curriculum revisions. Academic discourses contain the widest variety of issues that surround social studies curricula, and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se discourses also has great value as a subject of analysis.
      As for methodology, text mining techniques have been used to perform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analyses of academic discourses. Text mining is a text analysis technique that has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and is useful for quantitatively processing large amounts of text data. This study has employed text mining techniques such as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which is suitable for revealing latent discourse topics,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which is suitable for understanding the semantic structures of discourse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use text mining techniques to perform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eatures that appear in academic discourses regarding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during each curriculum revision period, starting from the 7th revision. To this en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chosen.

      Research Question 1. What are the topics and semantic structural features of academic discourses regarding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light of the changes that occurred in the national social studies curriculum?
      1-1. What are the topics and semantic structural features of academic discourses regarding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during the 7th curriculum revision period?
      1-2. What are the topics and semantic structural features of academic discourses regarding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during the 2007 curriculum revision period?
      1-3. What are the topics and semantic structural features of academic discourses regarding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during the 2009 curriculum revision period?
      1-4. What are the topics and semantic structural features of academic discourses regarding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during the 2015 curriculum revision period?

      Academic journal papers on the topic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were collected from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website, and a filtering process was performed to ultimately select 1,471 papers as samples for analysis. In the analysis results, 18 latent topics were discovered through latent Dirichlet allocation, and the changes in each topic according to the curriculum period were identified.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used to find the network structure of core keywords for each curriculum period. Based on the analysis conclusions, the following arguments can be made.
      First, there were 4 topics that were always in the top 7 in terms of appearance ratio for each curriculum period: "textbook content and composition," "instruction/learning methods and strategies," "goals and nature of social studies," and "integration and sequence." This shows researchers' interest and continued efforts in the area of applying and implementing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it has great significance in confirming the common academic concerns and research topics in the three fields of general society, history, and geography.
      Second, during the 7th curriculum period, the salient topics were "classroom instruction and teacher expertise" and "regional learning and regionalization." During the 2007 revised curriculum period, these wer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olitical education and law-related education," and "evaluation and scholastic ability testing." During the 2009 revised curriculum period, the main topics were "territorial disputes and Dokdo Islets education," "achievement standards and competenc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During the 2015 revised curriculum period, these were "history textbook description and standardization," "achievement standards and competency," and "historical education and historical awareness." Thus, it can be seen that the academic discourses o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responded sensitively to national and societal issues, and they actively reflected these issues as major academic topics. That is, it was confirmed through the academic discourses that social studies has a strong nature of political subject matter.
      Third, the keywords that always had high network centrality in each curriculum period included the words "textbook," "social studies", "learning", "teacher", "class", "geography", "student", "goal", "history", "composition", and "narrative". These words can be considered important keywords in academic discourses regarding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However,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same keywords formed different semantic structures in each curriculum period. Typical examples of this include "integr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geography education." Even for the same concepts and discourse, the focus of the discussion varied according to the individual's interests and curriculum context. This implies that the structures of the various issues and disagreements that surround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are not of a nature that can be easily resolved, and it also confirms that the related discussions are gradually developing various offshoots.
      Fourth, "textbooks" are an important subject and concern in academic discourses o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Compared to other subjects, social studies includes a large number of electives. Additionally, there are many types of textbooks, and a variety of societal issues are included in the textbook content. Because of these characteristics, "textbooks" can be considered very important. By contrast, the suppression of curriculum discussions in textbooks gives rise to the concern that various discourses may be excluded from academic debate, and this is a phenomenon that curriculum researchers must guard agains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nd discuss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18 topics and core keywords that were discovered in this study, we find that discussions have been lacking in the academic debate regarding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academic interest must be shown toward these discussions in the future. Scholastic organizations must make an effort to take an academic interest in the topics that have not emerged as prominent content such as “social & culture education”, “citizenship education”, and allow for new and rich discourses to be conducted.
      Second, the academic discourses o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reacted sensitively to national and societal issues during each period. This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for researchers to discuss the political and academic issues regarding the curriculum from a more balanced perspective. Because the discourses that are represented by text have the power to bring about changes in the beliefs, attitudes, and behavior of the people who read the text, the researchers who create academic discourses must discuss political and academic issues appropriately from a balanced perspective.
      Third, it is necessary to collect in-depth arguments and opinions on relevant academic issues when revising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or creating policies. The specific semantic structures that formed around the same core keywords were different in each curriculum period, which shows that there is a need for a better process of gathering various opinions for curriculum revision and appropriately debating these opinions.
      In the future, an expanded understanding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can be obtained by performing discourse-related studies that use a greater variety of text data, making comparisons between different countries, and using the latest and proven text mining techniqu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는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을 편성 및 운영하고 있다. 국가 수준 교육과정은 1946년 교수요목기 이래로 총 10차례 전면 개정이 이루어졌으며, 이는 새로운 교과서의 보급, 교과별 수업 시수의 변화 등 교육 분야 전반에 걸쳐 다양한 변화를 야기하였다. 또한 교육과정의 변화는 각 교과가 처한 상이한 맥락 및 상황 등과 맞물리면서 다양한 이슈와 담론들을 표출시키는 작용을 한다. 특히 사회과는 교육 목표의 추상성과 배경 학문의 다양성이라는 교과의 본질적 특성으로 인해 다른 교과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담론들을 생성시킨다.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라 사회과 내에서 다양한 담론들이 표출되기 시작한 시기는 특히 7차 교육과정 이후부터다. 그 이유는 7차 때부터 국가 교육과정의 내용이 실질적인 교육 기준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그 중요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사회과 내에서도 2000년대부터 교육과정을 소재한 연구물들의 양적인 팽창이 이루어지면서 다양한 담론들이 생성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다양한 담론들의 양적인 팽창은 현재 사회과 교육과정이 처한 상황에 대한 이해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며, 이는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학교 현장을 더욱 혼랍스럽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회과 교육과정의 개정 시기별로 드러난 담론들의 특징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성찰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양한 담론에 대한 메타적인 성찰은 현재 우리가 직면한 주요 쟁점 사항들을 드러내고, 향후 진행될 교육과정 개정 작업에 참고가 될만한 유용한 시사점과 관점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학술 담론은 사회과 교육과정을 둘러싼 다양한 이슈들을 가장 폭넓게 담고 있으며, 담론의 대표성이라는 측면에서도 분석 대상으로서의 가치가 크다.
      본 연구는 방법론적 차원에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학술 담론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텍스트 마이닝은 최근 널리 활용되는 텍스트 분석 기법으로 대량의 텍스트 자료를 계량적으로 처리하는 데 강점을 갖고 있다. 그 중에서도 잠재된 담론 주제들을 드러내는데 적합한 잠재 디리클레 할당(LDA) 및 담론들의 의미 구조를 파악하는 데 적합한 의미 연결망 분석 기법을 활용하였다.
      즉, 본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사회과 교육과정을 주제로 한 학술 담론들이 7차 이후의 교육과정 개정 시기별로 어떤 특징을 나타내고 있는가를 비교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 1. 국가 교육과정의 변천에 따른 사회과 교육과정의 학술 담론 주제와 의미 구조의 특징은 무엇인가?
      1-1. 7차 교육과정 시기 사회과 교육과정의 학술 담론 주제와 의미 구조의 특징은 무엇인가?
      1-2.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사회과 교육과정의 학술 담론 주제와 의미 구조의 특징은 무엇인가?
      1-3. 2009 개정 교육과정 시기 사회과 교육과정의 학술 담론 주제와 의미 구조의 특징은 무엇인가?
      1-4. 2015 개정 교육과정 시기 사회과 교육과정의 학술 담론 주제와 의미 구조의 특징은 무엇인가?

      이에 본 연구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웹사이트에서 사회과 교육과정을 주제로 한 학술지 게재 논문들을 수집하고, 필터링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1,471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잠재 디리클레 할당을 통해 총 18개의 잠재된 토픽을 발견하였으며, 각 토픽이 교육과정 시기에 따라 어떤 변화 양상을 보이는가를 파악하였다. 의미 연결망 분석으로는 각 교육과정 시기별 핵심 키워드들의 연결망 구조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및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내용 및 구성’, ‘교수·학습 방법 및 전략’, ‘사회과 목표 및 성격’, ‘통합 및 계열성’의 네 가지는 각 교육과정 시기마다 항상 7위권 내의 출현 비중을 보인 토픽들이다. 이는 사회과 교육과정의 적용 및 실행 영역에 관한 연구자들의 관심과 지속적인 노력을 확인한 것이며, 일반사회, 역사, 지리 세 분과 영역의 공통적인 학술적 관심사와 탐구 주제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둘째, 7차 교육과정 시기에는 ‘교실수업 및 교사전문성’과 ‘지역학습 및 지역화’가,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에는 ‘다문화교육 및 세계시민교육’, ‘정치교육 및 법교육’, ‘평가 및 수능’이, 2009 개정 교육과정 시기에는 ‘영토분쟁 및 독도교육’, ‘성취기준 및 역량’, ‘다문화교육 및 세계시민교육’이, 2015 개정 교육과정 시기에는 ‘역사교과서 서술 및 국정화’, ‘성취기준 및 역량’, ‘역사교육 및 역사인식’ 등이 두드러진 토픽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사회과 교육과정의 학술 담론은 국가·사회적 이슈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이를 주요 학술적 주제로서 적극 반영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즉, 사회과는 정책적 교과의 성격이 짙다는 측면을 학술 담론을 통해서도 확인하였다.
      셋째, ‘교과서’, ‘사회과’, ‘학습’, ‘교사’, ‘수업’, ‘지리’, ‘학생’, ‘목표’, ‘역사’, ‘구성’, ‘서술’ 등은 각 교육과정 시기마다 항상 연결중심성이 높은 개념들로, 사회과 교육과정의 학술 담론을 구성하는 중요 키워드이다. 하지만 동일한 키워드일지라도 교육과정 시기별로 서로 다른 의미 구조를 형성하고 있음을 동시에 확인하였다. 대표적으로 ‘통합’, ‘다문화교육’, ‘지리교육’ 등이 있었다. 즉, 동일한 현상과 담론을 놓고도 각자의 이해관심과 교육과정적 맥락에 따라 논의의 초점은 달라지고 있었다. 이는 사회과 교육과정을 둘러싼 여러 쟁점과 갈등 구조가 단편적으로 해결될 성격의 것이 아님을 시사하며, 동시에 점차 다양한 갈래로 관련 논의가 확장되고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넷째, 사회과 교육과정의 학술 담론에서 ‘교과서’는 중요 소재이자 관심사이다. 특히 사회과는 다른 교과에 비해 선택 과목의 수가 많아 발행되는 교과서의 종류도 많고, 다양한 사회적 이슈들을 교과서 내용으로 포함시킨다는 특징 때문에 ‘교과서’의 중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교과서에 매몰된 교육과정 논의는 다양한 담론들이 학술적 공론장에서 배제될 수 있다는 우려를 낳으며, 이는 교육과정 연구자들이 경계해야 할 현상으로 보인다.
      분석 결과 및 논의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 발견된 18개의 토픽과 핵심 키워드들을 토대로 사회과 교육과정의 학술 공론장에서 논의가 부족했던 담론은 무엇인지 파악하고, 향후 이에 대한 학술적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사회·문화교육’, ‘시민교육’ 등 두드러진 토픽으로 나타나지 않은 주제들에 대한 학술적 관심과 함께 보다 다양하고 새로운 담론들이 풍부하게 논의될 수 있도록 학문공동체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사회과 교육과정의 학술 담론들이 시기별 국가·사회적 이슈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점은 연구자들이 보다 균형잡힌 시각으로 교육과정에 대한 정책적 이슈와 학문적 이슈들을 다룰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텍스트로 표상된 담론은 그것을 접하는 사람들의 신념과 태도, 행동의 변화를 불러일으키는 힘을 갖기 때문에 학술 담론의 생산 주체인 연구자들은 균형 잡힌 시각으로 정책적 이슈들과 학문적 이슈들을 적절히 다룰 필요성이 있다.
      셋째, 사회과 교육과정의 개정 또는 정책 입안 시에 관련된 학술적 쟁점 사항들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와 의견들을 다각도로 수렴할 필요가 있다. 각 교육과정 시기별로 동일한 주제와 개념을 둘러싸고 논의되는 담론 구조가 다르다는 점은 다양한 의견들의 청취와 이에 대한 심도 깊은 분석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다양한 의견 수렴 과정과 이를 적절하게 공론화시키는 작업은 향후 더 나은 교육과정 개정을 위해 필수적으로 요청된다고 할 수 있다.
      향후 보다 다양한 텍스트 자료의 활용 및 서로 다른 국가들 간의 비교, 그리고 새롭게 검증된 최신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담론 연구들이 수행되어 사회과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의 깊이와 폭이 더욱 넓어지길 기대한다.
      번역하기

      우리나라는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을 편성 및 운영하고 있다. 국가 수준 교육과정은 1946년 교수요목기 이래로 총 10차례 전면 개정이 이루어졌으며, 이는 새로운 교과서의 보급, 교과별 수업 ...

      우리나라는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을 편성 및 운영하고 있다. 국가 수준 교육과정은 1946년 교수요목기 이래로 총 10차례 전면 개정이 이루어졌으며, 이는 새로운 교과서의 보급, 교과별 수업 시수의 변화 등 교육 분야 전반에 걸쳐 다양한 변화를 야기하였다. 또한 교육과정의 변화는 각 교과가 처한 상이한 맥락 및 상황 등과 맞물리면서 다양한 이슈와 담론들을 표출시키는 작용을 한다. 특히 사회과는 교육 목표의 추상성과 배경 학문의 다양성이라는 교과의 본질적 특성으로 인해 다른 교과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담론들을 생성시킨다.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라 사회과 내에서 다양한 담론들이 표출되기 시작한 시기는 특히 7차 교육과정 이후부터다. 그 이유는 7차 때부터 국가 교육과정의 내용이 실질적인 교육 기준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그 중요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사회과 내에서도 2000년대부터 교육과정을 소재한 연구물들의 양적인 팽창이 이루어지면서 다양한 담론들이 생성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다양한 담론들의 양적인 팽창은 현재 사회과 교육과정이 처한 상황에 대한 이해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며, 이는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학교 현장을 더욱 혼랍스럽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회과 교육과정의 개정 시기별로 드러난 담론들의 특징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성찰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양한 담론에 대한 메타적인 성찰은 현재 우리가 직면한 주요 쟁점 사항들을 드러내고, 향후 진행될 교육과정 개정 작업에 참고가 될만한 유용한 시사점과 관점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학술 담론은 사회과 교육과정을 둘러싼 다양한 이슈들을 가장 폭넓게 담고 있으며, 담론의 대표성이라는 측면에서도 분석 대상으로서의 가치가 크다.
      본 연구는 방법론적 차원에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학술 담론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텍스트 마이닝은 최근 널리 활용되는 텍스트 분석 기법으로 대량의 텍스트 자료를 계량적으로 처리하는 데 강점을 갖고 있다. 그 중에서도 잠재된 담론 주제들을 드러내는데 적합한 잠재 디리클레 할당(LDA) 및 담론들의 의미 구조를 파악하는 데 적합한 의미 연결망 분석 기법을 활용하였다.
      즉, 본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사회과 교육과정을 주제로 한 학술 담론들이 7차 이후의 교육과정 개정 시기별로 어떤 특징을 나타내고 있는가를 비교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 1. 국가 교육과정의 변천에 따른 사회과 교육과정의 학술 담론 주제와 의미 구조의 특징은 무엇인가?
      1-1. 7차 교육과정 시기 사회과 교육과정의 학술 담론 주제와 의미 구조의 특징은 무엇인가?
      1-2.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사회과 교육과정의 학술 담론 주제와 의미 구조의 특징은 무엇인가?
      1-3. 2009 개정 교육과정 시기 사회과 교육과정의 학술 담론 주제와 의미 구조의 특징은 무엇인가?
      1-4. 2015 개정 교육과정 시기 사회과 교육과정의 학술 담론 주제와 의미 구조의 특징은 무엇인가?

      이에 본 연구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웹사이트에서 사회과 교육과정을 주제로 한 학술지 게재 논문들을 수집하고, 필터링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1,471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잠재 디리클레 할당을 통해 총 18개의 잠재된 토픽을 발견하였으며, 각 토픽이 교육과정 시기에 따라 어떤 변화 양상을 보이는가를 파악하였다. 의미 연결망 분석으로는 각 교육과정 시기별 핵심 키워드들의 연결망 구조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및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내용 및 구성’, ‘교수·학습 방법 및 전략’, ‘사회과 목표 및 성격’, ‘통합 및 계열성’의 네 가지는 각 교육과정 시기마다 항상 7위권 내의 출현 비중을 보인 토픽들이다. 이는 사회과 교육과정의 적용 및 실행 영역에 관한 연구자들의 관심과 지속적인 노력을 확인한 것이며, 일반사회, 역사, 지리 세 분과 영역의 공통적인 학술적 관심사와 탐구 주제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둘째, 7차 교육과정 시기에는 ‘교실수업 및 교사전문성’과 ‘지역학습 및 지역화’가,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에는 ‘다문화교육 및 세계시민교육’, ‘정치교육 및 법교육’, ‘평가 및 수능’이, 2009 개정 교육과정 시기에는 ‘영토분쟁 및 독도교육’, ‘성취기준 및 역량’, ‘다문화교육 및 세계시민교육’이, 2015 개정 교육과정 시기에는 ‘역사교과서 서술 및 국정화’, ‘성취기준 및 역량’, ‘역사교육 및 역사인식’ 등이 두드러진 토픽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사회과 교육과정의 학술 담론은 국가·사회적 이슈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이를 주요 학술적 주제로서 적극 반영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즉, 사회과는 정책적 교과의 성격이 짙다는 측면을 학술 담론을 통해서도 확인하였다.
      셋째, ‘교과서’, ‘사회과’, ‘학습’, ‘교사’, ‘수업’, ‘지리’, ‘학생’, ‘목표’, ‘역사’, ‘구성’, ‘서술’ 등은 각 교육과정 시기마다 항상 연결중심성이 높은 개념들로, 사회과 교육과정의 학술 담론을 구성하는 중요 키워드이다. 하지만 동일한 키워드일지라도 교육과정 시기별로 서로 다른 의미 구조를 형성하고 있음을 동시에 확인하였다. 대표적으로 ‘통합’, ‘다문화교육’, ‘지리교육’ 등이 있었다. 즉, 동일한 현상과 담론을 놓고도 각자의 이해관심과 교육과정적 맥락에 따라 논의의 초점은 달라지고 있었다. 이는 사회과 교육과정을 둘러싼 여러 쟁점과 갈등 구조가 단편적으로 해결될 성격의 것이 아님을 시사하며, 동시에 점차 다양한 갈래로 관련 논의가 확장되고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넷째, 사회과 교육과정의 학술 담론에서 ‘교과서’는 중요 소재이자 관심사이다. 특히 사회과는 다른 교과에 비해 선택 과목의 수가 많아 발행되는 교과서의 종류도 많고, 다양한 사회적 이슈들을 교과서 내용으로 포함시킨다는 특징 때문에 ‘교과서’의 중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교과서에 매몰된 교육과정 논의는 다양한 담론들이 학술적 공론장에서 배제될 수 있다는 우려를 낳으며, 이는 교육과정 연구자들이 경계해야 할 현상으로 보인다.
      분석 결과 및 논의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 발견된 18개의 토픽과 핵심 키워드들을 토대로 사회과 교육과정의 학술 공론장에서 논의가 부족했던 담론은 무엇인지 파악하고, 향후 이에 대한 학술적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사회·문화교육’, ‘시민교육’ 등 두드러진 토픽으로 나타나지 않은 주제들에 대한 학술적 관심과 함께 보다 다양하고 새로운 담론들이 풍부하게 논의될 수 있도록 학문공동체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사회과 교육과정의 학술 담론들이 시기별 국가·사회적 이슈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점은 연구자들이 보다 균형잡힌 시각으로 교육과정에 대한 정책적 이슈와 학문적 이슈들을 다룰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텍스트로 표상된 담론은 그것을 접하는 사람들의 신념과 태도, 행동의 변화를 불러일으키는 힘을 갖기 때문에 학술 담론의 생산 주체인 연구자들은 균형 잡힌 시각으로 정책적 이슈들과 학문적 이슈들을 적절히 다룰 필요성이 있다.
      셋째, 사회과 교육과정의 개정 또는 정책 입안 시에 관련된 학술적 쟁점 사항들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와 의견들을 다각도로 수렴할 필요가 있다. 각 교육과정 시기별로 동일한 주제와 개념을 둘러싸고 논의되는 담론 구조가 다르다는 점은 다양한 의견들의 청취와 이에 대한 심도 깊은 분석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다양한 의견 수렴 과정과 이를 적절하게 공론화시키는 작업은 향후 더 나은 교육과정 개정을 위해 필수적으로 요청된다고 할 수 있다.
      향후 보다 다양한 텍스트 자료의 활용 및 서로 다른 국가들 간의 비교, 그리고 새롭게 검증된 최신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담론 연구들이 수행되어 사회과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의 깊이와 폭이 더욱 넓어지길 기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 2. 연구 문제 4
      • 3. 연구의 의의 및 한계 5
      • Ⅰ. 서 론 1
      •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 2. 연구 문제 4
      • 3. 연구의 의의 및 한계 5
      • Ⅱ. 이론적 배경 9
      • 1. 담론과 텍스트 9
      • 1) 담론의 의미와 성격 9
      • 2) 담론과 텍스트의 관계 12
      • 3) 학술 담론과 학술 논문 텍스트 14
      • 2. 사회과 교육과정의 담론 지형 17
      • 1) 사회과 교육과정 담론 내용의 이해 17
      • 2) 사회과의 성립과 우리나라의 도입 24
      • 3)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 28
      • 3. 텍스트 마이닝과 담론 분석 37
      • 1) 전통적 텍스트 분석의 특징과 한계 37
      • 2) 텍스트 마이닝의 의미와 특징 39
      • 3)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담론 분석 50
      • 4. 선행 연구 검토 52
      • Ⅲ. 연구 방법 58
      • 1. 분석 자료의 수집 및 대상 58
      • 2. 분석 자료의 전처리 61
      • 3. 분석 방법 68
      • 1) 잠재 디리클레 할당(LDA) 68
      • 2) 의미 연결망 분석 70
      • Ⅳ. 연구 결과 74
      • 1. 학술 담론 전체의 어휘 빈도 및 토픽 분석 결과 74
      • 1) 학술 담론의 어휘 빈도 분석 결과 74
      • 2) 학술 담론의 전체 토픽 분석 결과 77
      • 2. 사회과 교육과정 시기별 학술 담론의 내용과 특징 89
      • 1) 7차 교육과정 시기 토픽 분포와 의미 연결망 구조 89
      • 2)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토픽 분포와 의미 연결망 구조 95
      • 3) 2009 개정 교육과정 시기 토픽 분포와 의미 연결망 구조 101
      • 4) 2015 개정 교육과정 시기 토픽 분포와 의미 연결망 구조 108
      • Ⅴ. 결론 115
      • 1. 논의 및 시사점 115
      • 2. 제언 121
      • 참고문헌 123
      • Abstract 135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모경환, 차경수, "사회과교육", 서울: 동문사, 2017

      2 노철현, 박천환, 박채형, "교육과정 담론", 서울: 학지사, 2015

      3 허현, "사회생활 해설", 서울: 제일출판사, 1946

      4 박순경, 허경철, 조덕주, 이화진, 소경희, "교과교육학신론", 서울: 문음사, 2004

      5 소경희, "교육과정의 이해", 경기: 교육과학사, 2017

      6 권덕원, 임희준, 이춘식, 설규주, 박인기, 김창원, 김재운, "교과는 진화 하는가", 서울: 도서출판 지식과교양, 2011

      7 김영진, 김용학, "사회연결망분석, 제4판", 서울: 박영사, 2016

      8 안병영, 하연섭, "5 31 교육개혁 그리고 20년", 서울: 다산출판사, 2015

      9 김영욱, 함승경, "금연과 흡연의 담론 경쟁", 한국언론학보, 58(5), 333-361, 2014

      10 백영민, "R를 이용한 텍스트 마이닝", 서울: 한울아카데미, 2017

      1 모경환, 차경수, "사회과교육", 서울: 동문사, 2017

      2 노철현, 박천환, 박채형, "교육과정 담론", 서울: 학지사, 2015

      3 허현, "사회생활 해설", 서울: 제일출판사, 1946

      4 박순경, 허경철, 조덕주, 이화진, 소경희, "교과교육학신론", 서울: 문음사, 2004

      5 소경희, "교육과정의 이해", 경기: 교육과학사, 2017

      6 권덕원, 임희준, 이춘식, 설규주, 박인기, 김창원, 김재운, "교과는 진화 하는가", 서울: 도서출판 지식과교양, 2011

      7 김영진, 김용학, "사회연결망분석, 제4판", 서울: 박영사, 2016

      8 안병영, 하연섭, "5 31 교육개혁 그리고 20년", 서울: 다산출판사, 2015

      9 김영욱, 함승경, "금연과 흡연의 담론 경쟁", 한국언론학보, 58(5), 333-361, 2014

      10 백영민, "R를 이용한 텍스트 마이닝", 서울: 한울아카데미, 2017

      11 서덕희, "담론분석방법과 연구사례", 대한질적연구학회 학술대회 자 료집(pp. 28-43), 2011

      12 권오정, 김영석, "사회과교육학의 구조와 쟁점", 서울: 교육과학사, 2003

      13 조대훈, "수준별 교육과정 담론의 분석", 시민교육연구, 34(2), 199-234, 2002

      14 최성호, 정정훈, 정상원, "질적 내용분석의 개념과 절차", 질적탐구, 2(1), 127-155, 2016

      15 이수상, "네트워크 분석방법의 활용과 한계", 서울: 도서출판 청람, 2018

      16 홍웅선, "미군정하 사회생활과 출현의 경위", 교육학연구, 30(1), 111-128, 1992

      17 송성민, "사회과 교육과정 연구의 동향 분석", 시민교육연구, 45(2), 123-159, 2013

      18 최용규, "초등 사회과교육 60년: 변천과 전망", 사회과교육연구, 12(1), 229-256, 2005

      19 최상훈, "역사과 교육과정 60년의 변천과 진로", 사회과교육연구, 12(2), 205-236, 2005

      20 김한종, "중등 역사교과서 개편의 과정과 성격", 한국고대사연구, 64, 5-42, 2011

      21 홍웅선, "최초의 사회생활과 교수 요목의 특징", 한국교육, 19, 23-46, 1992

      22 Mills, S., "Discourse. Routledge. 김부용(역)(2001). 담론", 서울: 인 간사랑, 1997

      23 박병락, "Foucault의 담론 개념과 학교지식의 성격", 교육사상연구, 23(2), 43-59, 2009

      24 김슬옹, "『담론학과 언어분석-맥락 담론 의미』", 경기: 한국학술 정보(주), 2009

      25 조대훈, "사회과 PCK 연구 동향 및 연구 담론 분석", 시민교육연구, 47(2), 115-143, 2015

      26 강대현, 은지용, 모경환,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화와 쟁점", 시민교육연구, 48(1), 1-30, 2016

      27 김성해, 박현식, "대통령 측근 비리에 관한 언론 보도 연구", 언론과 학연구, 14(2), 75-112, 2014

      28 Fairclough, N., "Analysing discourse: Textual analysis for social research", Psychology Press. 김지홍(역)(2012). 담화분석방법: 사 회조사연구를 위한 텍스트 분석. 경기: 도서출판 경진, 2003

      29 신소연, "수능 한국사 필수 시행의 현안과 개선 방안", 전북사학, 54, 309-344, 2018

      30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 과정.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 교육부, 1997

      31 강은숙, 류승오, "교육개혁정책의 연속성과 단절성에 관한 분석", 교 육문제연구, 20(1), 43-66, 2014

      32 정재철, "한국 미디어 담론 분석 연구에 대한 메타 분석",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28, 297-322, 2015

      33 박채형, "교육과정 재개념화 운동의 역사적 의의와 한계", 학습자중 심교과교육연구, 16(4), 311-330, 2016

      34 길호현, "텍스트마이닝을 위한 한국어 불용어 목록 연구", 우리말글, 78, 1-25, 2018

      35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 과정 해설(Ⅲ) -국어, 도덕, 사회-", 교육부, 1997

      36 교육부, "사회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7]", 교 육부, 2015

      37 강진웅, "중등 사회 교육과정과 국가 정체성 교육의 변천사", 사회과 교육, 56(1), 45-59, 2017

      38 소경희, "한국의 국가 교육과정의 변천과 최근의 개혁 동향",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28(1), 87-103, 2019

      39 이혁규, "사회과교육의 기원 및 시기 구분 문제에 대한 고찰", 시민 교육연구, 41(4), 129-152, 2009

      40 김남준, 최정순, 조철기, 이철, 이영호, 박철웅, 박주현, 박병석, 박병기, 모경환, 김재준,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Ⅱ 통 합사회",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15-25-6, 2015

      41 모경환,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체제 및 개정방식에 관한 연구", 시민 교육연구, 38(2), 47-66, 2006

      42 최원회, "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사고 관련 내용 분석", 한 국지리환경교육학회, 15(1), 1-36, 2007

      43 김갑철, "중학교 지리교육과정에 재현된 세계시민성 담론 분석", 사 회과교육, 55(4), 1-16, 2016

      44 강환국, "공통사회과 교사 양성의 체제와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사 회과교육, 32, 353-370, 1999

      45 교육부, "초 중 고등학교 사회과 국사과 교육과정 기준(1946~ 1997)", 교육부, 2000

      46 김영석, "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의 구조적 문제와 사회과의 해체", 사회과교육연구, 12(2), 19-36, 2005

      47 이진석, "해방 후 한국사회과의 성립과정과 그 성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2

      48 Bruner, J. S., "The Process of Education. 이홍우(역)(2017). 브루 너 교육의 과정", 경기: 배영사, 1960

      49 이수상,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학술논문의 내용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1(4), 49-68, 2014

      50 김용찬, "21세기와 교육과정의 지역화 -제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사회과교육, 33, 223-244, 2000

      51 모경환, 황혜원, "사회과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교사교육 의 과제", 한국교원교육연구, 24(2), 199-219, 2007

      52 반용부, "고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 –지리 교과를 중심으 로", 교육과학연구, 4호, 251-373, 1999

      53 양선희, "새로운 미디어 환경과 의제설정효과: 신문, TV, 포털의 비 교", 한국언론학보, 52(4), 81-104, 2008

      54 문인영, "교육정책과 학술담론 형성의 관계: 학술지 분석을 중심으 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55 이동민, "세계 지리교육 연구의 최근 동향에 대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 한국지리학회지, 6(3), 355-368, 2017

      56 김종우, 주수산나, "Foucault의 통치성 관점을 통해 분석한 청소년 문제 담론의 변화", 상담학연구, 18(2), 223-243, 2017

      57 김지은, "빅데이터를 활용한 대학구조개혁 평가의 키워드 및 토픽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58 강대현, 모경환, "사회과 교육과정과 성취기준 -일반사회 영역의 특 징과 문제점-", 사회과교육, 51(2), 61-76, 2012

      59 Early, M., Rehage, K. J., "(Eds.).Issues in curriculum: A selection of chapters from past NSSE yearbooks (Vol. 98)", University of Chicago Press. 한혜정(역)(2011). 교육과정의 현대 적 쟁점. 경기: 교육과학사, 1999

      60 박종희, "박은정 조동준 북한 신년사(1946-2015)에 대한 자동화된 텍스트 분석", 한국정치학회보, 49(2), 27-61, 2015

      61 이진석, "한국과 일본의 미군정 초기 교육정책과 사회과 도입에 관 한 연구", 시민교육연구, 35(2), 95-118, 2003

      62 정동일, "사회적 기업에 관한 학문적 담론의 확산과 그 제도적 논 리의 변화", 지역사회학, 16, 69-108, 2015

      63 김성해, "‘지식’ 생산을 통해 세상에 개입하기: 담론연구의 매력과 확장성", 한국질적탐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pp. 17-32), 2019

      64 Foucault, M., "History of Sexuality Vol. 1. Harmondsworth: Penguin. 이규현(역)(2004). 성의 역사 1", 서울: 나남, 1981

      65 장수빈, 한동숙, "국가교육과정 관련 국내 연구 동향 탐색: 정책적 활용성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5(4), 325-353, 2017

      66 나장함, "질적 메타분석에 대한 고찰: 교육과정 연구에서의 적용가능성 탐 색", 교육과정연구, 26(4), 229-252, 2008

      67 이동민, "한국 초등지리교육 학위논문의 연구 동향에 대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 사회과교육, 56(4), 75-90, 2017

      68 Robinson, D., Silge, J., "Text Mining with R. O’Reilly Media. 박진수(역)(2019). R로 배우는 텍스트 마이닝", 경기: 제이펍, 2017

      69 이기형, "담론분석과 담론의 정치학:푸코의 작업과 비판적 담론분석을 중 심으로", 언론과 사회, 14(3), 106-145, 2006

      70 양선희, "한국 기업인의 ‘기업시민성(Corporate Citizenship)’ 개념에 대한 담론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3), 639-660, 2018

      71 장덕현, "학술지 평가정책에 관한 고찰 –학술진흥재단의 학술지정 책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5(1), 359-376, 2004

      72 김성자, "중학교 역사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 교육내용 적정화 담 론의 수용과 굴절", 역사교육, 121, 1-42, 2012

      73 유예림,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한 2015 개정 교육과정 정책에 대한 언론보도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74 박세훈, 장인실, "의미 연결망 분석을 통한 도덕과와 사회과의 다문 화교육 개념 특성 비교 연구", 초등교육연구, 31(1), 47-72, 2018

      75 강대현,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과 양상 - 교수요목기에서 2008 개정 교육과정까지", 사회과교육, 54(1), 63-89, 2015

      76 박휴용, "학교구성원들의 정체성과 담론들 간의 역동적 관계: 자율 형공립고의 사례분석", 교육종합연구, 14(1), 21-47, 2016

      77 강대현, 모경환,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의 과정과 양상 -2007,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와 실천, 79, 1-23, 2013

      78 조희연, "한국의 정치사회적 지배담론과 민주주의 동학: 한국 민 주주의와 사회운동의 동학(3)", 서울: 함께읽는책, 2003

      79 김태종, 박상옥, "뉴스 빅데이터를 활용한 지역평생교육 토픽 분석 –0318년 지역매체 기사를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5(4), 37-102, 2018

      80 박치성, 이준성,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대규모 텍스트의 자 료정리(Data Cleaning) 방법에 관한 연구", 현대사회와 행정, 27(4), 35-68, 2017

      81 김동진, 김재우,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사회과 연구 동향 분석: 2000년대 이후의 학술 논문을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51(2), 35-70, 2019

      82 최병모, "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의 체제적 분석 -제6차 사회과 교 육과정과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33, 333-374, 2001

      83 강진숙, "미디어 중독의 담론지형과 쟁점 연구: 학술논문의 주제와 방법에 대한 메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5(4), 7-38, 2011

      84 옥일남, "한국 사회과교육과정의 시기별 특징 고찰: 초 중 고 교수 요목기에서 2015개정교육과정기까지", 교육과정평가연구, 20(1), 57-86, 2017

      85 Meyer, M., Wodak, R., Vetter, E., Titscher, S., "Methods of text and discourse analysis: In search of meaning. Sage. 남상백 (역)(2015). 텍스트와 담론 분석 방법", 서울: 경진출판, 2000

      86 김민환, "역사적 관점에서 본 교육과정 탐구 패러다임의 변천: 기술 공학적 접근의 형성에 관한 재음미", 교육과정연구, 13, 213-227, 1995

      87 장원순, 허종렬, "1990년대 사회과교육 연구 동향 분석(1) - 연구방 법론 및 교육과정 요소별 연구동향을 중심으로", 초등사회과교육, 11, 377-413, 1999

      88 장원순, 허종렬,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 영역별 연구동향 분석 -1946 년부터 1999년까지의 연구문헌목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교육연 구, 2, 97-134, 2001

      89 김다해, 전진현, 박성혁,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 학습 제재 간 의미 연결망 구조 분석 – 법 단원과 사회 문화 단원의 비교 -", 법교육 연구, 7(2), 181-202, 2012

      90 최숙기,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페미니즘 텍스트 읽기에 나타난 독 자 담론 분석: 소설 82년생 김지영을 중심으로", 독서연구, 52, 199-239, 2019

      91 홍주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상의 담론 분석을 통한 인지적 정서적 측면의 여론 변화 연구", 커뮤니 케이션학 연구: 일반, 19(3), 5-29, 2011

      92 Cherryholmes, C. H., "Power and criticism: poststructural investigations in education. 박순경(역)(1998) 탈구조조의 교육과 정 탐구: 권력과 비판", 서울: 교육과학사, 1988

      93 조원광, "의료 지식의 사회적 구성과 건강 행동 -유방암 논문 초록 과 환자 포럼 게시글의 토픽 모델링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94 강대현, 최종민, "경제 교육과정 개정 논의와 결과에 대한 반성 -2007, 2009 개정 경제 관련 공통 및 선택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경제교육연구, 19(2), 33-61, 2012

      95 길우영, 이종혁, "토픽모델링을 이용한 뉴스 의제 분류와 미디어 다 양성 분석 –대통령 신년 기자회견 관련 뉴스 분석을 통해", 한국 방송학보, 33(1), 161-196, 2019

      96 Macdonell, D., "Theories of discourse. Oxford: Blackwell. 임상훈 (역)(1992). 담론이란 무엇인가: 알튀세 입장에서의 푸코 포스트 맑시즘 비판", 서울: 한울, 1986

      97 박치성, 정지원,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사회적 인식 네트워크 (socio-cognitive network) 분석을 통한 정책이해관계자 간 공유된 의미 파악 사례", 정부학연구, 19(2), 73-108, 2013

      98 한관종, "사회과학 방법론으로서의 연결망 분석기법 적용의 의의와 연구과제 -의미와 연결망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중심 으로-", 사회과교육연구, 10(2), 219-235, 2003

      99 Fico, F. G., Riffe, D., Lacy, S., "Using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in Research (2nd Ed.). Routledge. 배현석 배은결 (역)(2011). 미디어메시지 분석: 양적 내용분석방법을 중심으로", 경북: 영남대학교출판부, 2005

      100 박윤경, "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 채택 과정에 대한 연구 –교과서 채택 과정에서 드러난 사회과 교사들의 교과서 선 호 이해-", 시민교육연구, 33, 109-139, 2001

      101 박미사, 백영민, "데이터 과학시대 텍스트 데이터 분석기법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제도화를 위한 제언: 텍스트 데이터에 대한 차원축 소 기법을 중심으로", 사회과학논집, 49(1), 188-210, 2018

      102 이동민, "고아라 중등 지리 교육과정에 반영된 세계시민교육 관련 요소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사회과교육, 54(3), 1-19,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