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제기구를 통한 북한법제지원의 활성화방안 - 유엔개발계획(UNDP)을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제기구를 통한 북한법제지원에 대해서는 그동안 많은 방안이 모색되었지만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속적인 제재로 인해 이러한 방안을 실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글에서는 ...

      국제기구를 통한 북한법제지원에 대해서는 그동안 많은 방안이 모색되었지만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속적인 제재로 인해 이러한 방안을 실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글에서는 북한이 국제연합(United Nations: UN)의 회원국이고 UN안전보장이사회 제재의 예외를 인정받아 UN기구를 통한 다양한 인도주의 지원사업이 진행되었던 점 등을 고려할 때 유엔개발계획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UNDP)을 통한 법제지원의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고 보아 이를 검토해보았다. UNDP는 1) 정치적 개입, 2) 기관설립, 3) 지역안전, 4) 인권, 5) 사법접근, 6) 이행기정의, 7) 젠더정의 등 7가지 분야에서 법제지원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이 중에서 북한의 체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정치적 개입, 인권, 이행기정의 등의 법제지원사업보다는 기존에 UN기구를 통해 이미 진행된 바 있는 인도주의 지원사업과 연계할 수 있는 ‘지역안전’과 관련된 법제정비지 원사업이 보다 우선적으로 실시해볼 수 있는 법제지원사업분야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위생 관련법제분야를 들 수 있다. 북한은 환경보호법, 공중위생법, 대동강오염 방지법, 도시경영법, 상수도법, 하수도법, 수로법 등 다양한 물⋅위생 분야와 관련된 법제들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유엔환경계획(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UNEP)이나 UNDP의 보고서들에 의하면 북한의 수질오염의 수준은 심각한 상황이다. 즉 법규범과 법현실간의 괴리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물⋅위생분야의 법집행 실효성을 높일 수 있는 법제정비지원이 절실하게 요청된다고 할 수 있다. UNDP를 통한 북한법제정비사업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북한당국이 수요를 갖고 있는 분야를 잘 찾고, 경제협력개발기구(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개발원조위원회(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DAC)의 공적개발원조 사업 5대 평가지표(적절성, 효과성, 효율성, 영향력, 지속성)를 규범적으로 고려하여 사업을 기획 할 필요가 있으며, 남측도 UNDP 서울정책센터 등을 통해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ule of law assistance projects in North Korea through international institutions were widely discussed until now. However, launching of these projects are hindered by economic sanctions by global community. This paper sees rule of law assistance proj...

      Rule of law assistance projects in North Korea through international institutions were widely discussed until now. However, launching of these projects are hindered by economic sanctions by global community. This paper sees rule of law assistance projects through UNDP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 because North Korea is a member of UN and humanitarian assistance projects have been implemented despite the sanction of the UN Security Council. UNDP rule of law assistance project’s targeting areas are as follows: 1) political engagement, 2) institution building, 3) community security, 4) human right, 5) access to justice, 6) transitional justice, and 7) gender justice. In these areas, political engagement, human right or transitional justice are sensitive ones in which North Korea will be reluctant to cooperate. Therefore, community security related rule of law assistance, which can be connected with already implemented humanitarian assistance projects, will be priority area. In this context, water/sanitation related law can be a good targeting area. North Korea already implemented various water and sanitation related law as follows: ‘Environment Protection Act’, ‘Public Sanitation Act’, ‘Act on Protection from Deterioration of Dae-dong River’, ‘City Management Act’, ‘Waterworks Act’, ‘Sewer Act’ and ‘Waterway Act’. However, according to UNEP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or UNDP report, the deterioration of water in North Korea is serious. This shows the gap between legal norm and legal reality is lar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ssist North Korea to enhance effectiveness of enforcement of water/sanitation related law.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is rule of law project in North Korea through UNDP, it is critical to take careful needs assessment and OEC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DAC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s 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evaluation criteria (relevance, effectiveness, efficiency, impact, sustainability) should be duly considered, and South Korea should make effort to participate this project through UNDP Seoul Policy Cent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UNDP의 법제지원제도
      • Ⅲ. UNDP의 법치주의에 대한 측정
      • Ⅳ. UNDP를 통한 북한법제지원 분야의 선정
      • 요약
      • Ⅰ. 서론
      • Ⅱ. UNDP의 법제지원제도
      • Ⅲ. UNDP의 법치주의에 대한 측정
      • Ⅳ. UNDP를 통한 북한법제지원 분야의 선정
      • Ⅴ. UNDP를 통한 북한법제지원의 구체적인 방안
      • Ⅵ.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빈재익, "한반도 평화시대, 북한 인프라 개발사업의 재원조달 방안"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18

      2 송인호, "통일법강의: 기본이론과 주요쟁점" 법률신문사

      3 한상운, "최근 북한 환경법의 동향과 시사점" 한국환경법학회 36 (36): 237-271, 2014

      4 민경배, "체제전환국 법제개혁을 위한 국제기구의 협력과 북한" 평화문제연구소 21 (21): 227-268, 2009

      5 양효령, "중국에 대한 우리나라의 법제교류지원 현황과 과제" 한중법학회 12 : 121-144, 2010

      6 조한승, "유엔기구의 대(對)북한 접근의 시사점: UNDP와 FAO/WFP를 중심으로" 평화문제연구소 26 (26): 35-64, 2014

      7 명수정, "북한의 환경인프라 조성을 위한 환경협력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7

      8 장재연, "북한의 물과 환경문제 : 북한 환경문제에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49) : 2005

      9 박정원, "북한의 '사회주의 법치국가 건설론'과 법제정비 동향" 동북아법연구소 5 (5): 1-29, 2011

      10 김병기, "북한개방법제의 내용, 법적 문제점 및 대한민국의 대응" 법학연구소 1 (1): 109-156, 2007

      1 빈재익, "한반도 평화시대, 북한 인프라 개발사업의 재원조달 방안"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18

      2 송인호, "통일법강의: 기본이론과 주요쟁점" 법률신문사

      3 한상운, "최근 북한 환경법의 동향과 시사점" 한국환경법학회 36 (36): 237-271, 2014

      4 민경배, "체제전환국 법제개혁을 위한 국제기구의 협력과 북한" 평화문제연구소 21 (21): 227-268, 2009

      5 양효령, "중국에 대한 우리나라의 법제교류지원 현황과 과제" 한중법학회 12 : 121-144, 2010

      6 조한승, "유엔기구의 대(對)북한 접근의 시사점: UNDP와 FAO/WFP를 중심으로" 평화문제연구소 26 (26): 35-64, 2014

      7 명수정, "북한의 환경인프라 조성을 위한 환경협력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7

      8 장재연, "북한의 물과 환경문제 : 북한 환경문제에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49) : 2005

      9 박정원, "북한의 '사회주의 법치국가 건설론'과 법제정비 동향" 동북아법연구소 5 (5): 1-29, 2011

      10 김병기, "북한개방법제의 내용, 법적 문제점 및 대한민국의 대응" 법학연구소 1 (1): 109-156, 2007

      11 장형수, "북한개발지원을 위한 국제협력방안" 통일연구원 2009

      12 이종운, "북한 환경문제의 실태와 국제사회의 지원방안" KIEP 2012

      13 정영화, "북한 헌법상 공권력의 집행체계에 관한 연구" 동북아법연구소 3 (3): 141-180, 2009

      14 이한희, "북한 경제개발을 위한 국제금융기구의 역할" 삼성경제연구소 2009

      15 진익, "북한 경제개발 재원조달을 위한 국제기구와의 협력방안" 국회예산정책처 2018

      16 이상현, "베트남의 체제전환과 법"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3

      17 박광동, "법제행정 역량강화사업 종합평가" 한국법제연구원, KOICA 2017

      18 박광동, "법제교류지원사업의 이념과 과제" 한국법제연구원 2008

      19 박광동, "법원의 외국 사법부 지원사업 추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대법원 2015

      20 조혜신, "법과 개발(Law and Development)과 동북아시아 발전국가론의 전개에 관한 고찰: 한국법 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39 : 241-266, 2017

      21 박광동, "미얀마 물권법제에 관한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14

      22 김호정, "물분야 국제동향과 효율적 대응방안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6

      23 최은석, "동북아 통합을 위한 법적 과제와 북한의 체제전환 협력방안" (9) : 2008

      24 장형수, "남북통일과정에서의 해외재원 조달 : 주요 이슈와 정책방안"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

      25 황의정, "김정은 시대 북한식 사회주의법치의 의미와 한계- 법의 지배(rule of law)의 일반론적 시각을 중심으로 -" 동북아법연구소 12 (12): 109-139, 2019

      26 임을출, "국제기구의 중국·베트남 시장경제법제개혁 지원사례: 북한 적용과 시사점" 통일연구원 21 (21): 89-118, 2012

      27 김석진, "개발원조의 국제규범과 대북정책에 대한 시사점" 산업연구원 2009

      28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 (UNDP), "Why, What and How to Measure? - A User’s Guide to Measuring Rule of Law, Justice and Security Programmes"

      29 최춘흠, "UN기구의 지원체계와 대북 활동" 통일연구원 2008

      30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 (UNDP), "The Viet Nam Provincial Governance and Public Administration Performance Index"

      31 Kavanagh, Camino, "Shaky Foundations: An Assessment of the UN’s Rule of Law Support Agenda" New York University Center on International Cooperation 2011

      32 Mooney, Leila, "Promoting the Rule of Law - A Practitioner’s Guide to Key Issues and Developments"

      33 손혁상, "KOICA 물 분야 프로젝트형 사업 종합평가" 한국국제협력단 2016

      34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UNDP), "Guidance Note on Assessing the Rule of Law Using Institutional and Context Analysis"

      35 Samset, Knut, "Ex Ante Project Evaluation and the Complexity of Early Decision-Making" 17 : 1-17, 2017

      36 Nations Development Program (UNDP), "Evaluation of the UNDP Rule of Law and Access to Justice Output in Myanmar: Final Evaluation Report" 2016

      37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UNEP),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Environment and Climate Change Outlook" 2012

      38 이현태, "AIIB의 對북한 인프라 투가 가능성과 시사점" 18 (18): 2018

      39 UNDP, "2019 북한인도주의 필요와 우선순위"

      40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 (UNDP), "2017 Global Programme Annual Report:Strengthening the Rule of Law and Human Rights"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4 0.34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1 0.31 0.412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