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희병, "한국의 생태사상" 돌베개 1999
2 성기옥, "한국시의 미학적 패러다임과 시학적 전통" 소명출판 15-115, 2003
3 김풍기, "한국고전시가 교육의 역사적 지평" 월인 2-188, 2002
4 김종철, "한국고전문학사의 시각" 집문당 30-40, 1996
5 이동환, "좌담: 문명의 전환과 국문학 연구" 민족문학사연구소 10집 : 32-, 1997
6 박혜숙, "시조의 생태미학" 녹색평론사 (42) : 1998
7 김선배, "시조문학교육의 통시적 연구" 박이정 2-268, 1998
8 정기철, "시조교육의 문제점과 학습자 감상활동 유형" 한국시조학회 16집 : 217-218, 2000
9 한창훈, "시가와 시가교육의 탐구" 월인 79-126, 2000
10 한창훈, "시가교육의 가치론" 월인 161-189, 2001
1 박희병, "한국의 생태사상" 돌베개 1999
2 성기옥, "한국시의 미학적 패러다임과 시학적 전통" 소명출판 15-115, 2003
3 김풍기, "한국고전시가 교육의 역사적 지평" 월인 2-188, 2002
4 김종철, "한국고전문학사의 시각" 집문당 30-40, 1996
5 이동환, "좌담: 문명의 전환과 국문학 연구" 민족문학사연구소 10집 : 32-, 1997
6 박혜숙, "시조의 생태미학" 녹색평론사 (42) : 1998
7 김선배, "시조문학교육의 통시적 연구" 박이정 2-268, 1998
8 정기철, "시조교육의 문제점과 학습자 감상활동 유형" 한국시조학회 16집 : 217-218, 2000
9 한창훈, "시가와 시가교육의 탐구" 월인 79-126, 2000
10 한창훈, "시가교육의 가치론" 월인 161-189, 2001
11 최규수, "문학사 교육에서 가람 시조 논의의 사적 맥락과 위상" 열상고전연구회 19집 : 149-172, 2004
12 허왕욱, "문학교육으로서의 시조교육" 한국시조학회 17집 : 211-212, 2001
13 김대행, "국어 교과학의 지평" 서울대 출판부 3-388, 1995
14 최규수, "고전시가 연구의 전망과 모색" 다운샘 10-301, 2007
15 허남춘, "고전시가 교육의 이념과 방향" 백록어문학회 17집 : 146-, 2001
16 이창식, "고전시가 교육의 실상과 전망" 8집 : 141-142, 1996
17 임기중, "고전시가 교육의 문제점과 그 대책-상고에서 고려조까지" 1985
18 한창훈, "고전시가 교육론 서설" 백록어문학회 15집 : 110-, 1999
19 김동준, "고전시가 교육 이대로 좋은가-특히 시조문학 교육과 관련하여" 1985
20 박경주, "고전문학 교육의 연구현황과 전망-시가교육을 중심으로" 청관고전문학회 1집 : 27-, 1999
21 권오경, "고전 시가 작품 교육론" 월인 13-39, 1999
22 김흥규, "고전 문학 교육과 역사적 이해의 원근법,현대 비평과 이론" 1992
23 최규수, "고시가 연구의 현재적 위상과 미래적 전망" 한민족어문학회 38집 : 61-76,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