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등학교 사회과 기후환경 교육에서 인공지능 융합의 가능성 탐색과 실제적인 수업안 개발, 제시를 통해 수업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한 세부적인 연구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037520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5-25(2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사회과 기후환경 교육에서 인공지능 융합의 가능성 탐색과 실제적인 수업안 개발, 제시를 통해 수업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한 세부적인 연구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사회과 기후환경 교육에서 인공지능 융합의 가능성 탐색과 실제적인 수업안 개발, 제시를 통해 수업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한 세부적인 연구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부적으로 2022 개정 초등 사회과교육과정을 분석하여 3~6학년에 걸쳐 기후환경 교육 내용을 추출하였다. 둘째, 기후환경 교육 내용을 토대로 학년급에 따른 학습자 수준, 기후환경 교육 내용의 특성을 반영하여 활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 도구를 설정하여 3~6학년에 걸친 인공지능 융합 기후환경 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셋째, 인공지능 도구 융합 수업안 사례를 개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 사회과 수업, 기후환경 교육에서 인공지능 융합의 가능성과 방법을 찾아 초등 교실수업에 적용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프레임워크로서 IB PYP가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 탐색
‘인문학 리터러시’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인문학과 교육 현장의 연결성 강화
[제18회 김옥길기념강좌] 인공지능, 감정, 휴머니즘(Human-Compatible Artificial Intelligence’)’
이화여자대학교 스튜어드 러셀누구나 할 수 있는 데이터 분석과 인공지능[Data Analysi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for Everyone]
K-MOOC 인하공업전문대학 이세훈누구나 할 수 있는 데이터 분석과 인공지능[Data Analysi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for Everyone]
K-MOOC 인하공업전문대학 이세훈사회과교육 관련 인문학콘텐츠
한국교원대학교 김봉석인공지능
충북대학교 이건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