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혜정 ; 윤명숙, "중증장애인의 장애차별경험이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장애유형 및 취업유무 집단비교" 한국장애인복지학회 33 : 67-90, 2016
2 탁평곤, "중도청각장애인의 청각상실 이후의 경험세계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 인공 와우(cochlear implants) 사용자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5) : 55-81, 2014
3 김미옥 ; 최정민 ; 강승원, "중년기 뇌졸중 장애인의 삶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5 (65): 33-58, 2013
4 최정혜, "주말부부의 결혼만족도와 가족건강성 - 주말부부 남편과 아내의 비교 -" 대한가정학회 43 (43): 11-26, 2005
5 최정혜, "주말부부의 가족스트레스, 대처전략 및 가족건강성 연구" 가정과삶의질학회 22 (22): 69-83, 2004
6 김미경 ; 서미경, "정신장애인의 장애 경험과 극복이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장애인개발원 13 (13): 143-168, 2022
7 이경숙 ; 권혜진 ; 차혜경, "정신장애인의 극복력에 관한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14 (14): 1427-1438, 2012
8 이지연 ; 정은희, "장애학생의 SNS 이용 실태와 대인관계 및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3 (13): 357-385, 2012
9 이강훈, "장애자녀 부모가 인지한 가족건강성과 영향요인 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5
10 김솔빈, "장애인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이 장애수용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22
11 전혜영, "장애인이 인식한 가족건강성 유형과 영향요인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23 (23): 27-49, 2021
12 권충훈 ; 이형하 ; 김정오, "장애인의 장애수용정도와 삶의 만족 간의 인과적 관계 분석: 스트레스와 여가사회생활참여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60 (60): 81-105, 2021
13 조예진 ; 현명호, "장애인의 자존감과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장애수용도의 매개효과"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31 (31): 5-22, 2021
14 김대명,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PC/모바일 기기 이용 능력과 사회적 관계 서비스 이용률을 중심으로" 국회입법조사처 14 (14): 073-097, 2022
15 문영임 ; 이성규 ; 김지혜, "장애인의 디지털정보화 활용 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분석"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8 (28): 36-53, 2021
16 이향수 ; 이성훈 ; 정용훈, "장애인의 디지털정보화 수준과 대인관계 만족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43-48, 2020
17 이강훈, "장애인부모단체 회원의 가족건강성 영향 요인: 동료지지와 단체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회 32 (32): 35-62, 2016
18 정영숙, "장애인복지론" 현학사 2003
19 김영애, "장애인복지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0
20 이채식, "장애인복지론" 창지사 2018
21 석말숙, "장애인가족과 비장애인가족의 가족기능 비교연구: McMaster Model의 적용"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18 (18): 105-131, 2013
22 고관우 ; 남진열, "장애아동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가장애수용을 매개로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 - 장애유형에 따른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53) : 409-441, 2016
23 함솔이, "장애아동 부모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2017
24 신준섭 ; 양호정 ; 백에스더, "장애아 가정의 가족 건강성이 비장애 형제, 자매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7 (27): 1-23, 2011
25 진진주, "장애대학생의 장애 극복 경험에 대한 연구" 생명문화연구소 40 : 215-268, 2016
26 오혜경, "장애경험에 대한 이해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0 (10): 1-37, 2006
27 김용득, "장애개념의 변화와 사회복지실천 현장 함의" 한국사회복지학회 51 : 157-182, 2002
28 허준기, "장애 정체화에 관한 연구" 1 (1): 5-32, 2016
29 백영승, "자아인식검사 개발 연구보고서" 한국장애인고용공단고용개발원 2001
30 강용주, "자아인식·자아수용검사 타당화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08
31 김동섭 ; 조택연, "위치기반 SNS로서의 공간미디어 활용 전략" 한국기초조형학회 11 (11): 33-46, 2010
32 오윤진 ; 이순민, "시각장애인의 긍정적 장애수용, 자아존중감, 생활만족 간의 관계 연구: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33 (33): 103-123, 2017
33 이현미 ; 홍순구 ; 김종기, "시각장애인 SNS 이용자의 이용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경영정보학회 14 (14): 25-51, 2012
34 김명수 ; 이동주,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피로감 형성에 있어서 인지적 요인과 행동적 요인의 역할" 국제e-비즈니스학회 19 (19): 77-92, 2018
35 이선미, "성인남녀의 가족건강성 관련변인" 대한가정학회 49 (49): 129-142, 2011
36 박자경 ; 엄명용, "사회적 지지와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 관계 분석 -장애수용 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3 (13): 1-23, 2009
37 홍석인 ; 최희재 ; 이준기, "블로그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동기적 요인" 한국콘텐츠학회 10 (10): 122-137, 2010
38 김건희 ; 조정민 ; 김소현 ; 서석진, "발달장애학생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활용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2 (52): 321-339, 2013
39 양주연 ; 조성열, "발달장애인 가정의 가족건강성에 관한 부모 인식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31 (31): 141-163, 2021
40 양주연, "발달장애인 가정의 가족건강성 영향요인 분석" 나사렛대학교 2021
41 박정숙 ; 권영은,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극복력의 관계" 한국모자보건학회 19 (19): 212-221, 2015
42 장수미, "당뇨환자의 자기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기능에 관한 연구" 4 : 243-246, 1999
43 이미혜, "농아인가족의 의사소통과 자녀역할에 관한 연구" 한일장신대학교 기독교사회복지대학원 2004
44 노승현, "노령 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중년기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1 (11): 30-60, 2007
45 이영원, "개인 성향에 따른 SNS 이용과 사회적 연결 효과" 국제문화기술진흥원 5 (5): 215-227, 2019
46 어은주, "가족의 건강도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13 (13): 145-156, 1995
47 유영주, "가족의 건강도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13 (13): 145-155, 2004
48 Katx, J. E., "Uses and Gratifications Research" 37 (37): 509-523, 1973
49 Leung, L., "User-Generated Content on the Internet : An Examination of Gratifications, Civic Engagement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11 (11): 1327-1347, 2009
50 Polk. L. V., "Toward a Middle-range Theory of Resilience" 19 (19): 1-13, 1997
51 Wei, L., "The impact of Internet Knowledge on Collgeg Students intention to continue to use the Internet" 13 (13): 348-, 2008
52 Cacioppo, J. T., "The Need for Cognition" 42 (42): 116-131, 1982
53 Katz, J. E., "The Internet, 1995~2000 : Access, Civic Involvement, and Social Interaction" 45 (45): 405-419, 2001
54 Ayyagari, R., "Technostress : Technological Antecedents and Implications" 35 (35): 831-858, 2011
55 Wei, L., "Staying Connected While on the Move : Cell Phone Use and Social Connectedness" 8 (8): 53-72, 2006
56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57 Carr, C. T., "Social Media : Defining, Developing and Divining" 23 (23): 46-65, 2015
58 Bergagna, E., "Self-esteem, Social Comparison, and Facebook Use" 14 (14): 831-845, 2018
59 Van der Geest, T., "Self-assessed and actual Internet Skills of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13 (13): 161-174, 2014
60 Brown, J. D., "Self-Esteem and emotion : Some Thoughts About Feelings" 27 (27): 575-584, 2001
61 오은해 ; 이정화 ; 이정애, "SNS의 이용동기가 SNS의 사회적 자본과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9 (19): 138-149, 2019
62 정미현, "SNS의 수업적용을 위한 사전분석 방법-트위터를 중심으로" 15 (15): 189-192, 2011
63 이홍재 ; 최문형 ; 박미경, "SNS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사용자 인지요인이 SNS 재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보관리학회 29 (29): 145-167, 2012
64 장영혜 ; 정미리, "SNS에 대한 부정적 감정의 영향요인과 결과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9 (29): 22-38, 2021
65 김주연 ; 강영심 ; 한민정, "SNS 활용 긍정심리프로그램에 참여한 발달장애성인 부모의 행복감 변화와 SNS 활용에 대한 인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60 (60): 25-55, 2021
66 이지연 ; 이소현, "SNS 기반 아버지 역할 증진 프로그램이장애 유아 아버지의 양육 참여와 역할 만족도, 아버지-유아 상호작용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54 (54): 51-80, 2020
67 이자영 ; 남숙경 ; 이미경 ; 이지희 ; 이상민, "Rosenberg의 자아존중감 척도: 문항수준 타당도분석" 한국상담심리학회 21 (21): 173-189, 2009
68 James, W., "Principles of Psychology" Jenry Holt 1980
69 Chayko, M., "Portable Communities : The Social Dynamics of Online and Mobile Connectednes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08
70 Valkenburg, P. M., "Online Communication Among Adolescents : An Integrated Model of Its Attraction Opportunities, and Risks" 48 : 121-127, 2011
71 Levine, M. P., "Media Effects: Advances in Theory and Research" Routledge 490-516, 2009
72 Rubin, A. M., "Media Effects: Advances in Theory and Research"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2002
73 Olson, D. H., "Marriages and families: intimacy, diversity, and strengths" McGraw Hill 2010
74 Blankertz, L., "Cognitive components of self-esteem for individual with severe mental illness" 71 (71): 457-465, 2001
75 Gecas, V., "Beyond the looking-glass self : Social structure and efficacy-based self-esteem" 46 (46): 77-88, 1983
76 Blachnio, A., "Association Between Facebook addicti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 A Cross-sectional Study" 55 : 701-705, 2016
77 Huges, D. J., "A Tale of Two Sites : Twitter vs. Facebook and the Personality Predictors of Social Media Usage" 28 (28): 561-569, 2012
78 Tazghini, S., "A Mixed Method Approach to Examining Facebook Use and Its Relationship to Self-esteem" 29 (29): 827-832, 2013
79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21 한국미디어패널조사" 2021
8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1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