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 마오쩌둥 시대의 엘리트 정치: ‘일인지배’의 사례 = Elite Politics in the Mao Zedong Era China:A Case of One-Man-Ru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470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nalyzes elite politics in the Mao Zedong era China in terms of one-man-rule. First of all, it investigates three criteria with which we divide the types of elite politics in China: the resources of power and degree of power concentration, the way of exercising power, and the power relations between top politicians. Then, it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Mao’s one-man-rule based on above-mentioned three criteria. First, Mao, as a charismatic leader, monopolized political power and exercised it arbitrarily. Second, Mao was a socialist emperor who reigned the CCP and state without any constraints. Finally, Mao maintained a master and servants relationship with other political leaders. Viewed in Mao’s one-man-rule mode, elite politics in the Xi Jinping era can not be categorized as a sort of one-man-rule.
      번역하기

      This article analyzes elite politics in the Mao Zedong era China in terms of one-man-rule. First of all, it investigates three criteria with which we divide the types of elite politics in China: the resources of power and degree of power concentration...

      This article analyzes elite politics in the Mao Zedong era China in terms of one-man-rule. First of all, it investigates three criteria with which we divide the types of elite politics in China: the resources of power and degree of power concentration, the way of exercising power, and the power relations between top politicians. Then, it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Mao’s one-man-rule based on above-mentioned three criteria. First, Mao, as a charismatic leader, monopolized political power and exercised it arbitrarily. Second, Mao was a socialist emperor who reigned the CCP and state without any constraints. Finally, Mao maintained a master and servants relationship with other political leaders. Viewed in Mao’s one-man-rule mode, elite politics in the Xi Jinping era can not be categorized as a sort of one-man-rul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중국 마오쩌둥 시대의 엘리트 정치를 일인지배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먼저, 중국의 엘리트 정치를 분류하는 세 가지의 기준에 대해 살펴본다. 첫째, 권력원과 권력의 집중도, 둘째, 권력의 운영 방식, 셋째, 지도자 간의 권력관계가 그것이다. 다음으로 이 세 가지의 기준에 입각하여 마오의 일인지배를 분석한다. 마오의 일인지배는 세 가지의 특징을 갖고 있다. 먼저, 마오는 카리스마적 권위에 입각하여 권력을 독점하고 자의적으로 행사했다. 또한 마오쩌둥은 공산당과 국가 위에 군림하는 황제였다. 마지막으로, 마오쩌둥과 다른 정치 지도자 간에는 주종관계가 형성되었다. 이와 같은 마오쩌둥의 일인지배를 기준으로 할 때, 시진핑 시기의 엘리트 정치는 결코 일인지배라고 할 수 없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중국 마오쩌둥 시대의 엘리트 정치를 일인지배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먼저, 중국의 엘리트 정치를 분류하는 세 가지의 기준에 대해 살펴본다. 첫째, 권력원과 권력의 집중도, 둘째...

      이 논문은 중국 마오쩌둥 시대의 엘리트 정치를 일인지배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먼저, 중국의 엘리트 정치를 분류하는 세 가지의 기준에 대해 살펴본다. 첫째, 권력원과 권력의 집중도, 둘째, 권력의 운영 방식, 셋째, 지도자 간의 권력관계가 그것이다. 다음으로 이 세 가지의 기준에 입각하여 마오의 일인지배를 분석한다. 마오의 일인지배는 세 가지의 특징을 갖고 있다. 먼저, 마오는 카리스마적 권위에 입각하여 권력을 독점하고 자의적으로 행사했다. 또한 마오쩌둥은 공산당과 국가 위에 군림하는 황제였다. 마지막으로, 마오쩌둥과 다른 정치 지도자 간에는 주종관계가 형성되었다. 이와 같은 마오쩌둥의 일인지배를 기준으로 할 때, 시진핑 시기의 엘리트 정치는 결코 일인지배라고 할 수 없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모리 가즈코, "현대 중국 정치: 글로벌 강대국의 초상" 한울아카데미 2013

      2 조영남, "중국의 민주주의: 공산당의 당내민주 연구" 나남 2011

      3 로드릭 맥파커, "중국 현대정치사: 건국에서 세계화의 수용까지(1949-2009)" 푸른길 2012

      4 양갑용, "시진핑시대 중앙영도소조의 역할 변화 가능성 연구" 중국연구소 60 : 341-373, 2014

      5 이정남, "시진핑(習近平)의 권력강화와 중국 권위주의 체제의 변화:경쟁적 독재에서 확립된 독재로의 전환인가?" 아태지역연구센터 41 (41): 7-39, 2017

      6 조영남, "시진핑 ‘일인체제’가 등장하고 있는가?" 국제학연구소 24 (24): 127-153, 2015

      7 리즈수이, "모택동의 사생활1" 고려원 1995

      8 조영남, "개혁과 개방: 덩샤오핑 시대의 중국 정치1(1976-1982년)" 민음사 2016

      9 조영남, "개혁 중국: 변화와 지속" 한울아카데미 103-133, 2019

      10 薄一波, "若干重大決策與事件的回顧(上)" 人民出版社 1997

      1 모리 가즈코, "현대 중국 정치: 글로벌 강대국의 초상" 한울아카데미 2013

      2 조영남, "중국의 민주주의: 공산당의 당내민주 연구" 나남 2011

      3 로드릭 맥파커, "중국 현대정치사: 건국에서 세계화의 수용까지(1949-2009)" 푸른길 2012

      4 양갑용, "시진핑시대 중앙영도소조의 역할 변화 가능성 연구" 중국연구소 60 : 341-373, 2014

      5 이정남, "시진핑(習近平)의 권력강화와 중국 권위주의 체제의 변화:경쟁적 독재에서 확립된 독재로의 전환인가?" 아태지역연구센터 41 (41): 7-39, 2017

      6 조영남, "시진핑 ‘일인체제’가 등장하고 있는가?" 국제학연구소 24 (24): 127-153, 2015

      7 리즈수이, "모택동의 사생활1" 고려원 1995

      8 조영남, "개혁과 개방: 덩샤오핑 시대의 중국 정치1(1976-1982년)" 민음사 2016

      9 조영남, "개혁 중국: 변화와 지속" 한울아카데미 103-133, 2019

      10 薄一波, "若干重大決策與事件的回顧(上)" 人民出版社 1997

      11 施九青, "當代中國政治運行機制" 山東人民出版社 1993

      12 鄭謙, "毛澤東時代的中國3(1949-1976)" 中共黨史出版社 2003

      13 何逢, "毛澤東時代的中國2(1949-1976)" 中共黨史出版社 2003

      14 李銳, "廬山會議實錄" 河南人民出版社 1995

      15 王紹光, "大智興邦: 中國如何制定五年規劃" 中國人民大學出版社 2015

      16 王年一, "大動亂的年代: 文化大革命十年史" 河南人民出版社 2005

      17 楊繼繩, "墓碑: 1958-1962年中國大飢荒紀實(下)" 天地 2015

      18 胡鞍鋼, "中國集體領導體制" 中國人民大學出版社 2013

      19 趙建民, "中國決策: 領導人·結構·機制·過程" 五南 2014

      20 楊繼繩, "中國改革年代的政治鬪爭" Excellent Culture Press 2004

      21 陳麗鳳, "中國共產黨領導體制的歷史考察: 1921-2006" 上海人民出版社 2008

      22 寇健, "中共菁英政治的演變: 制度化與權力轉移 1978-2010" 五南圖書出版社 2011

      23 Buckley, Chris, "Xi’s Rapid Rise in China Presents Challenges to the U.S. New York Times. November 11, 2014"

      24 Wang, Zhengxu, "Xi Jinping: The Game Changer of Chinese Elite Politics?" 22 (22): 469-486, 2016

      25 Huang, Cary, "Xi Jinping Wants to be Seen as on a Par with Mao Zedong and Deng Xiaoping. South China Morning Post. August 23, 2014"

      26 Qiu, Jin, "The Culture of Power: The Lin Biao Incident in the Cultural Revolu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9

      27 Tsou, Tang, "The Cultural Revolution and Post-Mao Reform: A Historical Perspectiv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6

      28 Teiwes, Frederick C., "Politics at Mao’s Court: Gao Gang and Party Factionalism in the Early 1950s" Routledge 2015

      29 Teiwes, Frederick C., "Politics and Purges in China: Rectification and the Decline of Party Norms, 1950-1965" M. E. Sharpe 1993

      30 MacFaquhar, Roderick, "Mao’s Last Revolution"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2006

      31 Teiwes, Frederick C., "Mao and His Lieutenants" (19/20) : 1-80, 1988

      32 Teiwes, Frederick C., "Leadership, Legitimacy, and Conflict in China: From a Charismatic Mao to the Politics of Succession (Reissued)" Routledge 2018

      33 Chan, Minnie, "How Xi Jinping has taken on multiple roles and amassed unrivalled power in China. South China Morning Post. 27 January, 2017"

      34 Greenstein, Fred I, "Handbook of Political Science Volume 3: Macropolitical Theory"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1975

      35 Huang, Jing, "Factionalism in Chinese Communist Par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36 Hamrin, Carol Lee, "Decision-Making in Deng’s China: Perspectives from Insiders" M. E. Sharpe 1995

      37 Li, Cheng, "Chinese Politics in the Xi Jinping Era: Reassessing Collective Leadership" Brookings Institution Press 2016

      38 Teiwes, Frederick C., "China’s Road to Disaster: Mao, Central Politicians, and Provincial Leaders in the Unfolding of the Great Leap Forward, 1955-1959" M. E. Sharpe 1999

      39 Economy, Elizabeth, "China’s Imperial President" 93 (93): 80-91, 2014

      40 Lee, Sangkuk, "An Institutional Analysis of Xi Jinping’s Centralization of Power" 26 (26): 325-336,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1 0.51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9 0.43 0.604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