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 윤리교육 프로그램 실행을 통해 초등학생들의 인공지능 윤리의식 효과 검증에 있다. 아직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인공지능 윤리교육이 포함되어있지 않고 도덕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766867
202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85-309(2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 윤리교육 프로그램 실행을 통해 초등학생들의 인공지능 윤리의식 효과 검증에 있다. 아직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인공지능 윤리교육이 포함되어있지 않고 도덕과...
이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 윤리교육 프로그램 실행을 통해 초등학생들의 인공지능 윤리의식 효과 검증에 있다. 아직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인공지능 윤리교육이 포함되어있지 않고 도덕과에서도 다루어지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2022 도덕과 교육과정에는 인공지능 윤리가 본격적으로 들어가 있어 도덕과 연계한 인공지능 윤리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초등학교 도덕교과를 중심으로 인공지능 윤리 수업모형을 적용하고, 인공지능 윤리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은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 5학년 학생 30명이며 학생들의 인공지능 윤리의식 효과 검증을 위해 혼합 연구를 실시하였다. 양적 연구는 실험 집단 내에서 대응표본 T-검정과 비교 집단과의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질적 연구로는 심층 면담과 사후 소감문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도출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인공지능 윤리교육 프로그램 운영이 초등학생의 인공지능 윤리의식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게 되었다. 특히 ‘투명성’이라는 학생들에게 어려울 수 있는 인공지능 윤리 개념을 도덕과의 ‘정직’이라는 핵심가치와 접목하여 인공지능 기술과 융합한 프로그램은 학생들에게 이에 대한 개념과 필요성을 인식하는데 큰 효과를 보여 주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education programs. It is a reality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education programs. It is a reality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education is not included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is not covered in the moral department. However,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is included in the 2022 moral curriculum, so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education linked to morality is needed. In this study, the effect was verified by apply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class model centered on elementary school moral subjects and design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education program to solve this problem.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30 fif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a mixed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students'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In the quantitative study, a corresponding sample T-test and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ith the comparative group were conducted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in-depth interviews and post-audit analysis were conducted as qualitative studies. Based on the derived research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operation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education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ultiv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particular, the program that combines the concept of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which can be difficult for students of "transparency," with the core value of "honesty" in morality, has shown a great effect on students to recognize the concept and necessity.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해일, "학생의 흥미에 기초한 도덕과 프로젝트 방법 개발"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6 : 145-164, 2016
2 교육부, "학교에서 만나는 인공지능 수업(초등5-6학년)" 2021
3 배진아, "프로젝트기반 인공지능 윤리교육 프로그램 개발"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4 김갑수 ; 박영기, "초등학생의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교수 학습 모델 개발 및 적용" 한국정보교육학회 21 (21): 137-147, 2017
5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6 한찬희, "초등 도덕과를 통한 인공지능윤리교육 방안 모색"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69) : 229-253, 2020
7 김하민, "초등 도덕과 미래형 교육과정 개정 방향 탐색: 인공지능 윤리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73) : 1-27, 2021
8 김갑수, "초등 교사들을 위한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정보교육학회 23 (23): 629-637, 2019
9 교육부, "초등 5학년 교사용 지도서" 2015
10 김한성 ; 전수진 ; 최승윤 ; 김성애, "인공지능의 이해와 사회적 영향력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3 (23): 21-29, 2020
1 정해일, "학생의 흥미에 기초한 도덕과 프로젝트 방법 개발"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6 : 145-164, 2016
2 교육부, "학교에서 만나는 인공지능 수업(초등5-6학년)" 2021
3 배진아, "프로젝트기반 인공지능 윤리교육 프로그램 개발"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4 김갑수 ; 박영기, "초등학생의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교수 학습 모델 개발 및 적용" 한국정보교육학회 21 (21): 137-147, 2017
5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6 한찬희, "초등 도덕과를 통한 인공지능윤리교육 방안 모색"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69) : 229-253, 2020
7 김하민, "초등 도덕과 미래형 교육과정 개정 방향 탐색: 인공지능 윤리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73) : 1-27, 2021
8 김갑수, "초등 교사들을 위한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정보교육학회 23 (23): 629-637, 2019
9 교육부, "초등 5학년 교사용 지도서" 2015
10 김한성 ; 전수진 ; 최승윤 ; 김성애, "인공지능의 이해와 사회적 영향력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3 (23): 21-29, 2020
11 교육부, "인공지능시대 교육정책의 방향과 과제" 2021
12 변순용, "인공지능 윤리하다" 어문학사 2020
13 변순용, "인공지능 윤리기준 실천을 위한 교육 실행 방안 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1-114, 2021
14 변순용, "인공지능 윤리교육 내용체계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21 : 265-288, 2021
15 안정용, "인공지능 윤리 : 지각된 인공지능 자유의지가 인공지능의 윤리적 책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16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윤리적 인공지능을 위한 국가정책 수립" 2020
17 김병조 ; 김현배, "엔트리 텍스트 모델 학습을 활용한 초등 인공지능 교육 내용 개발" 한국정보교육학회 26 (26): 65-73, 2022
18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이 중심이 되는 인공지능 윤리기준"
19 변순용, "로봇윤리란 무엇인가?" 어문학사 2015
20 교육부, "도덕과 교육과정"
21 교육부, "도덕과 교육과정"
22 교육부, "도덕 5 교사용 지도서" 지학사 2019
23 교육부, "국민과 함께하는 미래형교육과정 추진계획(안)" 2021
24 이은경, "국내외 초·중등학교 인공지능 교육과정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3 (23): 37-44, 2020
25 변순용, "AI 윤리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원 31 (31): 153-164, 2020
26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인권 감수성 측정 도구에 내재한 제 문제 고찰 - 인권 개념 및 인권교육을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