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분석 심리치료에 근거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취약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735280
대전 :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5
학위논문(박사) -- 대전대학교 대학원 , 행정학과 공공사회복지 , 2015. 2
2015
한국어
대전
140 ; 26 cm
지도교수: 곽현근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분석 심리치료에 근거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취약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분석 심리치료에 근거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취약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와 실증조사분석을 함께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문헌조사에서는 기존의 학술서적, 학술논문, 학위논문, 연구보고서 등을 살펴보면서 본 연구의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에 대해 이론적으로 논의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이런 이론적 논의의 결과를 토대로 해서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실증분석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대전광역시의 취약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초등학교 방과후학교의 취약아동 5명과 지역아동센터의 취약아동 6명을 각각 아동집단으로 구성하여, 정신분석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2014년 5월~8월에 걸쳐서 각각 10주(1주에 2회기)동안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원활한 진행을 위하여, 매 회기마다 보조 미술치료사 두 명의 도움을 받았다.
본 연구에서는 전실험설계에 근거한 질적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정신분석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이전과 실시하기 이후에 미술적 분석도구인 HTP(집-나무-사람)검사와 비미술적 분석도구인 문장완성검사(SCT)를 대상 아동에게 실시하였다. 여기서 HTP검사는 자아의 무의식적 정신세계를 보여주는 투사적 도구이고, 문장완성검사는 자아의 여러 영역과 관련된 자유연상을 보여주는 투사적 도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통계분석을 하지 않았고, 그 대신에 HTP검사와 문장완성검사를 통해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사이의 변화를 질적 분석하여, 정신분석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취약아동의 자아존중감을 증진하는 데 효과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조사대상자 각각이 정신분석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보여준 작품, 행동 변화, 태도와 같은 비언어적 표현과 언어적 표현에 주목하면서, 조사대상자 각각이 자아존중감에서 변화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정신분석 집단미술치료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조사대상자 아동의 행동이나 활동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정신분석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조사대상자 각각의 자아가 더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방향으로 나가는 데 이바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도 본 연구에서는 정신분석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취약아동의 총체적 자아존중감을 크게 증진하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조사대상자 각각이 그린 집그림, 나무그림, 남성그림, 여성그림을 통해 나타난 자아 관련 특성을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기 이전과 이후 각각에 대해 분석한 결과, 정신분석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조사대상자 각각의 자아를 증진시킨다는 점이 각 그림의 변화에서 분명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문장완성검사를 통해 나타난 자아 관련 특성을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기 이전과 이후 각각에 대해 분석한 결과, 정신분석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조사대상자 각각의 자아존중감의 여러 하위요인에서 긍정적으로 변화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여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에서 실시한 정신분석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취약아동의 자아존중감을 증진하는 데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아존중감의 여러 하위요인 중에서, 본 연구에서 실시한 정신분석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취약아동의 총체적 자아존중감을 증진하는 데 특히 이바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런 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취약아동의 정신보건과 관련된 정책적 시사점으로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취약아동의 정신보건을 다루는 영역에서는 다른 프로그램과 더불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지역사회에서 취약아동의 정신보건에 관여하는 전문 인력이나 사회복지사에게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대해 기본적인 지식을 제공하는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지역사회의 미술치료 전문가가 방과후학교와 지역아동센터를 비롯한 아동복지기관에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유료나 자원봉사로 실시하는 것을 도와주는 공적 시스템을 갖출 필요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첫째,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더 넓은 범위에 일반화하기 어렵다는 점, 둘째, 본 연구에서 실시한 정신분석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관련해 과도한 일반화의 위험이 있다는 점, 셋째, 본 연구에서 실시한 정신분석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 증진의 모든 부분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기 어렵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1 이은진, "미술치료", 동문사, 서울: 동문사, 2008
2 송인섭, "자아개념", 학지사, 서울: 학지사, 2013
3 정옥분, "아동 발달의 이해", 학지사, 서울: 학지사, 2002
4 주리애, "미술치료는 미술치료", 서울: 학지사, 2000
5 김말숙, "새롭게 보는 미술치료", 서울: 교육과학사, 2007
6 류정미, 오승진, "「미술심리진단평가」", 서울: 동문사, 2014
7 고진영, 이경화, "「유아 자아개념 검사」", 서울: 학지사, 2003
8 곽형식,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형설, 서울: 나남출판, 2000
9 정현희, "실제 적용 중심의 미술치료", 서울: 학지사, 2011
10 고진영, 이경화, 박숙희, 김연진, "「유아동기 정신건강의 이해」", 서울: 동문 사, 2010
1 이은진, "미술치료", 동문사, 서울: 동문사, 2008
2 송인섭, "자아개념", 학지사, 서울: 학지사, 2013
3 정옥분, "아동 발달의 이해", 학지사, 서울: 학지사, 2002
4 주리애, "미술치료는 미술치료", 서울: 학지사, 2000
5 김말숙, "새롭게 보는 미술치료", 서울: 교육과학사, 2007
6 류정미, 오승진, "「미술심리진단평가」", 서울: 동문사, 2014
7 고진영, 이경화, "「유아 자아개념 검사」", 서울: 학지사, 2003
8 곽형식,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형설, 서울: 나남출판, 2000
9 정현희, "실제 적용 중심의 미술치료", 서울: 학지사, 2011
10 고진영, 이경화, 박숙희, 김연진, "「유아동기 정신건강의 이해」", 서울: 동문 사, 2010
11 박선영, "「심리평가 워크샵(BGT, SCT, HTP, KFD)」", 서울: 심리상담교 육연구회, 2013
12 전귀연, 최보가, "자아존중감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I)", 「대한가정학회지」, 31(2): 41-54, 1993
13 김광혁, "「거점형 지역아동센터의 역할과 과제」",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서울특별시 여성가족재 단 연구사업 보고서, 2012
14 김 렬, "「사회과학도를 위한 연구조사 방법론」", 서울: 박영사, 2011
15 옥금자, "「집단미술치료 방법론 I: 이론과 기법」", 서울: 하나의학사, 2006
16 권지성, 최운선, 안재진, 변미희, "국내 입양아동의 자아개념에 관한 종단연구", 한국가족복지학회, 「한국가족복지학」, 14(4): 261-279, 2009
17 남숙경, 이지희, 이상민, 이자영, 이미경, "Rosenberg의 자아존중감 척도: 문항수준 타당도분석",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1): 173-189, 2009
18 최해림,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우울증, 가정적 자아와의 관계", 「한국심리 학회지: 상담과 심리치료」, 11(2): 183-197, 1999
19 이윤주, "문장완성검사에 나타난 대학생의 자아분화와 부모화", 「상담학연 구」, 14(6): 3391-3407, 2013
20 김희숙, 하태희, "중학생의 자존감, 의사소통 및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관계", 한국보건간호학회,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4(1): 93-104, 2010
21 곽현근, "개인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동네효과 연구", 지방 정부연구 12(4): 203-224, 2008
22 이은영, 탁영란, "청소년의 성차에 따른 자아존중감, 신체적 및 정신적 건 강", 아동간호학회, 「아동간호학회지」 , 7(4): 474-482, 2001
23 김영옥 ( Young Ock Kim ), 김성회 ( Seong Hoi Kim ), "가정폭력 노출 아동용 자아존중감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한국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연구」, 26(3): 43-68, null
24 지규남,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나사렛대학교, 나사 렛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25 최은희, "집단미술치료가 시설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서울여대 특수치료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26 김연옥,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평택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27 최성희,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 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예술치료학회, 「한국예술치료학회」, 9(1): 193-217, 2009
28 이수진, "자크 라캉(Jacques Lacan)의 이론에 기초한 정신분석적 미술치료 연구",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교육과학과 박사학위논문, 2013
29 김미숙, "지역사회 빈곤아동 지원정책 고찰: 지역아동센터 정책을 중심으로", 「보건복지포럼」, 4월: 78-90, 2006
30 박선희, 정규석,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관한 다체계 모델 검증",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26(1): 433-452, 2010
31 박인숙, "집단미술치료가 복지시설아동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32 정여주,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28(4): 97-111, 2007
33 이도균, 한면택, 조경덕., "집단미술치료가 농촌지역 아동들의 자아존중감 향 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정서행동장애연구」, 29(4): 273-294, 2013
34 강명희, 신근화, "집단미술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대한아동복지학회, 「아동복지연구」, 9(2): 85-111, 2011
35 이진,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태도에 미치는 영 향",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36 박부진, 유승은, "아동의 자아개념형성과 자아발달 촉진을 위한 집단모래놀 이치료 효과",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 32(3): 163-184, 2011
37 김효지,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38 남현우, 이지현, "집단미술치료를 통한 저소득층가정 아동의 자아개념 증진 미술치료연구", 6(1): 57-72, 1999
39 김주남, 윤선아, "선행연구 고찰을 통한 자아존중감의 의미와 필요성 : 아동 기를 중심으로",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뇌교육연구소, 「뇌교육연구」, 7: 89-108, 2011
40 이영환, 정남주,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문제행동과 자아존중감 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협회, 「심리행동연구」, 1(2): 23-42, 2009
41 신연수, "방과 후 원예활동이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성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13(6): 33-39, 2010
42 정인희, "성인 생애주기별 자아존중감과 영향요인 연구: 청년, 중년, 노년층의 비교", 「한국위기관리논집」, 8(6): 231-247, 2012
43 오영미,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 는 효과",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44 한윤경, "한부모 가족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미술치 료 사례연구", 한국미술치료학회, 「미술치료연구」, 13(1), 49-72, 2006
45 조선이 ,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결손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에 미치는 효과",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46 박지선,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표현력 및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치료학회」, 10(1): 127-147, 2010
47 석소현, 신성희, "양부모 가정과 한부모 가정 학령기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교", 한국간호과학회, 「대한간호학회지」, 40(3): 367-377, 2010
48 남상권, 하미용,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치료학회, 「한국예술치료학회지」, 2: 219-245, 2011
49 김효은,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공부방아동의 자아 존중감 및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효과", 예술심리치료연구」, 4(2), 175-197, 2008
50 조수경, "정신분석이론에 기초한 미술치료. 「심성계발을 위한 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11-17", 서울: 한국심성교육개발원, 2008
51 김인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모자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17(2): 205-227, 2010
52 유경순,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언어장애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또래관계 향상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53 오금조 ( Geum Jo O ), 유영달 ( Young Dal You ),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 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사회성과 부모표상 지각에 미치는 효과", 한국가족복지학회, 한국가족복지학회」, 15(1): 83-100, 2010
54 김정희, "자아존중감향상 집단프로그램이 실업계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55 목진세,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효과성 연구 : 지역아동센터를 중심으로", 성결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56 김재철, 김호, "방과후 학교 참여가 아동의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창의성의 매개효과", 순천향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31(2): 172-199, 2012
57 박정원, 정유희,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건강상태 스트레스 연구」", 20(4): 309-320, 2012
58 김경근, "사회양극화와 방과후학교. 「방과후학교의 이론적철학적 기반 정 립을 위한 세미나 자료집」. 34-64", 서울: 교육인적자원부한국교육개발원, 2007
59 김정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참여가 저소득층 한부모가족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한국생활과학회지」, 20(5): 967-981, 2011
60 박승숙,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 한국 JP 모간 사회공헌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예술연구」, 제8호: 59-110, 2013
61 전순영, 허정선, "긍정심리학에 근거한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미술치료연구」, 20(1): 187-213, 2013
62 하은혜, "「문장완성검사(SCT)의 이해와 적용」. 서울: 국립특수연구원. 한국미술치료학회 편. (1994). 「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서울: 동아문화사, 2008
63 박시혜자, 이유현, 송승민, "무상급식 수혜 대상인 빈곤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비빈곤아동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2(3): 407-416,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