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기업집단 다각화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study on the effect of conglomerate diversification for corporate economic perform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2643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집단의 다각화가 기업집단 전체의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하여 업종의 집중화와 다변화 정도를 비교하여 그 성과를 살펴봄으로써 기업경영자 및 정부의 정책입안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기업집단 다각화로 인한 경영 성과는 단기간에 나타나지 않으므로 2001년과 2004년을 기준으로 경영성과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기업의 다각화 정도를 총 다각화 수준, 관련 산업으로의 다각화와 비관련 산업으로의 다각화 수준으로 구분하여 측정하기 위하여 Jacquemin & Berry의 엔트로피 지수를 사용하였다. 다각화 수준에 의해 분류된 기업집단군의 경영성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가장 적절한 자료로 알려진 매출액순이익률을 사용하였다. 집단간의 성과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t-검증, 분산분석 그리고 맨-휘트니 U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기준연도인 2001년과 2004년에서 기업집단의 총 다각화 수준에 따른 경영 성과 간에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관련 다각화 수준의 상대적인 분류를 통해 관련 다각화 수준과 경영성과간의 비교분석한 결과, 2001년에는 관련 산업으로의 다각화 수준이 높은 기업집단이 관련 다각화 수준이 낮은 기업에 비하여 높은 경영성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2004년에는 둘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아 관련 산업으로의 다각화 전략이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없다. 또한 비관련다각화 수준에 따른 기업성과 비교 결과에서도 상대적인 비관련다각화 수준에 따른 기업성과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기업집단의 다각화는 경영성과와 관련성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집단의 다각화가 기업집단 전체의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하여 업종의 집중화와 다변화 정도를 비교하여 그 성과를 살펴봄으로써 기업경영자 및 정...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집단의 다각화가 기업집단 전체의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하여 업종의 집중화와 다변화 정도를 비교하여 그 성과를 살펴봄으로써 기업경영자 및 정부의 정책입안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기업집단 다각화로 인한 경영 성과는 단기간에 나타나지 않으므로 2001년과 2004년을 기준으로 경영성과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기업의 다각화 정도를 총 다각화 수준, 관련 산업으로의 다각화와 비관련 산업으로의 다각화 수준으로 구분하여 측정하기 위하여 Jacquemin & Berry의 엔트로피 지수를 사용하였다. 다각화 수준에 의해 분류된 기업집단군의 경영성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가장 적절한 자료로 알려진 매출액순이익률을 사용하였다. 집단간의 성과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t-검증, 분산분석 그리고 맨-휘트니 U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기준연도인 2001년과 2004년에서 기업집단의 총 다각화 수준에 따른 경영 성과 간에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관련 다각화 수준의 상대적인 분류를 통해 관련 다각화 수준과 경영성과간의 비교분석한 결과, 2001년에는 관련 산업으로의 다각화 수준이 높은 기업집단이 관련 다각화 수준이 낮은 기업에 비하여 높은 경영성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2004년에는 둘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아 관련 산업으로의 다각화 전략이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없다. 또한 비관련다각화 수준에 따른 기업성과 비교 결과에서도 상대적인 비관련다각화 수준에 따른 기업성과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기업집단의 다각화는 경영성과와 관련성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corporate officers and government policy makers with valuable information by investigating the effect of conglomerate diversification for corporate economic performance. Because the effect of conglomerate diversification on corporate economic performance can not be measured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 analyses of the data on the year 2001 and 2004 were conducted by comparing the degrees of the corporate economic performance in the related and non-related industries.
      Entropy Index Method developed by Jacquemin and Berry are employed to measure the degrees of corporate diversification for both related and non-related industries. Also, t-test, ANOVA test, and Mann-Whitney U-test were employed to test the degrees of corporations economic performance which can be represented by R.O.S. according to their diversification level.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not any differences on the corporate economic performance between the year 2001 and 2004 in the level of corporate diversification. In the case of the related industries, highly diversified firms show higher corporate economic performance than low diversified firms in the year 2001, whil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year 2004. Also, in non-related industries, highly and low diversified firms do not show any differences. Overall, the effect of conglomerate diversification is not significant on the corporate economic performanc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corporate officers and government policy makers with valuable information by investigating the effect of conglomerate diversification for corporate economic performance. Because the effect of conglomerate div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corporate officers and government policy makers with valuable information by investigating the effect of conglomerate diversification for corporate economic performance. Because the effect of conglomerate diversification on corporate economic performance can not be measured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 analyses of the data on the year 2001 and 2004 were conducted by comparing the degrees of the corporate economic performance in the related and non-related industries.
      Entropy Index Method developed by Jacquemin and Berry are employed to measure the degrees of corporate diversification for both related and non-related industries. Also, t-test, ANOVA test, and Mann-Whitney U-test were employed to test the degrees of corporations economic performance which can be represented by R.O.S. according to their diversification level.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not any differences on the corporate economic performance between the year 2001 and 2004 in the level of corporate diversification. In the case of the related industries, highly diversified firms show higher corporate economic performance than low diversified firms in the year 2001, whil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year 2004. Also, in non-related industries, highly and low diversified firms do not show any differences. Overall, the effect of conglomerate diversification is not significant on the corporate economic performa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 목적 = 1
      • 2. 다각화와 기업가치 관련 선행연구 = 3
      • 3. 연구 방법과 범위 = 6
      • Ⅱ.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 검토 = 8
      • Ⅰ. 서론 = 1
      • 1. 연구 목적 = 1
      • 2. 다각화와 기업가치 관련 선행연구 = 3
      • 3. 연구 방법과 범위 = 6
      • Ⅱ.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 검토 = 8
      • 1. 기업집단의 의의 = 8
      • 2. 다각화의 목적과 동기 = 9
      • (1) 다각화의 의의 = 9
      • (2) 다각화의 목적 = 11
      • (3) 다각화의 동기 = 13
      • (4) 다각화에 관한 실증연구 검토 = 18
      • 3. 다각화의 유형과 효과 = 21
      • (1) 다각화 방법에 의한 분류 = 21
      • (2) 시장에 의한 다각화 분류 = 26
      • (3) 전략에 의한 분류 = 29
      • 4. 기업집단 다각화와 다각화도의 측정 = 35
      • (1) 기업집단 다각화의 의의 = 35
      • (2) 기업집단 다각화의 특성 = 36
      • (3) 기업집단 다각화도의 측정 = 39
      • 5. 다각화와 경영성과에 관한 선행 연구 = 42
      • (1) 국외 연구 = 44
      • (2) 국내 연구 = 49
      • Ⅲ. 연구설계 = 54
      • 1. 연구 모형 = 54
      • 2. 연구 가설 및 분석 방법 = 57
      • Ⅳ. 실증분석 = 60
      • 1. 분석 대상 및 자료 = 60
      • 2. 실증분석 결과 = 65
      • (1) 다각화지수 측정 결과 = 65
      • (2) 가설 검증 결과 = 70
      • Ⅵ. 결론 = 80
      • 1. 연구의 요약 = 80
      • 2.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 82
      • 참고문헌 = 84
      • ABSTRACT = 89
      • <부록-1> 우리나라 기업집단의 변천 = 91
      • <부록-2> 우리나라 기업집단의 규제제도 = 9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