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청원경찰의 직무환경과 직무불안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Impact of Job Satisfactions Related to Job environment and Uneasiness in Private Police Guar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5985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evidence the impact of job satisfactions related to job environments and uneasiness in private police guards, which was becoming social issues in current year 2014 in terms of natural retirement, system of...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evidence the impact of job satisfactions related to job environments and uneasiness in private police guards, which was becoming social issues in current year 2014 in terms of natural retirement, system of command and problems of status .etc. of the private police guards for the objective research analysis.
      This research selected the 115 current private police guards for more in- depth and detailed analysis by establishing the job uneasiness factors such as rank system, natural retirement, management system which were issued by social arguments, and then,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impact of job satisfactions related to job environment and uneasiness in private police guards.
      For the purpose of this subject several analysis methods were combined and used such as the t- verification, ANOVA analysis method, and regression analysis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recognitions of job environment contents of work, promotions, and social recognition the research showed the fact that three factors of the data revealed different value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s of working areas and the owners for peti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relations between the private police guards and superior police guards, in the low level of ranks the private police guards were recognized the relations with positive thinking.
      Second, in terms of job uneasiness, in the aspects of uneasiness of rank systems,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index revealed more highly the private police guards who work in Chungnam areas than the private police guards who work in Seoul areas.
      On the other hand, the index showed the fact that the uneasiness of natural retirement and management system did not much reveal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age, rank, and working experiences. As a results, the index of research meant that all of the private police guards had the job uneasiness generally.
      Third, the study showed the working environmental factors which impacted on job satisfactions were working autonomies and wages ,and the data also showed the factors of working uneasiness were the natural retirements and management systems. Such results from this study meant that most of the private police guards thought and recognized and received seriously the problems of natural retirements and managements which were become the strong issues for a long times.
      Accordingly, the problems of private police guard's natural retirements and managements which become to reissue currently should be changed positively for the increasing of courage and efficiency of security job.
      Finally, this study suggests all of the private police guards should be received the same conditions for secure employment in terms of status and command system, at the same time, the study also proposes the command system should be changed to the unification syst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14년 현재 사회적으로 논의되는 청원경찰의 당연퇴직 및 지휘체계, 신분문제 등이 실질적으로 청원경찰의 직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2014년 현재 사회적으로 논의되는 청원경찰의 당연퇴직 및 지휘체계, 신분문제 등이 실질적으로 청원경찰의 직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구체적으로 현직 청원경찰 115명을 대상으로 하여 사회적으로 논의되는 직급체계, 당연퇴직, 관리체계를 직무불안 요인으로 설정하고, 직무환경 만족과 직무불안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t-검증과 ANOVA 분석,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직무환경 인식 중 직무내용, 승진, 사회적 인정은 근무지역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두 가지 요인에 의한 것으로써 근무지역의 환경과 청원주의 차이에 따른 것으로 볼 수 있다. 상사관계의 경우 낮은 직급에서는 상사와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불안의 경우 충남지역 청원경찰이 서울지역 청원경찰에 비해 직급체계 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당연퇴직과 관리체계 불안은 근무지역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연령대와 직급 및 근무경력에 따른 직급체계, 당연퇴직과 관리체계 불안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직무불안이 청원경찰에게 일반적인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셋째, 직무만족에 미치는 직무환경 요인은 업무자율성과 임금이었고, 직무불안 요인은 당연퇴직과 관리체계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그 동안 논의된 청원경찰의 당연퇴직과 직무체계 문제가 청원경찰들에게 실질적으로 심각하게 인식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재 논의되고 있는 당연퇴직, 관리체계 문제는 청원경찰의 사기진작이나 원활한 안전업무를 위해 적극적으로 변화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신분 및 지휘체계에 있어서 모든 청원경찰이 동일한 고용안정을 보장받아야 하며, 일원화 된 지휘체계로 변화될 것을 제안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목적 3
      • 3. 연구모형 4
      • 4. 연구가설 5
      • I.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목적 3
      • 3. 연구모형 4
      • 4. 연구가설 5
      • 5. 연구의 제한점 6
      • 6. 용어의 정리 6
      • 7. 선행연구 검토 7
      • II. 이론적 배경 9
      • 1. 청원경찰제도 9
      • 2. 직무만족과 직무불만족 11
      • III. 연구방법 19
      • 1. 연구대상 19
      • 2. 조사도구 20
      • 3. 연구절차 24
      • 4. 자료처리 26
      • IV. 연구결과 27
      • 1. 기술통계 27
      • 2.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청원주에 따른 직무환경 인식 차이8
      • 3.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청원주에 따른 직무불만족 차이 30
      • 4. 직무환경 인식과 직무불만족이 전반적인 만족에 미치는 영향 31
      • V. 논의 35
      • 1. 청원경찰의 직무환경 인식 차이 35
      • 2. 청원경찰의 직무불만족 차이 36
      • 3. 청원경찰의 직무환경 인식과 직무불만족이 전반적 만족에 미치는 영향 36
      • VI. 결론 38
      • 참고문헌 40
      • 1. 국내문헌 40
      • 2. 외국문헌 41
      • 설문지 43
      • 부록 5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