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국 대련지역 남자대학생의 패션행동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4380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1) to analyze the factor of fashion behavior, 2) to identify fashion behavior differences according to demorgraphic characteristic, 3) to identify their preference clothing, wearing behavior, purching behavior, price evaluation creteria, and 4) to identify preference clothing, wearing behavior, purching behavior, price evaluation creteria differences according to demorgraphic characteristic.
      The data were collected by Dalin industrial College Students were excluded in this research. The research was held among young people at the age of about twenty in Dalian. I handed out 600 questionnaires in the three cities and look 573 questionnaires back, out of which 552 were used as the basic material for the analysis. These 522 questionnaires included 178 in Beijing, 200 in Shanghai, 175 in Dalian,
      Spss 10.0 for windows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in the study. This study were anlyzed the frequency analysis, T/F-test, the factor analysis, ANOVA, and Sheffe's Test for the post hoctest, Crossstabs and x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Fashion behavior factor of college male in Dailin, China were analyzed
      6 factors(fashiopn satisfaction type, high price oriented type, fashion leader type, practical fashion type, others defendence type, uique fahion type)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incom, 연령, parents' education, parents' job, hight, weigh, clothing size, major.

      3)The Casual shoes best brand college male in Dailin, China is NIKE, The Casual bag best brand is Dior, and The jean's best brand is Jack-Jones. and they like made in China as production nation about fashion goods, the Casual wear best material is cotton, the best accessory is warch, the best fashion style is China style.

      4)The average number of clothing of college male in Dailin, China is 11-30, The average belonging number in casual wear is 1-20, the average wearing period in one clothing is 1-12 months, The average number in casual wear purching is 1-5.

      5) The best fashion source of college male in Dailin, China is Advertising , purchising price is make's selling agency ; 118(47.2%), purchasing period is the before of on sesion ;110(44.0%), the companion in fashion goods purchsing is by my self ; 74(29.6%), fashion purchsing motivation is for School ;107(42.8%).

      6) The clothing price evaluation creteria is 1)the average annual price in clothing ; less then 5000000 yien, the average price annual in casual wear ; less then 3000000 yien, the resonable price in casual wear; 1,000,000-3,000,000 yien, the resonable price in Jean's wear; 1,000,000-2,000,000 yie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1) to analyze the factor of fashion behavior, 2) to identify fashion behavior differences according to demorgraphic characteristic, 3) to identify their preference clothing, wearing behavior, purching behavior, price 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1) to analyze the factor of fashion behavior, 2) to identify fashion behavior differences according to demorgraphic characteristic, 3) to identify their preference clothing, wearing behavior, purching behavior, price evaluation creteria, and 4) to identify preference clothing, wearing behavior, purching behavior, price evaluation creteria differences according to demorgraphic characteristic.
      The data were collected by Dalin industrial College Students were excluded in this research. The research was held among young people at the age of about twenty in Dalian. I handed out 600 questionnaires in the three cities and look 573 questionnaires back, out of which 552 were used as the basic material for the analysis. These 522 questionnaires included 178 in Beijing, 200 in Shanghai, 175 in Dalian,
      Spss 10.0 for windows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in the study. This study were anlyzed the frequency analysis, T/F-test, the factor analysis, ANOVA, and Sheffe's Test for the post hoctest, Crossstabs and x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Fashion behavior factor of college male in Dailin, China were analyzed
      6 factors(fashiopn satisfaction type, high price oriented type, fashion leader type, practical fashion type, others defendence type, uique fahion type)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incom, 연령, parents' education, parents' job, hight, weigh, clothing size, major.

      3)The Casual shoes best brand college male in Dailin, China is NIKE, The Casual bag best brand is Dior, and The jean's best brand is Jack-Jones. and they like made in China as production nation about fashion goods, the Casual wear best material is cotton, the best accessory is warch, the best fashion style is China style.

      4)The average number of clothing of college male in Dailin, China is 11-30, The average belonging number in casual wear is 1-20, the average wearing period in one clothing is 1-12 months, The average number in casual wear purching is 1-5.

      5) The best fashion source of college male in Dailin, China is Advertising , purchising price is make's selling agency ; 118(47.2%), purchasing period is the before of on sesion ;110(44.0%), the companion in fashion goods purchsing is by my self ; 74(29.6%), fashion purchsing motivation is for School ;107(42.8%).

      6) The clothing price evaluation creteria is 1)the average annual price in clothing ; less then 5000000 yien, the average price annual in casual wear ; less then 3000000 yien, the resonable price in casual wear; 1,000,000-3,000,000 yien, the resonable price in Jean's wear; 1,000,000-2,000,000 yie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 대련지역 남자대학생(275명)을 대상으로 패션행동요인을 분석하고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패션행동요인 차이 검증하였으며, 선호의복, 착용행동, 구매행동, 평가기준의 특성을 알아보고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선호의복의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07년 6월 12일부터 2007년 6월 26일 중국 대련공업대학교 재학하고 있는 남자대학생에게 설문지를 300부 배부하여 275부를 회수하였으며, 250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논문은 연구문제를 실증적으로 연구하기 위해서 설문지법(5점 리커트)을 이용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크게 5부분으로 구성되었는데, I부에서는 패션태도에 관한 문항, II부에서는 선호하는 의복에 관한 문항, III부에는 의복착용행동문항, IV부에서는 의복구매행동과 평가기준에 관한 문항, V부 에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조사하기 위한 인구통계적 문항이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를 SPSS 10.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분석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문제의 규명을 위하여 분석방법으로는 각 점수분포의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산술평균, 표준편차, 빈도분석, t/f(t/f-test)검증, 요인분석(FactorAnalysis), 분산분석(ANOVA), 교차분석(crossbate analysis), 사후검증을 위해 Sheffe's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중국 대련 남자대학생의 패션태도요인은 패션만족/관심형,고가상품지향형,패션리더형,실용적패션형,타인의존형,특이 패션지향형의 6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패션만족/관심성향은 인구통계학적 변인 중 (가계소득, 연령, 부모학력, 부모직업, 거주형태, 별자리, 키, 체중, 의복사이즈, 전공분야) 중 가계소득, 부모직업, 몸무게 차이에 따라 패션만족성향은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중국 대련 남자대학생이 평소 가장 선호하는 케주얼신발 브랜드는 나이키 119(47.6%), 가장 선호하는 케주얼가방 브랜드는 디올54(21.6%), 가장 선호하는 청바지 브랜드는 잭존스(Jack-Jones) 91(36.4%), 가장 선호하는 패션제품 생산지는 중국 85(34.0%), 가장 선호하는 케주얼웨어 소재는 면 204(81.6%),가장 선호하는 패션소품은 시계111(44.4%), 가장 선호하는 패션스타일은 중국식 83(33.2%)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국 대련지역 남자대학생의 평상복 수량은 11-30개가 120(48.0%)로 가장 많았으며, 캐주얼웨어 보유 수량은 1-20개가 197(78.8%)로 가장 많았으며, 의복 1개의 평균 착용기간은 1-12개월이 128(51.2%)로 가장 많았으며,연평균 캐주얼웨어 구입수량은 1-5점이 159(63.6%)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국 대련지역 남자대학생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패션정보원은 광고이며, 패션제품 구입 장소는 유명메이커 대리점, 패션제품 구입시기는 제철이 되기 전, 패션제품 구입시 구매동행인은 혼자, 패션제품 구입동기로는 “학교가기 위해서“ 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국 대련지역 남자대학생의 의복평가기준은 연평균 의복구입비로 500만 위엔 이하가 가장 많았으며, 연평균 캐주얼웨어 구입비로 300만 위엔 이), 캐주얼웨어 적정가격으로 101-300만 위엔, 청바지 적정가격으로 101-200만 위엔 이 가장 많은 것으로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중국 대련지역 남자대학생(275명)을 대상으로 패션행동요인을 분석하고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패션행동요인 차이 검증하였으며, 선호의복, 착용행동, 구매행동, 평가기준의 특...

      본 연구는 중국 대련지역 남자대학생(275명)을 대상으로 패션행동요인을 분석하고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패션행동요인 차이 검증하였으며, 선호의복, 착용행동, 구매행동, 평가기준의 특성을 알아보고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선호의복의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07년 6월 12일부터 2007년 6월 26일 중국 대련공업대학교 재학하고 있는 남자대학생에게 설문지를 300부 배부하여 275부를 회수하였으며, 250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논문은 연구문제를 실증적으로 연구하기 위해서 설문지법(5점 리커트)을 이용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크게 5부분으로 구성되었는데, I부에서는 패션태도에 관한 문항, II부에서는 선호하는 의복에 관한 문항, III부에는 의복착용행동문항, IV부에서는 의복구매행동과 평가기준에 관한 문항, V부 에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조사하기 위한 인구통계적 문항이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를 SPSS 10.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분석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문제의 규명을 위하여 분석방법으로는 각 점수분포의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산술평균, 표준편차, 빈도분석, t/f(t/f-test)검증, 요인분석(FactorAnalysis), 분산분석(ANOVA), 교차분석(crossbate analysis), 사후검증을 위해 Sheffe's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중국 대련 남자대학생의 패션태도요인은 패션만족/관심형,고가상품지향형,패션리더형,실용적패션형,타인의존형,특이 패션지향형의 6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패션만족/관심성향은 인구통계학적 변인 중 (가계소득, 연령, 부모학력, 부모직업, 거주형태, 별자리, 키, 체중, 의복사이즈, 전공분야) 중 가계소득, 부모직업, 몸무게 차이에 따라 패션만족성향은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중국 대련 남자대학생이 평소 가장 선호하는 케주얼신발 브랜드는 나이키 119(47.6%), 가장 선호하는 케주얼가방 브랜드는 디올54(21.6%), 가장 선호하는 청바지 브랜드는 잭존스(Jack-Jones) 91(36.4%), 가장 선호하는 패션제품 생산지는 중국 85(34.0%), 가장 선호하는 케주얼웨어 소재는 면 204(81.6%),가장 선호하는 패션소품은 시계111(44.4%), 가장 선호하는 패션스타일은 중국식 83(33.2%)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국 대련지역 남자대학생의 평상복 수량은 11-30개가 120(48.0%)로 가장 많았으며, 캐주얼웨어 보유 수량은 1-20개가 197(78.8%)로 가장 많았으며, 의복 1개의 평균 착용기간은 1-12개월이 128(51.2%)로 가장 많았으며,연평균 캐주얼웨어 구입수량은 1-5점이 159(63.6%)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국 대련지역 남자대학생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패션정보원은 광고이며, 패션제품 구입 장소는 유명메이커 대리점, 패션제품 구입시기는 제철이 되기 전, 패션제품 구입시 구매동행인은 혼자, 패션제품 구입동기로는 “학교가기 위해서“ 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국 대련지역 남자대학생의 의복평가기준은 연평균 의복구입비로 500만 위엔 이하가 가장 많았으며, 연평균 캐주얼웨어 구입비로 300만 위엔 이), 캐주얼웨어 적정가격으로 101-300만 위엔, 청바지 적정가격으로 101-200만 위엔 이 가장 많은 것으로나타났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