四柱命理를 포함한 점복업은 맹인의 오래된 직업으로서 한국인의 삶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현대 사회 문화의 일부분으로 거듭나고 있다. 특히 조선시대에는 賤人이라도 命課學을 통하여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095825
서울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2
학위논문(박사)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 미래예측학과 명리학전공 , 2022. 2
2022
한국어
서울
x, 195 p. ; 26 cm
지도교수: 金萬泰
I804:11101-20000060996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四柱命理를 포함한 점복업은 맹인의 오래된 직업으로서 한국인의 삶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현대 사회 문화의 일부분으로 거듭나고 있다. 특히 조선시대에는 賤人이라도 命課學을 통하여 ...
四柱命理를 포함한 점복업은 맹인의 오래된 직업으로서 한국인의 삶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현대 사회 문화의 일부분으로 거듭나고 있다. 특히 조선시대에는 賤人이라도 命課學을 통하여 관직에 나갈 수 있었기 때문에 점복은 맹인들의 생계를 책임지며 사회적 편견에 맞설 수 있는 직업으로서 선호되었다. 하지만 현대에는 증가하고 있는 점복 시장의 규모에 비해 맹인들의 비중이 오히려 줄어들고 있으며 그들의 명리 이론 또한 전승되고 있지 않다. 이러한 때, 중국 맹인 점복인들이 사주팔자를 기반으로 운명의 吉凶禍福을 豫斷하는 盲派命理가 이를 계승한 正眼人 점복인들의 전파에 의해 한국으로 유입되었다.
맹인에게만 전수하는 폐쇄성이 만들어낸 盲派命理의 신비감은 命理人들의 기대감을 증폭시키며 그 적용 사례를 늘려가고 있다. 명리학의 발전은 다양한 사주분석 방법의 토대가 되는 이론들을 증명하는 측면에서도 이룰 수 있다. 하지만 盲派命理에 관한 자료들은 상당한 부분이 감춰져 있고, 이러한 이유로 드러나 있는 명리 이론 역시 여실히 증명되지 않았다. 盲派命理에 관한 선행연구에서도 盲派命理 이론의 일부 내용만을 선별하여 설명함으로써 그 한계를 보이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盲派命理 이론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논의함으로써 盲派命理 이론을 체계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그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우리나라 命課學의 전개과정과 근대 이후 맹인 점복의 상황 변화를 살핌으로써 현대 맹인 점복인들의 모습을 조명하였다. 한국 점복시장에서 논의되는 盲派命理는 일반적으로 段建業 盲派命理를 지칭한다. 2000년대 한국으로 유입되어 사주 상담과 교육의 현장에서 그 이론을 보이는 段建業 盲派命理는 段建業이 盲師에게 전달받은 실전 비결에 자신의 論命法을 더하여 만들어낸 新生의 명리 이론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盲派命理 이론에는 理法, 象法, 技法이 있는데 이들은 사안에 따라 서로 결합하여 사용해야 한다. 理法에는 賓主•體用•做功•能量•效率•干支配置가 있고, 象法에는 干支象•宮位象•十神象•神殺象이 있으며 口傳心授된 盲師口訣은 技法에 속한다.
盲派命理에서 주장하는 이론적 특징은 子平命理를 근간으로 日主의 쇠왕을 보지 않고 격국과 용신을 논하지 않으며 오행의 生剋制化에 盲師口訣의 技法을 가미한 방법을 간명에 사용하는 데 있다. 그러나 命理書에 예시된 命造의 풀이 과정에서 일주의 쇠왕과 격국, 용신 등의 개념을 盲派命理에서는 體用과 賓主, 干支配置와 能量과 效率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여 간명에 사용하고 있었다. 이러다 보니 사주 주인공의 吉凶禍福과 貧富貴賤에 대한 논점이 자평명리와 어긋나지 않았고, 유연한 관점들을 제시함으로써 사안의 구체적인 측면까지 밝혀낼 수 있다는 장점을 드러내었다. 다만 盲師口訣을 사용한 다양한 直斷法의 활용은 개연성을 염두에 둔 가능성의 측면을 무시한 단언과 확언이라는 점에서 면밀한 검증이 더욱 필요해 보인다.
사주팔자를 통해 운명의 길흉화복을 파악하는 사주명리는 인간의 적극적 실현의지가 반영된 학문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인간 삶의 궁극적 가치가 행복의 지향임을 숙지한다면 사주명리의 생성 이유와 목적이 우리의 인생과 매우 부합한다는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상호 관련성을 바탕으로 한 盲派命理의 유연한 이론체계는 변화하는 현대인의 삶을 반영하고자 노력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盲派命理처럼 검증되지 않은 신생의 명리 이론들이 사주 상담과 교육현장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려해 볼 때 학계의 책임 있는 연구와 이해는 앞으로의 과제로써 꾸준히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관련된 후속 연구가 향후 체계적으로 수행될 수 있기를 희망하는 바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elling divination including Saju Myeongli(四柱命理) has been a major occupation of the blind for a long time. This occupation is being reborn as a part of modern social-cultural aspects while hav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daily lives of th...
Telling divination including Saju Myeongli(四柱命理) has been a major occupation of the blind for a long time. This occupation is being reborn as a part of modern social-cultural aspects while hav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daily lives of the Korean people. Even the lowest class, in particular, was allowed to step into the government officials through Myeonggwahak(命課學) in the Joseon Dynasty. Therefore, telling divination was preferred as an occupation that was responsible for the livelihood of the blind and able to confront social prejudice. In modern times, however, the proportion of blind people is rather decreasing compared to the fact of increased size in the telling divination market. In addition, their theory of Myeongli has not been passed on either. Maengpa Myeongli, which foresees the GilHyeungHwaBok(吉凶禍福) and BinBuGuiChon(貧富貴賤) of the destiny based on the Sajupalja(四柱八字) was introduced to Korean peninsula from the blind people who were telling divination in China under such a situation. Then, it was handed down and spread by the people having normal eyes who are telling divination.
Maengpa Myeongli, which is passed down only to the blind, has closed characteristics. The mysterious feeling created by the closed characteristics amplified the expectations of those who follow Myeongli. Therefore, the number of cases that take advantage of Maengpa Myeongli is also increasing. Myeongli Science(命理學) can make its progress in the course of proving the theories that serve as the basis of various analysis methods on Saju(四柱). However, since the considerable parts of the data with regard to Maengpa Myeongli are hidden, everything in fact has not been proven even in the case of the Maengpa Myeongli theory that is being applied. Previous studies on Maengpa Myeongli also exhibit limitations because only the partial contents of the Maengpa Myeongli theory are selectively explained. Therefore, this study discussed and systematized the overall contents of the Maengpa Myeongli theory, thereby exerting to seek a way of utilizing it.
First of all, by investigat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Myeonggwahak at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situational changes of telling divination by the blind since modern times, this study shed light on the status of the blind divination-tellers. MaengpaMyeongli, which is being discussed in the divination-telling market of the Korean peninsula, generally refers to the Maengpa Myeongli of Tuan Jianye(段建業). The MaengpaMyeongli of Tuan Jianye, which flowed into South Korea in the 2000s, reveals its theory both in educational settings and Saju counseling of individuals. Tuan Jianye created a new theory of Myeongli by adding his own method of interpreting Sajupalja to the practical know-how that was conveyed from his Blind master(盲師) and this is referred to as the Maengpa Myeongli of Tuan Jianye. The theories of such a Maengpa Myeongli include Libub(理法), Sangbub(象法), and Gibub(技法), which should be appropriately used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depending on the case. Libub has a placement of Binju(賓主)•Ch’eyong(體用)•Jugong(做功)•Neungryang(能量)•Hyoyul(效率)•Ganjibaechi(干支配置). In addition, Sangbub is classified into GanjiSang(干支象), GungwiSang(宮位象), SibsinSang(十神象), and SinsalSang(神殺象). The know-how that is verbally conveyed by the Blind master, which is referred to Gujeonsimsu(口傳心授: handed via the mouth and taught in the heart), belongs to Gibub.
Since it is based on Japyeong Myeongli(子平命理), one of the theoretical characteristics claimed by Maengpa Myeongli is in that it does not care about the Soewang(衰旺) of Ilju(日主). Moreover, it does not consider Gyeokguk(格局) and Yongsin(用神). In addition, the technique, which adds Maengsagugyeol(盲師口訣: the know-how of the Blind master) to SaenggeukjJehwa(生剋制化) of Ohaeng(五行), is being used to interpret the Sajupalja of individuals. When interpreting Saju of an individual foreseen in the Myeongli book, the Sajupalja of an individual in the case of Maengpa Myeongli was interpreted using the placement of Ch’eyong, Binju, Ganjibaechi and the names of Neungryang and Hyoyul instead of the concepts of Gyeokguk and Yongsin as well as the Soewang of Ilju. As a result, no contradictions in the disputed issues with regard to GilHyeungHwaBok and BinBuGuiChon were identified between Sajupalja of an individual and Japyeong Myeongli. Furthermore, Maengpa Myeongli entail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lucidate specific aspects of the problematic issues by presenting flexible perspectives. The know-how of the Blind master lies in employing a variety of short sentences. So, In this case, a thorough verification seems to be necessary further in that it is to speak firmly and definitely about the Sajupalja of an individual while ignoring the aspect of probability or possibility.
It is necessary to note that Saju Myeongli, which identifies the GilHyeungHwaBok in the destiny of an individual through Sajupalja, is a study reflecting the active will of realization of humans. If it is kept fact in mind that the ultimate value of life is happiness, the reason and purpose that Saju Myeongli has come out are very much in line with human lives. Maengpa Myeongli has a very flexible theoretical structure because it is based on correlation. This has a profound meaning because it is exerted to reflect the lives of modern people.
Other new Myeongli theories being appeared such as Maengpa Myeongli also have a great influence on Saju counseling and education settings, a verification thus should be considered. The responsible study and understanding in academia should be consistently progressed as a future task and it is hoped that the relevant follow-up studies can be conducted systematically in the future.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