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맹자의 도덕적 부끄러움에 관한 감성학적 해명을 통해, 감성이 도덕 판단 및 수행의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다음의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본다. 첫째, 감성을 배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115485
2011
Korean
105
KCI등재
학술저널
135-164(30쪽)
1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맹자의 도덕적 부끄러움에 관한 감성학적 해명을 통해, 감성이 도덕 판단 및 수행의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다음의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본다. 첫째, 감성을 배제...
이 글에서는 맹자의 도덕적 부끄러움에 관한 감성학적 해명을 통해, 감성이 도덕 판단 및 수행의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다음의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본다. 첫째, 감성을 배제한 이성주의 도덕론의 한계가 무엇이며 왜 도덕 감정에 대한 논의가 요구되는지를 살펴본다. 칸트의 이성주의 윤리학에서 실천이성을 담론할 때에 감성의 영역을 최대한 배제함으로써 다양한 도덕 감정을 해석하지 않은 채로 남겨둔 것을 문제점으로 지적한다. 그와 동시에 맹자 윤리학에서 도덕 감정을 통해 당위명제를 어떻게 정당화하는지를 살펴본다. 둘째, 사단(四端) 중에 내포되어 있는 부끄러움(羞)이 의(義)의 단서이자 용기의 필요조건이라는 사실을 맹자의 언급을 통해 확인한다. 셋째, 맹자가 제시한 도덕적 부끄러움이 어떻게 생성되며, 어떤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지를 현대의 감성이론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분석한다. 이와 같은 논의를 통해, 맹자의 덕 윤리학이 우리의 일상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도덕 감정들을 적절하게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통찰을 담고 있다는 사실을 밝힌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essay is to clarify the fact that emotions play a great role in our moral judgement and moral practice by analysing Mengzi's moral shame or xiu 羞 in terms of the contemporary studies on emotion. First, I criticize Kant's limited unde...
The aim of this essay is to clarify the fact that emotions play a great role in our moral judgement and moral practice by analysing Mengzi's moral shame or xiu 羞 in terms of the contemporary studies on emotion. First, I criticize Kant's limited understanding of moral emotions when he argues the function of the practical reason on the one hand, and analyze the process of how Mengzi justifies several moral emotions on the other hand. Second, we can assure that moral shame, which is one of the four sprouts or si duan 四端, is the sprout of righteousness or yi 義 and a necessary condition to develop courage or yong 勇 in Mengzi's text. Third, I analyze how Mengzi's moral shame or xiu is produced in terms of the theory of emotion. With these arguments, we can see that Mengzi's virtue ethics gives an insight why and how diverse moral emotions are formed in our ordinary lif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금교영, "현상학적 심리학자의 인간관을 통한 인격 연구" 새한철학회 61 (61): 157-179, 2010
2 메리 워녹, "현대의 윤리학" 서광사 1985
3 정용환, "철학적 성찰로서 유교론" 철학과현실사 2011
4 임헌규, "유가의 심성론과 현대 심리철학" 철학과 현실사 2001
5 정용환, "아크라시아 혹은 방심: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유가" 한국동서철학회 (52) : 31-57, 2009
6 김남준, "아크라시아 가능성 논쟁: 소크라테스와 아리스토텔레스를 중심으로" 새한철학회 62 (62): 3-33, 2010
7 칸트, "실천이성비판" 아카넷 2002
8 류근성, "맹자의 직관 윤리학의 진화론적 이해" 범한철학회 59 (59): 49-73, 2010
9 김영건, "동양철학에 관한 분석적 비판" 라티오출판사 2009
10 칸트, "도덕 형이상학을 위한 기초 놓기" 책세상 2002
1 금교영, "현상학적 심리학자의 인간관을 통한 인격 연구" 새한철학회 61 (61): 157-179, 2010
2 메리 워녹, "현대의 윤리학" 서광사 1985
3 정용환, "철학적 성찰로서 유교론" 철학과현실사 2011
4 임헌규, "유가의 심성론과 현대 심리철학" 철학과 현실사 2001
5 정용환, "아크라시아 혹은 방심: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유가" 한국동서철학회 (52) : 31-57, 2009
6 김남준, "아크라시아 가능성 논쟁: 소크라테스와 아리스토텔레스를 중심으로" 새한철학회 62 (62): 3-33, 2010
7 칸트, "실천이성비판" 아카넷 2002
8 류근성, "맹자의 직관 윤리학의 진화론적 이해" 범한철학회 59 (59): 49-73, 2010
9 김영건, "동양철학에 관한 분석적 비판" 라티오출판사 2009
10 칸트, "도덕 형이상학을 위한 기초 놓기" 책세상 2002
11 김재홍, "니코마코스 윤리학" 이제이북스 2006
12 주희, "경서(經書)"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71
13 정병석, "道德情感을 통해 본 공자의 仁" 새한철학회 64 (64): 3-21, 2011
14 Norden, Bryan W, "The Virtue of Righteousness in Mencius, Confucian Ethics: A Comparative Study of Self, Autonomy, and Commun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15 Ben-Ze'ev, Aaron, "The Subtlety of Emotions" MIT Press 2001
16 Prinz,Jesse J, "The Emotional Construction of Morals"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17 Williams, Bernard, "Shame and Necessit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4
18 Johnson-Laird, "Philip, How We Reas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19 Roojen, Mark van, "Moral Cognitivism vs. Non-Cognitivism"
20 Ames,Roger T, "Mencius and a Process Notion of Human Nature, In Mencius: Contexts and Interpretations"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2
21 Shun,Kwong-Loi, "Mencius and Early Chinese Thought"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7
22 Frankfurt,Harry G, "Freedom of the Will and the Concept of a Pers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23 Strawson, Peter, "Freedom and Resentment"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24 Parrott,W, "Emotions in Social Psychology" Psychology Press 2001
25 Bloom,Irene, "Biology and Culture in the Mencian View of Human Nature, Mencius: Contexts and Interpretations"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2
26 교육방송, "<다큐프라임> 마더 쇼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5 | 0.75 | 0.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8 | 0.68 | 1.432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