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내재근 자극 방법에 따른 중재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지각기능 균형능력, 근 활성도, 보행요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뇌졸중 진단을 받고 6개월이 지난 뇌졸중 환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796101
광주 : 호남대학교 대학원, 2021
학위논문(석사) -- 호남대학교 대학원 , 재활과학과 물리치료학전공 , 2021. 2
2021
한국어
광주
v, 69p ; 26 cm
지도교수: 이동우
I804:24014-20000036526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내재근 자극 방법에 따른 중재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지각기능 균형능력, 근 활성도, 보행요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뇌졸중 진단을 받고 6개월이 지난 뇌졸중 환자...
본 연구는 내재근 자극 방법에 따른 중재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지각기능 균형능력, 근 활성도, 보행요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뇌졸중 진단을 받고 6개월이 지난 뇌졸중 환자 34명 중 선정기준에 따라 20명을 선발하고 각 군당 10명씩을 무작위로 배치하였다. 발바닥 내재근 지각강화 중재군(N=10), 발바닥 내재근 근력강화 중재군(N=10)으로 구분 하였다. 치료는 주 3회 30분씩 실시하였고 모든 중재 프로그램은 총 4주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각기능의 평가로는 Semmes-Weinstein monofilament와 두 점 구별 검사를 수행하였다. 균형능력에서 선 자세에서의 정적균형, 안정성 한계, 마비측의 체중분포율을 분석하였고, 하지의 근 활성도는 앞정강근, 장딴지근, 가자미근, 짧은발가락폄근의 근육에 전극을 부착하여 표면 근전도 값을 수집하였다. 보행요소에서는 보행률 및 입각기와 유각기 비율을 분석하였고 보행속도 측정을 위해 10MWT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분석 절차의 결정을 위해 정규성을 검정 하였고, 각 그룹 내 중재 전·후를 차이를 비교분석 하기 위해 Paired t-test를 사용하였고, 각 그룹 간 변화량을 비교하기 위해 Independent t-test를 사용하였다. 지각 기능을 비교한 결과, 두 점 구분능력 검사의 군 내 비교에서 발바닥 내재근 지각강화 중재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5). 균형능력을 비교한 결과, 선 자세에서의 정적 균형능력은 군 내 비교에서 발바닥 내재근 지각강화 중재군과 발바닥 내재근 근력강화 중재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안정성 한계능력과 마비측의 체중분포율의 결과를 비교한 결과, 발바닥 내재근 지각강화 중재군과 발바닥 내재근 근력강화 중재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하지의 근 활성도를 비교한 결과, 군 내 비교에서 발바닥 내재근 지각강화 중재군과 발바닥 내재근 근력강화 중재군에서 앞정강근과 장딴지근 그리고 짧은발가락폄근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5). 보행요소를 비교한 결과, 보행률의 군 내 비교는 발바닥 내재근 지각강화 중재군과 발바닥 내재근 근력강화 중재군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5). 10MWT를 비교한 결과, 군내 비교에서는 발바닥 내재근 지각강화 중재군과 발바닥 내재근 근력강화 중재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5).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통해 발바닥 내재근 지각 강화 중재와 발바닥 내재근 강화 중재는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고유수용성능력을 향상시켜 균형능력 증가와 하지의 근 활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