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Technological Catch-Up of Chinese Digital Platform Companies : Analyzing the Technological Paths of Baidu, Alibaba, Tencent with Google, Amazon, Facebook as Benchmarks = 중국과 미국 디지털 플랫폼 기업간의 추격 및 추월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8648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중국의 디지털 플랫폼 기업(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과 미국의 디지털 플랫폼 기업(구글, 아마존, 페이스북)을 동종업군에 대해 세 가지 경우의 각각의 쌍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최근 중국의 디지털 플랫폼 기업의 약진의 원천요소를 탐색하려는 연구이다. 분석을 위한 디지털 플랫폼 기업간 매칭은 기술적 유사성이 높고 동종업군의 기반을 가진 디지털 플랫폼 기업을 기준으로 하며, 그 결과 바이두와 구글(검색엔진 플랫폼), 알리바바와 아마존(리테일 플랫폼), 텐센트와 페이스북(SNS 플랫폼)과 같이 3개의 쌍을 매칭하여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기업별 특허자료를 바탕으로 1) 후발자의 ‘기술경로 창출 혹은 추종’의 문제, 2) 후발자의 ‘기술수명 주기와 과학기술문헌의 의존도’의 문제에 관한 가설을 검증하고 시사점을 발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10년부터 2019년까지 10년간 유럽특허청 (European Patent Office: EPO)의 데이터베이스(PATSTAT)를 활용하였다. PATSTAT은 전세계 90여개 국가에서 출원 및 등록한 특허자료 및 특허의 인용자료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특허 통계 작성을 위한 국제적 기준을 제공하고 있기때문에 학계뿐만 아니라 정부기관에서도 광범위하게 활용되는 데이터베이스로 알려져 있다. 회귀분석 모형으로는 후발자인 중국의 디지털 플랫폼 기업이 선발자인 미국의 디지털 플랫폼 기업을 추격 또는 추월하는 효과를 포착할 수 있는 교호작용 변수를 추가하여 분석하였다. 통제변수는 자기 특허의 누적량과 상대방 특허의 누적량, 특허가 출원된 국가의 수, 개발자의 수, 특허 청구항의 최대값, 전방인용 횟수, 후방인용 횟수, IPC 개수, 기술분야를 추가하여 분석하였다. 회귀분석 모형은 분석하고자 하는 기술지표에 따라, 특허의 질과 과학기술문헌 인용에 대해서는 poisson regresson model을, 특허의 자기인용과 상호인용에 대해서는 fractional logit regression model을, 기술수명 주기에 대해서는 linear regression model을 각각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첫 번째 경우로, 바이두는 기술의 양적추격 (특허량)과 질적추격 (특허질)을 하지 못하고 있으며, 기술의 독립성(자기인용)은 추격하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지만, 기술의 의존성(상호인용)은 추격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바이두는 구글에 대해 상대적으로 기술수명 주기가 짧은 신기술을 추구하는 틈새 전략을 추구하고 있고, 과학기술문헌을 적어도 구글과 대등한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 비추어 볼 때, 바이두는 틈새 전략과 IPR 회피 전략을 기본적으로 추구하고는 있으나, 구글에 대항할 새로운 기술경로를 창출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구글과의 기술역량 등의 격차로 인해 바이두의 시장성는 구글에 비해 상당히 낮으며 2019년 시총기준 구글의 4.7% 수준에 불과했다.
      두 번째 경우로, 알리바바는 아마존에 대해 기술의 양적추월 (특허량)을 달성하였고, 질적추격 (특허질) 역시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술의 독립성(자기인용)에 대해서도 아마존을 추격하고 있으나, 기술의 의존성(상호인용)에 있어서는 아마존을 추격하지 못하고 있다. 알리바바는 아마존과 유사한 수준의 기술수명 주기를 가지는 기술을 활용하고 있고, 과학기술문헌 또한 아마존과 대등한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 비추어 볼 때, 틈새 전략과 IRP 회피 전략을 기본적으로 추구하면서, 아마존의 기술경로를 추종하는 동시에 아마존과 다른 차별적 기술경로의 창출을 시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알리바바의 제한된 기술경로의 창출이 시장성과에도 반영되어 알리바바가 아마존의 시장성과에 상대적으로 근접해있다고 볼 수 있다. 알리바바의 제한된 기술경로 창출은 바이두의 시장성과에도 반영되어 2019년 시총기준으로 아마존의 61.1% 수준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세 번째 경우로, 텐센트는 페이스북에 대해 기술의 양적추월 (특허량)을 달성하였으나, 질적추월 (특허질)은 달성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술의 독립성 (자기인용)과 기술의 의존성 (상호인용)에 있어서도 페이스북을 추월하는 결과를 보였다. 텐센트는 페이스북보다 상대적으로 기술수명이 짧은 신기술을 추구하는 틈새 전략과 과학기술문헌을 적어도 페이스북과 대등한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 비추어 볼 때, 텐센트는 틈새 전략과 IRP 회피 전략을 기본적으로 추구하면서, 페이스북과 다른 차별적 기술경로의 창출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특허의 질에 대한 지표까지 추월을 달성한 것은 아니므로 본 연구에서 정의하고 있는 기술경로의 창출을 판단하는 지표 기준(특허질, 자기인용, 상호인용)에 의거하여 판단해보자면 페이스북과 다른 차별적 기술경로 창출을 소위 완성했다고 단언하기는 어렵지만 텐센트가 기술경로 창출 단계에 있는 것은 분명해보인다. 이러한 텐센트의 기술역량의 성과가 시장성과에도 반영되어서 2019년 시총기준으로 페이스북의 78.6% 수준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종합하면, 디지털 플랫폼 서비스 업종의 후발주자로 알려져있는 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 등의 중국기업(BAT)은 동종업계 선발자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기술수명이 짧은 신기술을 추구하는 틈새 전략과 선발자와의 IPR 분쟁을 회피할 수 있는 과기문헌 인용 전략을 채택하는 한편, 각각의 차별적인 기술경로 창출의 정도에 따라 이에 비례하는 수준의 시장성과를 달성하고 있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각각의 케이스를 상호비교함으로써 선발자에 대한 후발자 기술관련 지표의 추격 및 추월의 상대적 순서 및 난의도를 유추해볼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시장성과의 추격 및 추월의 정도를 바탕으로 특허관련 기술지표의 추격 또는 추월의 결과를 비교해보면, 먼저 상대적으로 특허의 양적 추격, 기술 독립성의 증가가 발생하고 추후 질적인 추격, 기술 의존도의 감소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유추해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특허를 단순히 양적으로 증가시키는 것보다 자신의 특허가 자신 또는 상대방에 의해 인용되는 것이 어려우며, 신규 특허를 출원할 때 자신의 과거 특허를 인용하는 것보다 상대방의 과거 특허를 자신이 인용하지 않으려는 것이 어렵다는 의미이다. 즉, 양적추격보다 질적추격이 어렵고, 기술의 독립성 강화보다 기술의 의존성 탈피가 어렵다고 할 수 있다. 특허의 양과 질, 기술의 독립성 및 의존성 지표 중에서도 특히 특허의 질적 측면에서 추월을 달성하는 것이 가장 난의도가 높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분야로 보인다.
      그 외에도, 기존 연구가 주로 제조기업에 대한 연구였다면, 본 논문을 통해서는 디지털 플랫폼 서비스 기업에 대한 연구에도 기술추격 이론이 적용가능하다는 것을 보였다. 그뿐만 아니라, 선발자에 대한 후발자의 완성된 추월 사례에 적용했던 기술추격 이론을 추격을 못하거나 추격 중인 사례에 적용함으로써, 기술지표를 개선하며 시장성과를 축적하는 과정에 있는 후발자의 기술적 역량 및 전략적 행태를 살펴볼 수 있었다는 점도 기존 연구의 관점을 확장하고 지지할 수 있는 기여라고 생각한다.
      끝으로, 제조기업에 대한 기존연구가 주로 지표의 발굴과 가시적인 그래프에 근거하여 추격과 추월을 판단했다면, 본 연구에서는 그래프 외에에도 계량분석을 추가함으로써 실증모형 및 통계적 해석에 근거하여 추격과 추월을 엄밀히 판단하고자 시도했던 점 또한 본 연구의 기여라고 할 수 있겠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중국의 디지털 플랫폼 기업(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과 미국의 디지털 플랫폼 기업(구글, 아마존, 페이스북)을 동종업군에 대해 세 가지 경우의 각각의 쌍을 비교분석함으로써 ...

      이 논문은 중국의 디지털 플랫폼 기업(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과 미국의 디지털 플랫폼 기업(구글, 아마존, 페이스북)을 동종업군에 대해 세 가지 경우의 각각의 쌍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최근 중국의 디지털 플랫폼 기업의 약진의 원천요소를 탐색하려는 연구이다. 분석을 위한 디지털 플랫폼 기업간 매칭은 기술적 유사성이 높고 동종업군의 기반을 가진 디지털 플랫폼 기업을 기준으로 하며, 그 결과 바이두와 구글(검색엔진 플랫폼), 알리바바와 아마존(리테일 플랫폼), 텐센트와 페이스북(SNS 플랫폼)과 같이 3개의 쌍을 매칭하여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기업별 특허자료를 바탕으로 1) 후발자의 ‘기술경로 창출 혹은 추종’의 문제, 2) 후발자의 ‘기술수명 주기와 과학기술문헌의 의존도’의 문제에 관한 가설을 검증하고 시사점을 발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10년부터 2019년까지 10년간 유럽특허청 (European Patent Office: EPO)의 데이터베이스(PATSTAT)를 활용하였다. PATSTAT은 전세계 90여개 국가에서 출원 및 등록한 특허자료 및 특허의 인용자료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특허 통계 작성을 위한 국제적 기준을 제공하고 있기때문에 학계뿐만 아니라 정부기관에서도 광범위하게 활용되는 데이터베이스로 알려져 있다. 회귀분석 모형으로는 후발자인 중국의 디지털 플랫폼 기업이 선발자인 미국의 디지털 플랫폼 기업을 추격 또는 추월하는 효과를 포착할 수 있는 교호작용 변수를 추가하여 분석하였다. 통제변수는 자기 특허의 누적량과 상대방 특허의 누적량, 특허가 출원된 국가의 수, 개발자의 수, 특허 청구항의 최대값, 전방인용 횟수, 후방인용 횟수, IPC 개수, 기술분야를 추가하여 분석하였다. 회귀분석 모형은 분석하고자 하는 기술지표에 따라, 특허의 질과 과학기술문헌 인용에 대해서는 poisson regresson model을, 특허의 자기인용과 상호인용에 대해서는 fractional logit regression model을, 기술수명 주기에 대해서는 linear regression model을 각각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첫 번째 경우로, 바이두는 기술의 양적추격 (특허량)과 질적추격 (특허질)을 하지 못하고 있으며, 기술의 독립성(자기인용)은 추격하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지만, 기술의 의존성(상호인용)은 추격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바이두는 구글에 대해 상대적으로 기술수명 주기가 짧은 신기술을 추구하는 틈새 전략을 추구하고 있고, 과학기술문헌을 적어도 구글과 대등한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 비추어 볼 때, 바이두는 틈새 전략과 IPR 회피 전략을 기본적으로 추구하고는 있으나, 구글에 대항할 새로운 기술경로를 창출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구글과의 기술역량 등의 격차로 인해 바이두의 시장성는 구글에 비해 상당히 낮으며 2019년 시총기준 구글의 4.7% 수준에 불과했다.
      두 번째 경우로, 알리바바는 아마존에 대해 기술의 양적추월 (특허량)을 달성하였고, 질적추격 (특허질) 역시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술의 독립성(자기인용)에 대해서도 아마존을 추격하고 있으나, 기술의 의존성(상호인용)에 있어서는 아마존을 추격하지 못하고 있다. 알리바바는 아마존과 유사한 수준의 기술수명 주기를 가지는 기술을 활용하고 있고, 과학기술문헌 또한 아마존과 대등한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 비추어 볼 때, 틈새 전략과 IRP 회피 전략을 기본적으로 추구하면서, 아마존의 기술경로를 추종하는 동시에 아마존과 다른 차별적 기술경로의 창출을 시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알리바바의 제한된 기술경로의 창출이 시장성과에도 반영되어 알리바바가 아마존의 시장성과에 상대적으로 근접해있다고 볼 수 있다. 알리바바의 제한된 기술경로 창출은 바이두의 시장성과에도 반영되어 2019년 시총기준으로 아마존의 61.1% 수준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세 번째 경우로, 텐센트는 페이스북에 대해 기술의 양적추월 (특허량)을 달성하였으나, 질적추월 (특허질)은 달성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술의 독립성 (자기인용)과 기술의 의존성 (상호인용)에 있어서도 페이스북을 추월하는 결과를 보였다. 텐센트는 페이스북보다 상대적으로 기술수명이 짧은 신기술을 추구하는 틈새 전략과 과학기술문헌을 적어도 페이스북과 대등한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 비추어 볼 때, 텐센트는 틈새 전략과 IRP 회피 전략을 기본적으로 추구하면서, 페이스북과 다른 차별적 기술경로의 창출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특허의 질에 대한 지표까지 추월을 달성한 것은 아니므로 본 연구에서 정의하고 있는 기술경로의 창출을 판단하는 지표 기준(특허질, 자기인용, 상호인용)에 의거하여 판단해보자면 페이스북과 다른 차별적 기술경로 창출을 소위 완성했다고 단언하기는 어렵지만 텐센트가 기술경로 창출 단계에 있는 것은 분명해보인다. 이러한 텐센트의 기술역량의 성과가 시장성과에도 반영되어서 2019년 시총기준으로 페이스북의 78.6% 수준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종합하면, 디지털 플랫폼 서비스 업종의 후발주자로 알려져있는 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 등의 중국기업(BAT)은 동종업계 선발자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기술수명이 짧은 신기술을 추구하는 틈새 전략과 선발자와의 IPR 분쟁을 회피할 수 있는 과기문헌 인용 전략을 채택하는 한편, 각각의 차별적인 기술경로 창출의 정도에 따라 이에 비례하는 수준의 시장성과를 달성하고 있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각각의 케이스를 상호비교함으로써 선발자에 대한 후발자 기술관련 지표의 추격 및 추월의 상대적 순서 및 난의도를 유추해볼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시장성과의 추격 및 추월의 정도를 바탕으로 특허관련 기술지표의 추격 또는 추월의 결과를 비교해보면, 먼저 상대적으로 특허의 양적 추격, 기술 독립성의 증가가 발생하고 추후 질적인 추격, 기술 의존도의 감소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유추해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특허를 단순히 양적으로 증가시키는 것보다 자신의 특허가 자신 또는 상대방에 의해 인용되는 것이 어려우며, 신규 특허를 출원할 때 자신의 과거 특허를 인용하는 것보다 상대방의 과거 특허를 자신이 인용하지 않으려는 것이 어렵다는 의미이다. 즉, 양적추격보다 질적추격이 어렵고, 기술의 독립성 강화보다 기술의 의존성 탈피가 어렵다고 할 수 있다. 특허의 양과 질, 기술의 독립성 및 의존성 지표 중에서도 특히 특허의 질적 측면에서 추월을 달성하는 것이 가장 난의도가 높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분야로 보인다.
      그 외에도, 기존 연구가 주로 제조기업에 대한 연구였다면, 본 논문을 통해서는 디지털 플랫폼 서비스 기업에 대한 연구에도 기술추격 이론이 적용가능하다는 것을 보였다. 그뿐만 아니라, 선발자에 대한 후발자의 완성된 추월 사례에 적용했던 기술추격 이론을 추격을 못하거나 추격 중인 사례에 적용함으로써, 기술지표를 개선하며 시장성과를 축적하는 과정에 있는 후발자의 기술적 역량 및 전략적 행태를 살펴볼 수 있었다는 점도 기존 연구의 관점을 확장하고 지지할 수 있는 기여라고 생각한다.
      끝으로, 제조기업에 대한 기존연구가 주로 지표의 발굴과 가시적인 그래프에 근거하여 추격과 추월을 판단했다면, 본 연구에서는 그래프 외에에도 계량분석을 추가함으로써 실증모형 및 통계적 해석에 근거하여 추격과 추월을 엄밀히 판단하고자 시도했던 점 또한 본 연구의 기여라고 할 수 있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plores the key factors behind the Chinese digital platform companies' success in recent years through comparative analyses of the Chinese and the U.S. companies. Three Chinese digital platform firms (Baidu, Alibaba, and Tencent) are studied in particular, which are matched to their U.S. counterparts (Google, Amazon, and Facebook) with respect to their business and technological areas: Baidu and Google (search engine platform), Alibaba and Amazon (e-commerce platform), and Tencent and Facebook (social media platform). Hypotheses for 1) the latecomers' creation of technological pathways and 2) the cycle times of the latecomers' technologies and the latecomers' dependence on scientific literature are constructed and test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of patent data.
      The study period spans from 2010 to 2019, and the European Patent Office's patent database PATSTAT is used for the analysis. The database consists of more than 100 million patent documents and is consistent across the records from different countries. Regressions are estimated to observe the latecomers' catch-up or overtake of the forerunners, if any. Covariates are added to control for other patent-related factors, such as patent stock of the firm, patent stock of the counterpart firm, family size of the patent, number of inventors, number of patent claims, number of backward citations, number of forward citations, number of IPC classes, and technological fields. An interaction term is utilized to determine whether the catch-up or overtake has been attained. Appropriate regression models are chosen based on the numerical characteristics of the dependent variables; Poisson regressions are estimated for the quality of patents and scientific literature citations; fractional logistic regressions for self-citation and mutual citation ratios; and linear regressions for the cycle times of technology.
      Results suggest that Baidu has not been catching up with Google regarding the quality and quantity of the patents. Baidu has been catching up with Google regarding technological independence (i.e., self-citation rates) but could not reduce the level of technological dependence on Google (i.e., mutual citation rates) to Google's level of dependence on Baidu. Baidu has been implementing niche-seeking strategies by utilizing technologies with shorter cycle times and has maintained a similar number of scientific literature citations as Google did. In short, Baidu has been seeking niches and circumventing IPR disputes but has not been able to create new technological pathways that could effectively compete with Google's technologies. The gap in technological capabilities between the two firms has correspondingly been reflected in their market performances, with Baidu's market capitalization amounting to 4.7% of Google's in 2019.
      Alibaba has caught up with Amazon in the quality of technology and overtaken it in its quantity. In terms of technological independence, Alibaba has been catching up with Amazon; however, Alibaba has not been able to reduce its dependence on Amazon to Amazon's level of dependence on Alibaba. Alibaba and Amazon have been using technologies with similar cycle times and cited scientific literatures at a similar level. These results suggest that Alibaba, too, has been taking measures to seek niches and avoid IPR disputes while attempting to pave technological pathways distinct from Amazon's simultaneously, though with limited success in the given time period. This is also correspondingly reflected in its market performances; Alibaba is closer to Amazon than Baidu is to Google, and Alibaba's market capitalization amounted to 61.1% of Amazon's in 2019.
      Tencent has surpassed Facebook in terms of the quantity of technology but not quality. Tencent has also overtaken Facebook with respect to technological independence and was able to reduce its dependence on Facebook to levels lower than that of Facebook on Tencent. Tencent has been pursuing technologies with relatively shorter cycle times, and maintained similar levels of scientific literature citations to those of Facebook. This suggests that Tencent has also been seeking niches, circumventing IPR disputes, and attempting to create new technological pathways. Among the three metrics for assessing the choice of technological pathways, Tencent has achieved overtakes in self-citation ratio and mutual citation ratio but is yet to catch up with Facebook in terms of patent qualities, which lends to the conclusion that while Tencent is working towards creating a novel technological pathway, it hasn't yet completed its progress. Tencent's feat in technological growth can also be seen through its market performance; Tencent's market capitalization has reached 78.6% of Facebook's in 2019.
      In summary, this study shows that the latecomers in the digital platform industry (Baidu, Alibaba, and Tencent) have been focused on technologies with shorter cycle times to seek niches in their competition with their forerunners (Google, Amazon, and Facebook), and that they attempted to avoid IPR disputes with the forerunners by utilizing scientific literatures in their patents. Moreover, all the latecomers in the study attempted to create alternative technological pathways to compete with their forerunners, albeit with varying degrees, and the degree of successes in these efforts was proportionately reflected in their market performances.
      This study expands on the existing findings on the orders in which the catch-ups in the technological capability metrics happen and the relative difficulties in achieving such catch-ups. Results for the comparisons in the market performances and the technological capabilities metrics suggest that the catch-ups in the number of patents and technological independence precede the catch-ups in the quality of patents and reduced technological dependence. In other words, it is more difficult for the firms to have their patents cited than to simply increase the number of patents (i.e., it is more difficult to catch up in terms of the quality than the quantity of the patents), and it is more difficult to refrain from citing their forerunners than to cite their own patents (i.e., it is more difficult to reduce technological dependence than to strengthen their technological independence). Among these metrics, the quality of patents seems to be the most demanding metric to surpass the forerunners in.
      Moreover, this study adds to and supports the perspectives of the existing body of work that applies the theory of technological catch-up. While previous studies focused on the application of such theory on manufacturing firms,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firms in the up-and-rising digital platform industry and shows that the theory can likewise be applied in this setting. Furthermore, this study differentiates from most other studies, which investigated the cases in which the latecomer has completed the catch-up or overtake, by examining the firms that haven't yet achieved such a feat and investigating the latecomers' strategic behaviors and technological capabilities in the process of accumulating market and technological successes.
      Finally, this study presents the results with methodologies that haven't been widely utilized in this line of work. Previous studies that investigated the catch-ups in manufacturing firms draw conclusions based on graphs and simple comparisons of various metrics; this study presents a rigorous statistical analysis based on regressions and offers interpretations controlled for relevant covariates.
      번역하기

      This paper explores the key factors behind the Chinese digital platform companies' success in recent years through comparative analyses of the Chinese and the U.S. companies. Three Chinese digital platform firms (Baidu, Alibaba, and Tencent) are studi...

      This paper explores the key factors behind the Chinese digital platform companies' success in recent years through comparative analyses of the Chinese and the U.S. companies. Three Chinese digital platform firms (Baidu, Alibaba, and Tencent) are studied in particular, which are matched to their U.S. counterparts (Google, Amazon, and Facebook) with respect to their business and technological areas: Baidu and Google (search engine platform), Alibaba and Amazon (e-commerce platform), and Tencent and Facebook (social media platform). Hypotheses for 1) the latecomers' creation of technological pathways and 2) the cycle times of the latecomers' technologies and the latecomers' dependence on scientific literature are constructed and test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of patent data.
      The study period spans from 2010 to 2019, and the European Patent Office's patent database PATSTAT is used for the analysis. The database consists of more than 100 million patent documents and is consistent across the records from different countries. Regressions are estimated to observe the latecomers' catch-up or overtake of the forerunners, if any. Covariates are added to control for other patent-related factors, such as patent stock of the firm, patent stock of the counterpart firm, family size of the patent, number of inventors, number of patent claims, number of backward citations, number of forward citations, number of IPC classes, and technological fields. An interaction term is utilized to determine whether the catch-up or overtake has been attained. Appropriate regression models are chosen based on the numerical characteristics of the dependent variables; Poisson regressions are estimated for the quality of patents and scientific literature citations; fractional logistic regressions for self-citation and mutual citation ratios; and linear regressions for the cycle times of technology.
      Results suggest that Baidu has not been catching up with Google regarding the quality and quantity of the patents. Baidu has been catching up with Google regarding technological independence (i.e., self-citation rates) but could not reduce the level of technological dependence on Google (i.e., mutual citation rates) to Google's level of dependence on Baidu. Baidu has been implementing niche-seeking strategies by utilizing technologies with shorter cycle times and has maintained a similar number of scientific literature citations as Google did. In short, Baidu has been seeking niches and circumventing IPR disputes but has not been able to create new technological pathways that could effectively compete with Google's technologies. The gap in technological capabilities between the two firms has correspondingly been reflected in their market performances, with Baidu's market capitalization amounting to 4.7% of Google's in 2019.
      Alibaba has caught up with Amazon in the quality of technology and overtaken it in its quantity. In terms of technological independence, Alibaba has been catching up with Amazon; however, Alibaba has not been able to reduce its dependence on Amazon to Amazon's level of dependence on Alibaba. Alibaba and Amazon have been using technologies with similar cycle times and cited scientific literatures at a similar level. These results suggest that Alibaba, too, has been taking measures to seek niches and avoid IPR disputes while attempting to pave technological pathways distinct from Amazon's simultaneously, though with limited success in the given time period. This is also correspondingly reflected in its market performances; Alibaba is closer to Amazon than Baidu is to Google, and Alibaba's market capitalization amounted to 61.1% of Amazon's in 2019.
      Tencent has surpassed Facebook in terms of the quantity of technology but not quality. Tencent has also overtaken Facebook with respect to technological independence and was able to reduce its dependence on Facebook to levels lower than that of Facebook on Tencent. Tencent has been pursuing technologies with relatively shorter cycle times, and maintained similar levels of scientific literature citations to those of Facebook. This suggests that Tencent has also been seeking niches, circumventing IPR disputes, and attempting to create new technological pathways. Among the three metrics for assessing the choice of technological pathways, Tencent has achieved overtakes in self-citation ratio and mutual citation ratio but is yet to catch up with Facebook in terms of patent qualities, which lends to the conclusion that while Tencent is working towards creating a novel technological pathway, it hasn't yet completed its progress. Tencent's feat in technological growth can also be seen through its market performance; Tencent's market capitalization has reached 78.6% of Facebook's in 2019.
      In summary, this study shows that the latecomers in the digital platform industry (Baidu, Alibaba, and Tencent) have been focused on technologies with shorter cycle times to seek niches in their competition with their forerunners (Google, Amazon, and Facebook), and that they attempted to avoid IPR disputes with the forerunners by utilizing scientific literatures in their patents. Moreover, all the latecomers in the study attempted to create alternative technological pathways to compete with their forerunners, albeit with varying degrees, and the degree of successes in these efforts was proportionately reflected in their market performances.
      This study expands on the existing findings on the orders in which the catch-ups in the technological capability metrics happen and the relative difficulties in achieving such catch-ups. Results for the comparisons in the market performances and the technological capabilities metrics suggest that the catch-ups in the number of patents and technological independence precede the catch-ups in the quality of patents and reduced technological dependence. In other words, it is more difficult for the firms to have their patents cited than to simply increase the number of patents (i.e., it is more difficult to catch up in terms of the quality than the quantity of the patents), and it is more difficult to refrain from citing their forerunners than to cite their own patents (i.e., it is more difficult to reduce technological dependence than to strengthen their technological independence). Among these metrics, the quality of patents seems to be the most demanding metric to surpass the forerunners in.
      Moreover, this study adds to and supports the perspectives of the existing body of work that applies the theory of technological catch-up. While previous studies focused on the application of such theory on manufacturing firms,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firms in the up-and-rising digital platform industry and shows that the theory can likewise be applied in this setting. Furthermore, this study differentiates from most other studies, which investigated the cases in which the latecomer has completed the catch-up or overtake, by examining the firms that haven't yet achieved such a feat and investigating the latecomers' strategic behaviors and technological capabilities in the process of accumulating market and technological successes.
      Finally, this study presents the results with methodologies that haven't been widely utilized in this line of work. Previous studies that investigated the catch-ups in manufacturing firms draw conclusions based on graphs and simple comparisons of various metrics; this study presents a rigorous statistical analysis based on regressions and offers interpretations controlled for relevant covariat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Chapter Ⅰ. Introduction 1
      • 1. Motivation and research objectives 1
      • 2. Structure of the study 4
      • Chapter Ⅱ. Literature review and hypothesis 6
      • Chapter Ⅰ. Introduction 1
      • 1. Motivation and research objectives 1
      • 2. Structure of the study 4
      • Chapter Ⅱ. Literature review and hypothesis 6
      • 1. Literature review 6
      • 1) Corporate growth and catch-up 7
      • 2) Corporate growth and M&A 9
      • 3) Imitation and innovation of business models 10
      • 4) Asymmetric government regulation and support 14
      • 2. Research hypothesis 16
      • 1) Hypothesis for Baidu’s technological pathways 21
      • 2) Hypothesis for Alibaba’s technological pathways 25
      • 3) Hypothesis for Tencent’s technological pathways 30
      • 4) Hypothesis on the cycle times of the latecomers’ technologies and the latecomers’ dependence on scientific literature 35
      • Chapter Ⅲ. Methodology 38
      • 1. Technological proximity 39
      • 2. Patent analysis 43
      • 1) Technological pathways that the latecomer opts in to catch up with the forerunner 43
      • 2) Latecomer’s strategies to seek niches and avoid IPR issue 45
      • 3. Assessing the technological catch-ups and overtakes 46
      • 1) Graphs 46
      • 2) Regressions 47
      • Chapter Ⅳ. Data 48
      • 1. Data source 48
      • 1) Patent data 48
      • 2) Suitability of EPO patents over PCT patents as the data source 49
      • (1) Objectivity 49
      • (2) Homogeneity and consistency 50
      • 2. Variables 52
      • Chapter Ⅴ. Analysis of patent data for target firms 55
      • 1. Baidu’s catch-up with Google 55
      • 1) Patent analysis for Baidu and Google 55
      • (1) Market performance of Baidu and Google 55
      • (2) Baidu’s technological pathways 58
      • (3) Baidu’s strategies to seek niches and avoid IPR issue 61
      • 2) Regressions for the patent metrics 62
      • 3) Conclusion 65
      • 2. Alibaba’s catch-up with Amazon 66
      • 1) Patent analysis for Alibaba and Amazon 66
      • (1) Market performance of Alibaba and Amazon 66
      • (2) Alibaba’s technological pathways 69
      • (3) Alibaba’s strategies to seek niches and avoid IPR issue 72
      • 2) Regressions for the patent metrics 73
      • 3) Conclusion 76
      • 3. Tencent’s catch-up with Facebook 77
      • 1) Patent analysis for Tencent and Facebook 77
      • (1) Market performance of Tencent and Facebook 77
      • (2) Tencent’s technological pathways 80
      • (3) Tencent’s strategies to seek niches and avoid IPR issue 82
      • 2) Regressions for the patent metrics 84
      • 3) Conclusion 87
      • Chapter Ⅵ. Conclusion 89
      • Bibliography 98
      • Abstract in Korean 108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Narin, F., "Patent bibliometrics", 30(1), 147-155, 1994

      2 Lanzolla, G., Markides, C., "A Business Model View of Strategy", 58(2), 540–553, 2020

      3 Elango, B., Pattnaik, C., "Learning Before Making the Big Leap", 51(4), 461–481, 2011

      4 이효은, "페이스북과 텐센트의 차이", 중국 인터넷 종사자들의 자신만의 방법 찾기, 2017

      5 Buzzell, R. D., Sultan, R. G., Gale, B. T., "Market Share-a key to Profitability.", 53(1), 97-106, 1975

      6 Malerba, F., "Sectoral systems of innovation and production", 31(2), 247-264, 2002

      7 김단비, 백서인, "중국의 디지털 전환 동향과 시사점", 동향과 이슈, (42), 1-41, 2017

      8 Anderson, C. R., Lamont, B. T., "Mode of Corporate Diversification and Economic Performance", 28(4), 926–934, 1985

      9 Kim, L., "The dynamics of technological learning in industrialisation", 53(168), 297-308, 2001

      10 Lee, K., "Making a Technological Catch‐up: Barriers and opportunities", 13(2), 97-131, 2005

      1 Narin, F., "Patent bibliometrics", 30(1), 147-155, 1994

      2 Lanzolla, G., Markides, C., "A Business Model View of Strategy", 58(2), 540–553, 2020

      3 Elango, B., Pattnaik, C., "Learning Before Making the Big Leap", 51(4), 461–481, 2011

      4 이효은, "페이스북과 텐센트의 차이", 중국 인터넷 종사자들의 자신만의 방법 찾기, 2017

      5 Buzzell, R. D., Sultan, R. G., Gale, B. T., "Market Share-a key to Profitability.", 53(1), 97-106, 1975

      6 Malerba, F., "Sectoral systems of innovation and production", 31(2), 247-264, 2002

      7 김단비, 백서인, "중국의 디지털 전환 동향과 시사점", 동향과 이슈, (42), 1-41, 2017

      8 Anderson, C. R., Lamont, B. T., "Mode of Corporate Diversification and Economic Performance", 28(4), 926–934, 1985

      9 Kim, L., "The dynamics of technological learning in industrialisation", 53(168), 297-308, 2001

      10 Lee, K., "Making a Technological Catch‐up: Barriers and opportunities", 13(2), 97-131, 2005

      11 Joo, S. H., Lee, K., "Samsung s catch-up with Sony: an analysis using US patent data", 15(3), 271–287, 2010

      12 Yelle, L. E., "The Learning Curve: Historical Review and Comprehensive Survey", 10(2), 302-328, 1979

      13 김환표, "마화텅: ‘펭귄 제국’에서 ‘텐센트 연방’으로", 인물과사상, (218), 72-86, 2016

      14 Hobday, M., "East Asian latecomer firms: learning the technology of electronics", 23(7), 1171-1193, 1995

      15 Kang, J., Park, G., Lee, C., "The impact of convergence between science and technology on innovation", 43(2), 522–544, 2016

      16 Tsai, K. H., Wang, J. C., "External technology acquisition and firm performance: A longitudinal study", 23(1), 91–112, 2008

      17 이슬기, "중국의 중창공간(众创空间)을 중심으로, 중국 창업지원 동향", 정보통신방송정책, 30(21), 2018

      18 Deng, P., "Why do Chinese firms tend to acquire strategic assets in international expansion?", 44(1), 74–84, 2009

      19 Wells, L. T., "Third world multinationals: The rise of foreign investments from developing countries", 1, 1983

      20 Chen, Y., Zhang, W., Wang, X., Wang, K., Li, L., "The impact of firms mergers and acquisitions on their performance in emerging economies", 135, 208–216, 2018

      21 민성기, "중국 인터넷 서비스 기업의 다각화에 대한 연구: BAT 사례를 중심으로", 중국과 중국학, (36), 31-57, 2019

      22 Bae, Z. T., Lee, J., Choi, D. K., "Technology development processes: a model for a developing country with a global perspective", 18(3), 235-250, 1988

      23 Dang, J., Yu, H., Motohashi, K., "Post-M&A technological capabilitybuilding of emerging market firms in China: the case of Lenovo", 25(1), 40–60, 2018

      24 Peng, H., Zhou, C., Sun, T., Sadowski, B. M., "Does an Imitation Strategy Promote Long-Term Firm Growth in a Dynamic Environment? A Meta- Analysis", 12, 774071, 2021

      25 Foss, N. J., Saebi, T., "Fifteen years of research on business model innovation: How far have we come, and where should we go?", 43(1), 200-227, 2017

      26 Flew, T., Su, C., "The rise of Baidu, Alibaba and Tencent (BAT) and their role in China s Belt and Road Initiative (BRI)", 17(1), 67–86, 2020

      27 Kwon, S. J., Yu, L., "Entertainment Contents Corporation Tencent s Growth Strategy: Focusing on Imitative Innovation and M&A", 14(3), 1–13, 2020

      28 Mathews, J. A, "Competitive advantages of the latecomer firm: A resource-based account of industrial catch-up strategies", 19, 467-488, 2002

      29 Motohashi, K., Zhang, C., Yin, D., Tsukioka, K., "Innovation strategy and technological catch-up of Chinese Internet giants: Evidence based on patent data", pp. 1-14)., 2019

      30 Agyeman, F. O., Sampene, A. K., Ma, Z., Li, M., "A literature review on platform business model: The impact of technological processes on platform business", 8(6), 1-7, 2021

      31 Verspagen, B, "Mapping technological trajectories as patent citation networks: A study on the history of fuel cell research", 10(01), 93-115, 2007

      32 Han, J., Shin, S. R., Marhold, K., Kang, J., "Reconfiguring the firm s core technological portfolio through open innovation: focusing on technological M&A", 21(3), 571–591, 2017

      33 Lundvall, B. K., Rikap, C., "China s catching-up in artificial intelligence seen as a co-evolution of corporate and national innovation systems", 51(1), 104395, 2022

      34 Joo, S. H., Oh, C., Lee, K., "Catch-up strategy of an emerging firm in an emerging country: analysing the case of Huawei vs. Ericsson with patent data", 72(1/2/3), 19, 2016

      35 Joo, S. H., Oh, C., "Is the technological capability gap between Hyundai and Mitsubishi converging or diverging? Findings from patent data analysis", 23(sup1), 109–128, 2015

      36 Baek, S., Kwak, K., "Catch-up and Falling Behind of Latecomers : Windows of Opportunity and Strategic Response of China and Korea in Chinese Excavator Market", 20(2), 79-112, 2017

      37 Lee, K., Park, J., "Do latecomer firms rely on recent and scientific knowledge more than incumbent firms do? Convergence or divergence in knowledge sourcing", 23(sup1), 129–145, 2015

      38 Lau, C. M., Yeh, R. S., Makino, S., "Asset-Exploitation Versus Asset- Seeking: Implications for Location Choice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from Newly Industrialized Economies", 33(3), 403–421, 2002

      39 Alam, M. Z., Tejomurti, K., Sukarmi, S. A. F., "Assessing the Merger of Online Platform Companies: Does it Lead to Monopoly or just Business Expansion?(Analysis of The Merged Company of GoTo)", 9(3), 551-566, 2021

      40 Jung, T., Yang, S., "Technological importance and breadth of standard essential patents: A comparison between practicing and non‐practicing entities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technologies", 42(5), 734–747,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