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전식물명 ‘계수桂樹’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Classical Plant Name ‘Kesu(桂樹)’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 고문헌에서 ‘계수桂樹’라는 식물명이 어떤 의미로 사용되고, 실제 어떤 식물을 이르는 것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계수’는 현재 일반적으로 계수나무로 불리고 있...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 고문헌에서 ‘계수桂樹’라는 식물명이 어떤 의미로 사용되고, 실제 어떤 식물을 이르는 것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계수’는 현재 일반적으로 계수나무로 불리고 있으나 이 나무는 일제강점기에 들여와 식재한 것으로, 일제강점기 이전에는 우리나라에 없던 나무이다. 따라서 현재의 계수나무는 우리나라 고문헌에 보이는 ‘계수’를 이르는 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에서 ‘계수’로 이른 나무는 과연 무엇을 이르는 것일까? ‘계수’는 이미 알려져 있듯 상상 속의 나무를 두고 시문의 소재로 활용한 것이 대부분이므로 실제 식물에 관한 기록이라고 할 수 없다. 따라서 이 부분에 관해 어떤 수종을 두고 이른 것인지 논하기 어렵다. 그런데도 이 글에서 ‘계수’의 실체를 밝히고자 하는 것은 우리나라 고문헌에 보이는 ‘계수’라는 명칭이 특정한 식물을 가리키고 있음을 확인했기 때문이다.
      특히 금강산 지역에서 자라는 나무를 두고 ‘계수’로 일컬었는데, 이는 특정 지역에서 자라는 식물의 분포 혹은 그 지역의 방언과 관련이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실을 확인하고 우리나라 고문헌에 나타나는 ‘계수’에 관한 연구를 진행해야겠다는 판단을 하였다.
      이 글에서는 우선 우리나라 시문에서 사용되는 ‘계수’의 상징적 의미를 간략히 살펴보고, 금강산 지역의 ‘계수’에 관한 정보를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요소들을 파악함으로써 ‘계수’라는 고전식물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가능할 것이며, 상징적 의미의 ‘계수’와 실재하는 ‘계수’를 구분하는 단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examine in which meaning the plant name “Kesu(桂樹)” is used in Korea’s ancient literatures, and what kind of plant it actually refers to. Although ‘Kesu’ is commonly referred to as Katsura Tree (Cercidiphyll...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examine in which meaning the plant name “Kesu(桂樹)” is used in Korea’s ancient literatures, and what kind of plant it actually refers to. Although ‘Kesu’ is commonly referred to as Katsura Tree (Cercidiphyllum japonicum Siebold & Zucc) these days, it was actually introduced to and planted in Korea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Before then, the plant did not exist in Korean peninsula. Therefore, the present Cassia does not refer to the ‘Kesu’ found in Korea‘s ancient literatures.
      If so, which tree was the real ‘Kesu’ that was referred to in Korea? ‘Kesu’, as it is already known, is an imaginary tree mostly used as a material for poetry and prose rather than a record of real plant.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discuss what kind of tree species this refers to. Despite the fact, this study would like to clarify the true nature of ‘Kesu’ because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name ‘Kesu’ found in Korea’s ancient literatures refers to a specific plant.
      In particular, trees that grew in the Mt. Geumgangsan area were referred to as ‘Kesu’, which means that the name is related to the distribution of plants growing in a certain area or the dialect of the area. Confirmation of this fact lead to the decision that study on ‘Kesu’ appearing in Korea’s ancient literatures should be proceeded.
      In this study, the symbolic meaning of ‘Kesu’ used in Korean poetry will be briefly examined first, and then information on ‘Kesu’ in the area of Mt. Geumgangsan will be discussed. Grasping these factors should enable us to hav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classical plant name of ‘Kesu’, and may provide a clue to distinguish between the ‘Kesu’ of a symbolic meaning and the ‘Cassia’ in real existe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1. 머리말
      • 2. ‘계수’의 상징적 의미
      • 3. 금강산 ‘계수’의 의미
      • 4. 금강산 ‘계수’에 대한 이견
      • 요약
      • 1. 머리말
      • 2. ‘계수’의 상징적 의미
      • 3. 금강산 ‘계수’의 의미
      • 4. 금강산 ‘계수’에 대한 이견
      • 5. ‘계수’로의 명칭 변화 원인
      • 6.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팽철호, "중국문헌 중의 物名 번역에서 나타나는 지식정보의 변용" 한국학연구소 43 : 213-238, 2015

      2 신현철, "우리나라 고전에 나오는 한자식물명 ‘삼(杉)’의 분류학적 실체" 한국학중앙연구원 38 (38): 235-260, 2015

      3 국립수목원, "식별이 쉬운 나무도감" GEOBOOK 2009

      4 김의정, "디지털 시대의 나무 문화 읽기 ― 계수나무를 중심으로" 중국어문학연구회 (62) : 445-464, 2010

      5 이우철, "韓國植物名考" 도서출판 아카데미서적 1996

      6 梁大樸, "靑溪集"

      7 申維翰, "靑泉先生續集"

      8 段成式, "酉陽雜爼"

      9 姜獻奎, "農廬集"

      10 姜世晃, "豹菴稿"

      1 팽철호, "중국문헌 중의 物名 번역에서 나타나는 지식정보의 변용" 한국학연구소 43 : 213-238, 2015

      2 신현철, "우리나라 고전에 나오는 한자식물명 ‘삼(杉)’의 분류학적 실체" 한국학중앙연구원 38 (38): 235-260, 2015

      3 국립수목원, "식별이 쉬운 나무도감" GEOBOOK 2009

      4 김의정, "디지털 시대의 나무 문화 읽기 ― 계수나무를 중심으로" 중국어문학연구회 (62) : 445-464, 2010

      5 이우철, "韓國植物名考" 도서출판 아카데미서적 1996

      6 梁大樸, "靑溪集"

      7 申維翰, "靑泉先生續集"

      8 段成式, "酉陽雜爼"

      9 姜獻奎, "農廬集"

      10 姜世晃, "豹菴稿"

      11 申緯, "警修堂全藁"

      12 국사편편위원회, "藥材質正紀事" 삼진애드 2012

      13 李玄逸, "葛庵集"

      14 許薰, "舫山集"

      15 丁若鏞, "與猶堂全書"

      16 李應禧, "玉潭詩集"

      17 趙冕鎬, "玉垂集"

      18 李玄錫, "游齋集"

      19 潘富俊, "楚辭植物圖鑑" 貓頭鷹出版社 2002

      20 劉向, "楚辭"

      21 加納喜光, "植物の漢字語源辭典" 東京堂出版 2008

      22 鄭蘊, "桐溪集"

      23 許浚, "東醫寶鑑"

      24 宋周相, "東遊日記"

      25 鄭斗卿, "東溟集"

      26 李敏求, "東州集"

      27 李奎報, "東國李相國集"

      28 徐命膺, "本史"

      29 정태현, "朝鮮森林植物圖說" 조선박물연구회 1943

      30 李廷龜, "月沙集"

      31 房玄齡, "晉書"

      32 許筠, "惺所覆瓿稿"

      33 洪仁祐, "恥齋遺稿"

      34 吳健, "德溪集"

      35 鄭曄, "守夢集"

      36 李象靖, "大山集"

      37 張邦基, "墨莊漫錄"

      38 徐居正, "四佳集"

      39 申聖夏, "和菴集"

      40 李好閔, "五峯集"

      41 朴長遠, "久堂集"

      42 鄭汝昌, "一蠹集"

      43 공광성, "「초목화훼(草木花卉)」에 보이는 식물명 고찰" 인문과학연구소 (30) : 119-147,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8-0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Studies Adancement Center -> The Korean Studies Institute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5 0.65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6 0.62 1.324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