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북방지역은 그 지리적, 역사적 관계로 하여 중국 내에서 한국학 교육과 연구가 가장 일찍 시작되었으며 현재 총 16개 성, 시의 591개 4년제 대학교 중, 한국학 전공이 개설된 대학은 총 69...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744370
202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9-48(4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중국 북방지역은 그 지리적, 역사적 관계로 하여 중국 내에서 한국학 교육과 연구가 가장 일찍 시작되었으며 현재 총 16개 성, 시의 591개 4년제 대학교 중, 한국학 전공이 개설된 대학은 총 69...
중국 북방지역은 그 지리적, 역사적 관계로 하여 중국 내에서 한국학 교육과 연구가 가장 일찍 시작되었으며 현재 총 16개 성, 시의 591개 4년제 대학교 중, 한국학 전공이 개설된 대학은 총 69개이다. 북방지역의 한국학과는 1949년 8월, 원 국립동방어문전문학교와 통합하여 설립된 북경대학교 동방어문학부 조선어전공, 거의 동시기인 1949년 3월 설립된 연변대학 조선어문학과를 시작으로 개혁개방이전에는 해방군외국어대학, 대외경제무역대학, 중앙민족대학, 북경제2외국어대학 등 6개 대학에 설립되었다. 그후 한중수교를 기점으로 특히 2000년을 전후하여 북방지역 특히 북경지역과 산동성을 중심으로 한 각 성시의 대학교들에서 앞다투어 한국학과를 개설하고 2004년 무렵부터는 대학원 과정을 개설하기 시작하면서 2015년경까지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그러나 2015년 이후부터 한중간의 정치적 파동, 경제적 변화 및 중국 대학교육 환경의 개혁 등으로 하여 현재 중국의 한국학은 심각한 위기와 도전에 직면하여 소강상태로 접어들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한국학과가 설립된 북방지역 대학 중, 사립대학 19개를 제외한 50개 대학 중, 38개 대학의 한국학과에 대해 교수진, 학부생 정원, 학부 교과과정, 대학원생 육성, 연구업적 등에 대한 상세한 조사를 통해 현재 위기의 상황에 놓여있는 중국 북방지역의 한국학 교육, 연구 현황과 현존하는 문제점을 점검해보고 나름대로 향후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17~18세기 京畿道 安山 仍火面 洞長里洞內契 시행과 운영 구조
18세기 통신사행과 소라이학파(徂徠學派)의 화이론(華夷論)
성공회 선교사 리처드 러트(C. Richard Rutt, 1925~2011)와 20세기 후반 한국학의 발전
윤리적 (불)가능성의 징후로서의 방황-정미경 소설에 대한 시론(試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