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SCOPUS

      상악동 편평세포암종에서의 방사선치료 = External Beam Irradiation for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Maxillary Sinu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70215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 Maxillary sinus cancers usually locally advanced, and involve the structures around sinus, but the regional lymphatic spread is uncommon. Therfore, the local control of these cancers is important for their cure. We reviewed our experience of...

      Purpose : Maxillary sinus cancers usually locally advanced, and involve the structures around sinus, but the regional lymphatic spread is uncommon. Therfore, the local control of these cancers is important for their cure. We reviewed our experience of 55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s of the maxillary sinus,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and looked for the role of radiation in maxillary sinus cancers.
      Methods and Materials : Between November 1982 and October 1999, 55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s of the maxillary sinus underwent either radiation therapy only, or combined with surgery or with concurrent chemoradiation therapy. All patients were restaged to the 1997 AJCC staging systems. The T classifications of the tumors of the patients were as follows : 1.8% (1/55) for T2, 81.8% (45/55) for T3 and 16.4 (9/55) for T4. Thirteen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lymph node involvement. With the surgical procedures, 12 patients were managed by biopsy only, 21 were resected by FESS (functional endoscopic sinus surgery) and 22 by partial/medial/total maxillectomies. The details of the treatments were as follows : 8 patients were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only, 17 with a combination of FESS and radiation therapy, 22 with a combination of a maxillectomy and radiation therapy, 4 with combination of preoperative radiation therapy and surgery, and 4 with concurrent chemoradiation therapy. The mean follow-up for all patients was 25 months, ranging from 2.8 to 125 months.
      Results : The 4-year local control and survival rates for all patients were 45.5 and 33.3%, respectively. The 4-year local control and survival rates, due to the extent of surgery, were as follows:32.1, and 21.4% for biopsy; 41.9, and 31.7% for FESS; and 56.8, and 52.7% for maxillectomy, respectively. Twenty-nine(52.7%) patients were not cured, and of these 29 patients, 23 (79.3%) patients had a local recurrence following treatment.
      Conclusion :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major failure sites following treatment to be the local regions, and that the completeness of surgery was important for improving the local control and survival of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maxillary sinu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상악동 편평세포암종 환자에서 방사선치료의 성적을 분석하여, 예후인자와 방사선치료의 역할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는 1982년 11월부터 1999년 10월까지 상악동암 ...

      목적 : 상악동 편평세포암종 환자에서 방사선치료의 성적을 분석하여, 예후인자와 방사선치료의 역할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는 1982년 11월부터 1999년 10월까지 상악동암 중 조직학적으로 편평세포암종으로 진단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5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병기별로 보면, Ⅲ기가 44명, Ⅳ기가 11명이었다. 원발종양병기분류를 보면, T2가 1명, T3가 45명, T4가 9명이었으며, 림프절 전이는 13명에서 있었다. 수술은 12명은 조직검사만, 21명에서는 기능적 내시경 부비동수술을, 22명에서는 전상악동 절제술 또는 아상악동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방사선치료 단독으로 시행한 경우가 8명, 기능적 내시경 부비동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군이 17명, 근치적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경우가 22명, 수술 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경우가 4명, 동시항암방사선치료를 시행한 경우가 4명이었다. 전체환자의 평균 추적관찰기간은 25개월(2.8~125개월)이었다.
      결과 : 전체환자의 2년과 4년 국소제어율은 각각 49.0%, 45.5%였고, 2년과 4년 생존율은 각각 42.1%, 33.3%였다. 방사선치료 전의 수술적 절제 정도에 따라 보면 조직검사 군은 4년 국소제어율과 생존율이 각각 32.1%, 21.4%였고, 기능적 내시경 부비동 수술을 시행한 군은 각각 41.9%, 31.7%였고,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군은 각각 56.8%, 38.5%로 차이를 보였다.(ρ<0.05). 전체환자 중 26명의 환자는 추적관찰 기간 중 무병상태를 보였고, 19명은 국소재발만을, 2명은 림프절 전이와 국소재발을 함께 보였고, 1명은 림프절전이를, 2명은 전신전이와 국소재발을 동시에, 5명은 전신전이를 보였다.
      결론 : 상악동 편평세포암종 환자에서 방사선치료시 국소제어율과 생존율의 향상을 위해서는 수술시 절제정도가 중요한 예후인자임을 확인하였고, 치료 실패의 부위가 국소인 경우가 높아 효과적인 국소치료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을 보인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20-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SCOPUS 등재 (기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4-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12-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rapeutic Radiology And Oncology ->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KCI등재
      2011-08-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 Radiation oncology journal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rapeutic Radiology and Oncology -> Radiation oncology journal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2 0.864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