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느릅나무 뿌리 에탄올 추출물이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ethanolic extract of Ulmus davidiana Root on Lipid Metabolism in High-Fat Diet Fed Mi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877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thanolic extract of Ulmus davidiana root (UE) on lipid metabolism in mice fed a high-fat diet (HF) for 7 weeks. Forty male ICR mice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normal diet group (N), high-fat diet group (HF), HF with 0.5% UE (HF-L) and 1% UE (HF-H) group. Body weight, body weight gain, and liver weight in the HF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N group, while those of the HF-L and HF-H group were unchanged. UE improved HF-induced dyslipidemia by reducing serum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the atherogenic index. There was no difference in serum HDL-cholesterol among experimental groups. However, the HDL-cholesterol/total cholesterol ratio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HF-L and HF-H group. Histological analysis showed that HF-fed mice developed hepatocellular microvesicular vacuolation as a result of fat accumulation. These changes were attenuated by 1% UE supplementation. In addition, hepatic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levels in the HF-H group significantly reduced.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lipid levels in the blood and liver were reduced by UE, suggesting that it might be beneficial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yperlipidemia and fatty liver.
      번역하기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thanolic extract of Ulmus davidiana root (UE) on lipid metabolism in mice fed a high-fat diet (HF) for 7 weeks. Forty male ICR mice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normal diet group (N),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thanolic extract of Ulmus davidiana root (UE) on lipid metabolism in mice fed a high-fat diet (HF) for 7 weeks. Forty male ICR mice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normal diet group (N), high-fat diet group (HF), HF with 0.5% UE (HF-L) and 1% UE (HF-H) group. Body weight, body weight gain, and liver weight in the HF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N group, while those of the HF-L and HF-H group were unchanged. UE improved HF-induced dyslipidemia by reducing serum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the atherogenic index. There was no difference in serum HDL-cholesterol among experimental groups. However, the HDL-cholesterol/total cholesterol ratio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HF-L and HF-H group. Histological analysis showed that HF-fed mice developed hepatocellular microvesicular vacuolation as a result of fat accumulation. These changes were attenuated by 1% UE supplementation. In addition, hepatic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levels in the HF-H group significantly reduced.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lipid levels in the blood and liver were reduced by UE, suggesting that it might be beneficial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yperlipidemia and fatty liv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느릅나무 뿌리 에탄올 추출물이 고지방 식이를공급 받은 마우스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동물로는 4주령, 수컷 ICR 마우스를 사용하였으며, 정상군, 고지방 식이대조군, 느릅나무 뿌리 에탄올 추출물 0.5%와1% 첨가군으로 나누어 7주간 사육하였다. 실험식이는 AIN-76 식이를 기본으로 하여 지방(13%, w/w)과 콜레스테롤(1%, w/w) 을 혼합하였으며, 느릅나무 뿌리 에탄올 추출물을 0.5%와1% 수준으로 혼합 식이에 첨가하였다. 7주간의 시험기간이종료된 후, 실험동물을 희생하여 장기무게, 혈청 및 간조직의지질함량과 간조직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체중, 체중증가량 및 식이효율은 고지방 식이대조군에서 증가하였으나, 느릅나무 뿌리 에탄올 추출물의 섭취에 따른 유의적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2. 간 및 지방조직의 무게는 고지방 식이섭취군에서 높았으며, 느릅나무 뿌리 에탄올 추출물 첨가군들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신장과 비장 무게의 경우 각 군간에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3. 고지방 식이 섭취는 혈청 중 중성지방과 총 콜레스테롤수준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며, 느릅나무 뿌리 에탄올 추출물 섭취로 인하여 감소하였다. 혈청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각 군간에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전체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 비율에서 느릅나무 뿌리 에탄올 추출물 첨가군이 고지방 식이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수준을 보였다. 또한, 느릅나무 뿌리 에탄올 추출물 섭취는 고지방 식이 섭취에 따른 동맥경화지수의 증가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4. 고지방 식이군에서 나타난 간조직 내 중성지방과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느릅나무 뿌리 에탄올 추출물의 섭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H&E 염색 결과에서도 일치하는결과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실험결과, 고지방 식이와 함께 공급한 느릅나무 뿌리 에탄올 추출물은 혈액 및 간지방 수준 개선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지질대사 관련한 만성질환 예방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느릅나무 뿌리 에탄올 추출물의어떠한 생리활성성분이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한 기전연구가 추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느릅나무 뿌리 에탄올 추출물이 고지방 식이를공급 받은 마우스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동물로는 4주령, 수컷 ICR 마우스를 사용하였으며, 정상군, 고지방 ...

      본 연구는 느릅나무 뿌리 에탄올 추출물이 고지방 식이를공급 받은 마우스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동물로는 4주령, 수컷 ICR 마우스를 사용하였으며, 정상군, 고지방 식이대조군, 느릅나무 뿌리 에탄올 추출물 0.5%와1% 첨가군으로 나누어 7주간 사육하였다. 실험식이는 AIN-76 식이를 기본으로 하여 지방(13%, w/w)과 콜레스테롤(1%, w/w) 을 혼합하였으며, 느릅나무 뿌리 에탄올 추출물을 0.5%와1% 수준으로 혼합 식이에 첨가하였다. 7주간의 시험기간이종료된 후, 실험동물을 희생하여 장기무게, 혈청 및 간조직의지질함량과 간조직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체중, 체중증가량 및 식이효율은 고지방 식이대조군에서 증가하였으나, 느릅나무 뿌리 에탄올 추출물의 섭취에 따른 유의적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2. 간 및 지방조직의 무게는 고지방 식이섭취군에서 높았으며, 느릅나무 뿌리 에탄올 추출물 첨가군들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신장과 비장 무게의 경우 각 군간에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3. 고지방 식이 섭취는 혈청 중 중성지방과 총 콜레스테롤수준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며, 느릅나무 뿌리 에탄올 추출물 섭취로 인하여 감소하였다. 혈청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각 군간에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전체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 비율에서 느릅나무 뿌리 에탄올 추출물 첨가군이 고지방 식이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수준을 보였다. 또한, 느릅나무 뿌리 에탄올 추출물 섭취는 고지방 식이 섭취에 따른 동맥경화지수의 증가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4. 고지방 식이군에서 나타난 간조직 내 중성지방과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느릅나무 뿌리 에탄올 추출물의 섭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H&E 염색 결과에서도 일치하는결과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실험결과, 고지방 식이와 함께 공급한 느릅나무 뿌리 에탄올 추출물은 혈액 및 간지방 수준 개선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지질대사 관련한 만성질환 예방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느릅나무 뿌리 에탄올 추출물의어떠한 생리활성성분이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한 기전연구가 추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광열, "유근피 추출물의 생리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9 (19): 104-109, 2012

      2 김현주, "에너지균형에 미치는 흰지방조직 내 혈관의 역할" 대한소아내분비학회 16 (16): 139-156, 2011

      3 양은주, "보리순이 고지방을 급여한 마우스의 지질 함량과 간조직의 지질대사 관련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 42 (42): 14-22, 2009

      4 이승은, "느릅나무와 시무나무의 항산화 활성" 한국약용작물학회 12 (12): 321-327, 2004

      5 최원희, "느릅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L-glutamate 유래 PC12 세포독성 보호효과" 한국식품과학회 37 (37): 479-483, 2005

      6 류해정,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에서 느티만가닥버섯의 항비만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1708-1714, 2011

      7 이미경,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C57BL/6 마우스에서 뽕잎분말과 열수추출물의 지질저하 작용"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405-410, 2007

      8 문지혜,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에서 토란분말의 비만억제 및 지질저하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42 (42): 620-626, 2010

      9 Bose M, "The major green tea polyphenol, (-)-epigallocatechin-3-gallate, inhibits obesity, metabolic syndrome, and fatty liver disease in high-fat-fed mice" 138 : 1677-1683, 2008

      10 Haglund O, "The effects of fish oil on triglycerides, cholesterol, fibrinogen and malondialdehyde in humans supplemented with vitamin E" 121 : 165-169, 1991

      1 정광열, "유근피 추출물의 생리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9 (19): 104-109, 2012

      2 김현주, "에너지균형에 미치는 흰지방조직 내 혈관의 역할" 대한소아내분비학회 16 (16): 139-156, 2011

      3 양은주, "보리순이 고지방을 급여한 마우스의 지질 함량과 간조직의 지질대사 관련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 42 (42): 14-22, 2009

      4 이승은, "느릅나무와 시무나무의 항산화 활성" 한국약용작물학회 12 (12): 321-327, 2004

      5 최원희, "느릅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L-glutamate 유래 PC12 세포독성 보호효과" 한국식품과학회 37 (37): 479-483, 2005

      6 류해정,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에서 느티만가닥버섯의 항비만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1708-1714, 2011

      7 이미경,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C57BL/6 마우스에서 뽕잎분말과 열수추출물의 지질저하 작용"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405-410, 2007

      8 문지혜,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에서 토란분말의 비만억제 및 지질저하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42 (42): 620-626, 2010

      9 Bose M, "The major green tea polyphenol, (-)-epigallocatechin-3-gallate, inhibits obesity, metabolic syndrome, and fatty liver disease in high-fat-fed mice" 138 : 1677-1683, 2008

      10 Haglund O, "The effects of fish oil on triglycerides, cholesterol, fibrinogen and malondialdehyde in humans supplemented with vitamin E" 121 : 165-169, 1991

      11 Wee JH, "Purple sweet potato anthocyanins attenuate hepatic lipid accumulation through activating adenosine monophosphate-activated protein kinase in human HepG2 cells and obese mice" PERGAMON-ELSEVIER SCIENCE LTD 31 (31): 896-906, 2011

      12 Lee JC, "Plant-originated glycoprotein, G-120, inhibits the growth of MCF-7 cells and induces their apoptosis" Elsevier BV 43 (43): 961-968, 2005

      13 Krenisky JM, "Isolation and antihyperglycemic activity of bakuchiol from Otholobium pubescens (Fabaceae), a Peruvian medicinal plant used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22 : 1137-1140, 1999

      14 Sang Yoon Choi, "Isolation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Bakuchiol from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3 (13): 1019-1023, 2010

      15 Jun CD, "Inhibition of nitric oxide synthesis by butanol fraction of the methanol extract of Ulmus davidiana in murine macrophages" 62 : 129-135, 1998

      16 Jin UH, "Induction of mitochondria-mediated apoptosis by methanol fraction of Ulmus davidiana Planch(Ulmaceae)in U87 glioblastoma cells" 22 : 136-141, 2006

      17 Castelli WP, "Incidence of coronary heart disease and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s. The Framingham Study" 256 : 2835-2838, 1986

      18 Yang HH, "Epifriedelanol from the root bark of Ulmus davidiana inhibits cellular senescence in human primary cells" 77 : 441-449, 2011

      19 Yugarani T, "Effects of poly- phenolic natural products on the lipid profiles of rats fed high fat diets" 27 : 181-186, 1992

      20 Hertog MG, "Dietary antioxidant flavonoids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 the Zutphen Elderly Study" 342 : 1007-1011, 1993

      21 Ohyama K, "Catechin-rich grape seed extract supplementation attenuates diet-induced obesity in C57BL/6J mice" 58 : 250-258, 2011

      22 Ahn JJ, "Antioxidant activity and protective effect on DNA damage of extracts from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10 : 9-16, 2010

      23 Guo Y, "Antiobesity action of a daidzein derivative on male obese mice induced by a high-fat diet" 29 : 656-663, 2009

      24 Statistics Korea, "Annual report on the causes of death statistics" 2012

      25 Hong ND, "A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Ulmus davidiana" 21 : 201-204, 1990

      26 Folch J,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s" 226 : 497-569, 195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76 1.10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