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Workplace Bullying of Nur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919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ypes and consequences of bullying in the workplace of nurse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ppropriate interventions program for bullying in the future Data were collected from nurses in B metropolitan, and analyzed with SPSS 24.0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 way ANOVA, Scheffe’s test. WPBN-TI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s according to marriage(t=2.62, p=.010), age(F=3.93, p=.005), current position(F=3.49, p=.017), turnover impulse(t=-3.65, p=.001), WPBN-CI was statistical differences according to marriage(t=2.84, p=.005), age(F=7.21, p<.001), hospital size(F=6.41, p<.001), current position(F=5.48, p=.005), working year(F=3.63, p=.004), turnover impulse(t=-2.22, p=.030), turnover experience(t=-2.02, p=.046).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creating a positive organizational culture that can help nurses adapt to new work environments and organizational cultur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ypes and consequences of bullying in the workplace of nurse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ppropriate interventions program for bullying in the future Data were collected from nurses in B met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ypes and consequences of bullying in the workplace of nurse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ppropriate interventions program for bullying in the future Data were collected from nurses in B metropolitan, and analyzed with SPSS 24.0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 way ANOVA, Scheffe’s test. WPBN-TI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s according to marriage(t=2.62, p=.010), age(F=3.93, p=.005), current position(F=3.49, p=.017), turnover impulse(t=-3.65, p=.001), WPBN-CI was statistical differences according to marriage(t=2.84, p=.005), age(F=7.21, p<.001), hospital size(F=6.41, p<.001), current position(F=5.48, p=.005), working year(F=3.63, p=.004), turnover impulse(t=-2.22, p=.030), turnover experience(t=-2.02, p=.046).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creating a positive organizational culture that can help nurses adapt to new work environments and organizational cultur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 유형과 직장 내 괴롭힘 결과를 파악하고, 이들의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예방과 적절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자료수집은 B광역시에 소재하는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5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4.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 way ANOVA, Scheffe’s test로 분석하였다. 직장 내 괴롭힘 유형(WPBN-TI)은 결혼(t=2.62, p=.010), 연령(F=3.93, p=.005), 현 직급(F=3.49, p=.017), 이직 충동 경험(t=-3.65,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직장 내 괴롭힘 결과(WPBN-CI)는 결혼(t=2.84, p=.005), 연령(F=7.21, p=.000), 병원규모(F=6.41, p=.000), 현 직급(F=5.48, p=.005), 근무 년 수(F=3.63, p=.004), 이직 충동 경험(t=-2.22, p=.030), 이직 경험(t=-2.02, p=.046)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사들이 새로운 업무 환경과 조직문화에 적응을 도울 수 있는 긍정적 조직문화 조성을 제언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 유형과 직장 내 괴롭힘 결과를 파악하고, 이들의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예방과 적절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 유형과 직장 내 괴롭힘 결과를 파악하고, 이들의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예방과 적절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자료수집은 B광역시에 소재하는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5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4.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 way ANOVA, Scheffe’s test로 분석하였다. 직장 내 괴롭힘 유형(WPBN-TI)은 결혼(t=2.62, p=.010), 연령(F=3.93, p=.005), 현 직급(F=3.49, p=.017), 이직 충동 경험(t=-3.65,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직장 내 괴롭힘 결과(WPBN-CI)는 결혼(t=2.84, p=.005), 연령(F=7.21, p=.000), 병원규모(F=6.41, p=.000), 현 직급(F=5.48, p=.005), 근무 년 수(F=3.63, p=.004), 이직 충동 경험(t=-2.22, p=.030), 이직 경험(t=-2.02, p=.046)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사들이 새로운 업무 환경과 조직문화에 적응을 도울 수 있는 긍정적 조직문화 조성을 제언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은혜, "병원간호사의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간호조직문화, 직장 내 괴롭힘 행위와 직장 내 괴롭힘 결과의 관계" 간호행정학회 22 (22): 303-312, 2016

      2 윤선영, "병원 간호사 간 약자 괴롭힘 경험의 영향요인" 한국성인간호학회 26 (26): 553-562, 2014

      3 염영희, "대학병원 간호사의 직장 내 약자 괴롭힘, 직무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소진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23 (23): 259-269, 2017

      4 정가연, "간호조직문화, 업무수행능력, 직장 내 괴롭힘 유형이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 결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 25 (25): 424-435, 2019

      5 정선경, "간호사의 태움 개념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482-491, 2018

      6 박미숙, "간호사의 직장 내 집단약자 괴롭힘, 사회적 지지가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166-173, 2018

      7 김현정,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4 (14): 241-252, 2016

      8 김영림,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 경험에 따른 조직문화, 조직몰입의 비교"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6 (26): 197-206, 2017

      9 박광옥, "간호사의 근무지 약자 괴롭힘 경험과 소진, 조직몰입, 이직의도 및 간호생산성" 병원간호사회 19 (19): 169-180, 2013

      10 이윤주, "간호사가 지각하는 직장 내 괴롭힘 측정도구 개발" 한국간호과학회 44 (44): 209-218, 2014

      1 한은혜, "병원간호사의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간호조직문화, 직장 내 괴롭힘 행위와 직장 내 괴롭힘 결과의 관계" 간호행정학회 22 (22): 303-312, 2016

      2 윤선영, "병원 간호사 간 약자 괴롭힘 경험의 영향요인" 한국성인간호학회 26 (26): 553-562, 2014

      3 염영희, "대학병원 간호사의 직장 내 약자 괴롭힘, 직무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소진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23 (23): 259-269, 2017

      4 정가연, "간호조직문화, 업무수행능력, 직장 내 괴롭힘 유형이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 결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 25 (25): 424-435, 2019

      5 정선경, "간호사의 태움 개념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482-491, 2018

      6 박미숙, "간호사의 직장 내 집단약자 괴롭힘, 사회적 지지가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166-173, 2018

      7 김현정,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4 (14): 241-252, 2016

      8 김영림,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 경험에 따른 조직문화, 조직몰입의 비교"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6 (26): 197-206, 2017

      9 박광옥, "간호사의 근무지 약자 괴롭힘 경험과 소진, 조직몰입, 이직의도 및 간호생산성" 병원간호사회 19 (19): 169-180, 2013

      10 이윤주, "간호사가 지각하는 직장 내 괴롭힘 측정도구 개발" 한국간호과학회 44 (44): 209-218, 2014

      11 권덕화, "간호사 및 동료 의료인의 임상간호사 ‘태움’ 인식 경험"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9 (9): 581-596, 2018

      12 "https://www.gov.kr/portal/ntnadmNews/1534278"

      13 "http://www.krivet.re.kr/ku/da/kuBDCVw.jsp?pgn=7&gk=ALL&gv=&gn=G7-E520160019"

      14 H. M. Son, "The clinical expression of adaptation as a new nursing staff" 31 (31): 988-997, 2001

      15 Y. N. Seo, "South korean culture and history: the implications for workplace bullying" 17 (17): 419-422, 2012

      16 M. Y. Gu, "Prevention of workplace bullying among women workers: survey analysis and policy suggestions"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51-96, 2015

      17 D. A. Vogelphol, "New graduate nurses’ perception of the workplace: Have they experienced bullying?" 29 (29): 414-422, 2015

      18 D. A. Vogelpohl, "New graduate nurses perception of the workplace: Have they experienced bullying" 29 : 414-422, 2012

      19 S. L. Johnson,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workplace bullying among nurses: A review" 56 (56): 34-40, 2009

      20 M. Hutchinson, "Integrating individual, work group and organizational factors: Testing a multidimensional model of bullying in the nursing workplace" 18 : 173-181, 2010

      21 B. G. McKenna, "Horizontal violence; experiences of registered nurses in their first year of practice" 42 (42): 90-96, 2003

      22 E. Read, "Correlates of new graduate nurses' experiences of workplace mistreatment" 43 (43): 221-228, 2013

      23 P. Lutgen-Sandvik, "Burned by bullying in the American workplace:Prevalence, perception, degree and impact" 44 (44): 837-862, 2007

      24 Y. O. Lee, "A methodological triangulation study on the experience of horizontal violence in intensive care unit nurses" 6 (6): 37-50,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 탈락 (기타)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2 0.407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