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국내의 도시재생은 도시재생뉴딜사업으로 균형적인 도시의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최근 연구에서 여러 측면의 위협에 대한 다양한 분야에서 회복할 수 있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840410
202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41-54(14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국내의 도시재생은 도시재생뉴딜사업으로 균형적인 도시의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최근 연구에서 여러 측면의 위협에 대한 다양한 분야에서 회복할 수 있는 ...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국내의 도시재생은 도시재생뉴딜사업으로 균형적인 도시의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최근 연구에서 여러 측면의 위협에 대한 다양한 분야에서 회복할 수 있는 도시 리질리언스가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 리질리언스의 관점에서 쇠퇴지역에 대한 도시재생 계획 및 디자인을 제안하는 것이다. 계획 및 디자인 제안을 하는 대상지의 물리적·사회적·경제적 현황을 도시 리질리언스 관점에서 판단되는 위협으로 분류 및 분석하는 것이다. 다양한 위협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도시 리질리언스 관점에서 단계적인 계획 및 디자인을 제안하는 것으로 본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연구방법) 여러 지방 도시들은 정부 주도의 의사결정(Top-down)이 아닌, 시민 주도의 아이디어 제안(Bottom-up)을 통해서 다양한 아이디어와 사회적·문화적 소통의 장을 만들고자 하였다. 도시 리질리언스의 여러 분야의 연구 관점에서 대상지에 대한 계획 및 디자인의 방향성을 설정하였다. 계획 및 디자인은 도시 리질리언스의 핵심개념을 적용하여, 장기적인 관점에서 초기·중기·장기 계획 및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또한, 국내의 도시재생뉴딜사업의 유형을 기준으로 기본적인 방향을 설정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는 제안한 계획 및 디자인은 도시재생뉴딜사업에서 일반근린형에 맞춰 제안하였다. 또한, 지역경제와 거버넌스를 통한 도시 리질리언스를 기본적인 방향으로 설정하였다. 대상지의 복합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계획 및 디자인의 준비 단계로 도시재생 아카데미 및 도시재생회사 설립을 우선적으로 제안하였다. 다음 초기 계획으로 지역 커뮤니티 센터 설립, 지역 내 거주환경 개선, 중·소규모 유휴공간 활용을 계획 및 디자인하였다. 다음 중기 계획으로 대규모 유휴공간 활용, 전통 혼수거리 선형상가 리모델링 및 관리, 도로체계 개선, 청년상입 유입을 계획 및 제안하였다. 다음 장기 계획으로 가로주택정비사업을 제안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계획 및 디자인은 초기 설정한 도시 리질리언스의 방향성인 지역경제 및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전체 도시재생뉴딜사업을 위한 계획은 도시 리질리언스의 핵심개념과 같이, 장기적인 관점으로 제안하였다. 또한, 개별 계획 및 디자인은 지역경제와 거버넌스의 도시 리질리언스의 방향성을 가지도록 제안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urban regeneration in Korea has been promoting balanced urban development with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In addition, a recent research has found that the urban resilience, a recoverable city, is being...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urban regeneration in Korea has been promoting balanced urban development with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In addition, a recent research has found that the urban resilience, a recoverable city, is being studied in a variety of research areas against multiple aspects of threa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lan and design for urban regeneration in the declining area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urban resilience. It classifies and analyzes the physical, social and economic status of the target site for plan and design proposals as threats judged from the perspective of urban resilience. To overcome a variety of threats, this research has the significance of proposing step-by-step plan and desig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rban resilience. (Method) Many local cities wanted to create diverse ideas and social·cultural communication fields through bottom-up idea proposals, not top-downs. The direction of plan and design was established from the perspective of research in various areas of the city. The plan and design applied the main concept of urban resilience, and proposed the early, mid and late plan and design from a long-term perspective. In addition, the basic direction was set based on the type of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in Korea. (Results) In this research, the proposed plan and design were proposed in accordance with the neighborhood master plan in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In addition, the urban resilience through local economy and governance was set in a basic direction. To solve the complex problems of the target site, this research first proposed the establishment of the Urban Regeneration Academy and Urban Regeneration Company as a preparatory step for plan and design. The following initial plan and design were designed to establish local community centers, improve residential environment in the site, and utilize small and medium-sized idle spaces. The following mid plan and design were designed to utilize large-scale idle space, remodel and manage main commercial street linear shops, improve the road system, and introduce youth commerce. The next long-term plan were designed to a street housing readjustment project. (Conclusions) The plan and design of this research were developed around the local economy and governance, the orientation of the initial set-up urban resilience. The plan for the entir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was proposed from a long-term perspective, such as the main concept of the urban resilience. In addition, each plans and designs were proposed to have orientation in the local economy and in the governance urban resilience.
참고문헌 (Reference)
1 우지연, "회복력 있는 도시 : 트라우마를 다루는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2 김, 현주, "지역사회 방재리질리언스 프레임워크 개발" 국립방재연구원 2012
3 김, 창석, "우리나라 도시재생정책의 현황과 과제" 서울연구원 2009
4 김, 정곤, "리질리언트 시티 평가기준(Criteria)및 도시재생 적용연구"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7
5 김, 정곤, "리질리언트 시티 평가기준 및 도시재생 적용 연구" 국토연구원 2017
6 김, 정곤, "리질리언스(Resilience)도시재생 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6
7 홍, 준경, "도시재생지원센터 운영의 법제도적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진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19
8 김, 동현, "도시의 새로운 패러다임 가능성- 리질리언스"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15
9 Rockefeller Foundation, "cities taking action-How the 100RC network is building urban resiliece, 100Resilient cities" 2017
10 Marta Olazabal, "Urban Resilience: Towards An Integrated Approach"
1 우지연, "회복력 있는 도시 : 트라우마를 다루는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2 김, 현주, "지역사회 방재리질리언스 프레임워크 개발" 국립방재연구원 2012
3 김, 창석, "우리나라 도시재생정책의 현황과 과제" 서울연구원 2009
4 김, 정곤, "리질리언트 시티 평가기준(Criteria)및 도시재생 적용연구"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7
5 김, 정곤, "리질리언트 시티 평가기준 및 도시재생 적용 연구" 국토연구원 2017
6 김, 정곤, "리질리언스(Resilience)도시재생 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6
7 홍, 준경, "도시재생지원센터 운영의 법제도적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진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19
8 김, 동현, "도시의 새로운 패러다임 가능성- 리질리언스"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15
9 Rockefeller Foundation, "cities taking action-How the 100RC network is building urban resiliece, 100Resilient cities" 2017
10 Marta Olazabal, "Urban Resilience: Towards An Integrated Approach"
11 Amy Oliver, "Resilient and regenerative design in New Orleans:the case of the Make It Right project" 6 : 2013
12 Lorenzo chelleri, "Resilience trade-offs: addressing multiple scales and temporal aspects of urban resilience" 187-, 2015
13 European Sustainable Development Network, "Resilienc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heory of resilience, systems thinking and adaptive governance" 2012
14 UNISDR, "Making Cities Resilient Report 2012: My city is getting ready! A Global Snapshot of How Local Governments Reduce Disaster Risk" 113-, 2012
15 Johann Tempelhoff, "Exploring panarchy and social-ecological resilience: Towards understanding water history in precolonial Southern Africa" 92-112, 2002
16 Arup, "City Resilience Framework"
17 Arup, "City Resilience Framework"
18 Urban Land Institute, "Building the Resilient City-A ULI Conference Report" 2015
공기막 구조(空氣膜 構造)의 전시적 활용성에 관한 연구
프리츠커 수상작품 선행연구들에 나타나는 공간인식 경향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6-0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 Intitute of the spatial design -> Journal of Korea Intitute of Spatial Design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7 | 0.47 | 0.5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1 | 0.52 | 0.692 | 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