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대학 무용 전공자의 무용교육 만족도와 무용지속의사와의 관계를 규명하고, 대학무용교육의 발전과 향후 무용전공자들의 무용 지속의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047959
청주시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학위논문(석사)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체육교육학과체육교육전공 , 2016. 2
2016
한국어
796.0712 판사항(22)
충청북도
7, 91 p. ; 26 cm
한국교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 박종률
참고문헌 : p.p.74-8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대학 무용 전공자의 무용교육 만족도와 무용지속의사와의 관계를 규명하고, 대학무용교육의 발전과 향후 무용전공자들의 무용 지속의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
이 연구는 대학 무용 전공자의 무용교육 만족도와 무용지속의사와의 관계를 규명하고, 대학무용교육의 발전과 향후 무용전공자들의 무용 지속의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첫째, 개인적 특성에 따른 대학무용전공자의 무용교육 만족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개인적 특성에 따른 대학무용전공자의 무용지속의사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대학무용 전공자의 무용교육 만족도가 무용지속의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로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2015년 대전광역시, 대구광역시, 서울특별시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단순 무선 표집방법을 실시하여 학생 284명을 표집, 설문에 불 응답하거나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한 271명의 유효 표본을 확보한 후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연구도구로는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문항을 기초로 하여 이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대학 무용 전공자의 개인적 특성(성별, 학년, 전공, 무용경력, 출신고교 유형, 수상경력, 공연 참여횟수)에 따른 무용교육 만족도의 차이를 비교 · 분석한 결과 무용교육 만족도의 무용 수업내용 요인에서는 발레 전공자보다는 현대무용 전공자일수록, 일반계열 출신 학생일수록, 수상경력이 있을수록, 공연 참여횟수가 2회 이상인 학생일수록 무용 수업내용에 대한 만족도가 나타났다. 무용 환경 요인에서는 한국무용과 발레 전공자보다는 현대무용 전공자일수록, 무용경력이 10년 이상보다 5년 미만일수록, 일반계열 출신 학생일수록 무용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나타났다. 교수 행동 요인에서는 한국무용과 발레 전공자보다는 현대무용 전공자일수록, 무용경력이 10년 이상보다 5년 미만일수록, 일반계열 출신 학생일수록, 수상경력이 있을수록 교수행동에 대한 만족도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무용 평가 요인에서는 한국무용 전공자보다 현대무용 전공자일수록, 일반계열 출신 학생일수록 무용 평가에 대한 만족도가 나타났다.
둘째, 대학 무용 전공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무용지속의사의 차이를 비교 · 분석한 결과 무용지속의사의 경향성 요인에서는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일수록, 일반계열 출신 학생일수록 무용지속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능성 요인에서는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일수록 무용지속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강화성 요인에서는 개인적 특성변인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지속성 요인에서는 남학생일수록, 4학년보다는 1학년과 3학년일수록, 공연 참여횟수가 1회 이상보다는 2회 이상일수록 무용지속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 무용 전공자의 무용교육 만족도가 무용지속의사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교육 만족도의 하위요인인 무용 수업내용은 경향성과 강화성, 지속성 요인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무용 환경은 가능성 요인에서만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 교수 행동은 경향성과 가능성, 강화성, 지속성 요인 모두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마지막으로 무용 평가는 경향성과 가능성 요인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대학 무용 전공자의 무용교육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무용지속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변인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무용교육의 부족한 점을 보완하고, 바람직한 무용교육의 가치와 중요성을 인식하여야 할 것이며, 나아가 무용 전공자들의 무용교육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졸업 후 진로결정에 보다 폭 넓은 장을 열어 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