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초학력 지도 현황 및 교원 전문성 강화 방안 분석 = Methods for Strengthening Teachers’ Proficiency to Improve Minimum Academic Competenc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069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sk what they believed to be necessary expertise to improve minimum academic competencies, and how they could strengthen such expertise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Methods Survey respondents...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sk what they believed to be necessary expertise to improve minimum academic competencies, and how they could strengthen such expertise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Methods Survey respondents included 2,002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1,311 middle school teachers, resulting in a total of 3,313 participants. In order to analyze the survey data, the ratio of responses to the survey questions was basically presented, and when asked about the importance and the degree of execution in some questions related to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actual practice compared to the importance, and if there is a difference, the difference A t-test was performed to see if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analysis of variance was performed to examine differences in professionalism according to teacher experience.
      Results Survey results revealed that many schools currently provide remedial education to underachieving students through after-school programs; teachers believed that this form of guidance was most effective. Guidance for underachieving students was mostly provided by respective students’ homeroom teachers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and subject teachers at the middle school level.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responded that underachieving students were still being taught through in-person guidance, even after Covid-19. Participants also felt that teacher expertise was required in terms of sense of duty, eliciting student motivation, creating rapport, diagnosing causes of underachievement, creating an appropriate pedagogical strategy, and providing relevant learning materials. Yet, levels of implementation for these aspec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than their levels of importance. and it was confirmed that this differs depending on the number of years of service as a teacher. It can be confirmed that related teacher education is important for guiding students who do not have basic academic ability, and teacher training was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method.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eachers felt continuous, systematic training should be prepared in order to strengthen teachers’ proficiency to improve minimum academic competencies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기초학력 지도 현황을 파악하고 기초학력 향상을 위해 요구되는 교원 전문성과 이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이 무엇인지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목적 본 연구는 기초학력 지도 현황을 파악하고 기초학력 향상을 위해 요구되는 교원 전문성과 이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이 무엇인지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초등학교 교사 2,002명, 중학교 교사 1,311명등 총 3,313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조사 자료 분석을 위해 기본적으로 조사 문항에 대한 응답 비율을 제시하였으며, 교원 전문성과관련된 일부 문항에서 중요도와 실행도를 물은 경우에는 중요성에 비해 실제 행하고 있는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차이가 있다면 그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t-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교사 경력에 따른 전문성의 차이 등을 살펴보기 위해서는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자료 분석 결과, 현재 기초학력 지도는 방과후 지도가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고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초등학교에서는 담임 교사, 중학교에서는 교과 교사가 기초학력 미달 학생 지도를 주로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이후에도 대면지도가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었다. 기초학력 미달 학생 지도를 위해서는 교사의 사명감, 동기 유발, 래포 형성, 학습 상황및 원인 진담, 면담을 통한 지도 계획 수립, 교수 목표 설정, 교수학습지도 전략 수립, 개별적 학습 자료 제공 등이 요구되나, 그 중요도에 비해 실행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교사 재직 연수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기초학력 미달 학생 지도를 위해 관련 교사 교육이 중요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 방법으로는 연수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기초학력 지도를 위한 교원 전문성 강화를 위해 주기적이고 체계적인 교사 연수가 마련되어야 함을보여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교육부, "행복한 출발을 위한 기초학력 지원 내실화방안" 2019

      2 노정은 ; 강경숙, "학습부진학생의 학습습관 지도를 위한 PBL 적용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 모형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107-131, 2017

      3 김은숙, "학습부진아의 원인연구" 55 : 36-45, 1987

      4 최진오, "학습부진아의 공부잠재력 키우기" 학지사 2020

      5 김동일, "학습부진아 교육체계 발전방안 연구 : 의뢰전단계 교수-학습-평가 체제를 중심으로" 9 : 226-250, 2001

      6 노원경 ; 이혜원 ; 오상철 ; 김호영, "학습부진 원인 진단도구 개발 및 활용"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5 (35): 23-47, 2017

      7 이화진, "학력향상형 창의경영학교운영성과 분석 및 기초학력 미달 학생 지도⋅지원 체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8 김태은 ; 이화진 ; 오상철 ; 노원경, "초등학생의 기초학력 미달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효과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26 (26): 505-521, 2012

      9 고재천, "초등학교 학급담임 교사가 인식한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115-137, 2015

      10 윤정혜 ; 이인원, "초등학교 저학년 학습부진아 실태와 유아교육 경험 조사" 한국아동교육학회 19 (19): 153-162, 2010

      1 교육부, "행복한 출발을 위한 기초학력 지원 내실화방안" 2019

      2 노정은 ; 강경숙, "학습부진학생의 학습습관 지도를 위한 PBL 적용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 모형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107-131, 2017

      3 김은숙, "학습부진아의 원인연구" 55 : 36-45, 1987

      4 최진오, "학습부진아의 공부잠재력 키우기" 학지사 2020

      5 김동일, "학습부진아 교육체계 발전방안 연구 : 의뢰전단계 교수-학습-평가 체제를 중심으로" 9 : 226-250, 2001

      6 노원경 ; 이혜원 ; 오상철 ; 김호영, "학습부진 원인 진단도구 개발 및 활용"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5 (35): 23-47, 2017

      7 이화진, "학력향상형 창의경영학교운영성과 분석 및 기초학력 미달 학생 지도⋅지원 체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8 김태은 ; 이화진 ; 오상철 ; 노원경, "초등학생의 기초학력 미달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효과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26 (26): 505-521, 2012

      9 고재천, "초등학교 학급담임 교사가 인식한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115-137, 2015

      10 윤정혜 ; 이인원, "초등학교 저학년 학습부진아 실태와 유아교육 경험 조사" 한국아동교육학회 19 (19): 153-162, 2010

      11 백병부, "중학교 단계에서의 학습부진 결정 요인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37 (37): 73-102, 2010

      12 김진욱 ; 차성현, "일반고 수학교과 학업성취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특성 및 교육정책 변인 탐색: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55-79, 2019

      13 조난심, "기초학력 증진을 위한 정책 개발 기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14 김경희 ; 박인용, "고등학교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토대로 한 기초학력 보장 정책 성과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8 (18): 283-311, 2015

      15 김희삼, "격차사회 극복을 위한 기초학력보장 정책의 방향" 한국사회보장학회 36 (36): 93-135, 2020

      16 Bradley, R. H., "Socioeconomic Status and Child Development" 53 : 371-399, 2002

      17 McGuire, D. F., "A transcontextual model for intervention with problems of school underachievement" 13 (13): 37-45, 1985

      18 아시아경제, "6월 모의평가 학력 양극화, 90점이상 늘고 40점 미만 비율도 늘어"

      19 김태은, "4차산업혁명시대에 요구되는 광의의 기초학력 개념 정립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