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국정운한자음 DB 활용 극대화를 위한검색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for Pronunciation of Sino-Korean Search System UsingTongkukchŏngun DB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357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a number of institutions have released literature data related to Literary Sinitic and pronunciation of Sino-Korean online. However, since most of them are image file data,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extract and view only pronunciation of Sino-Korean data that meets the desired condition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the development of a search system exclusively for pronunciation of Sino-Korean in order to make more researchers interested in studying pronunciation of Sino-Korean in rhyme book by providing convenience in collecting research data. Specifically, the following matters were discussed. First, the Tongkukchŏngun DB, which has already been established, was explained, and then the function of the search system required by researchers and the DB schema and UI design to realize it were discussed. The search system for pronunciation of Sino-Korean in Tongkukchŏngun proposed in this study will be the basis for the building of an integrated search system for pronunciation of Sino-Korean in rhyme books made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the future.
      번역하기

      Recently, a number of institutions have released literature data related to Literary Sinitic and pronunciation of Sino-Korean online. However, since most of them are image file data,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extract and view only pronunciation of...

      Recently, a number of institutions have released literature data related to Literary Sinitic and pronunciation of Sino-Korean online. However, since most of them are image file data,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extract and view only pronunciation of Sino-Korean data that meets the desired condition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the development of a search system exclusively for pronunciation of Sino-Korean in order to make more researchers interested in studying pronunciation of Sino-Korean in rhyme book by providing convenience in collecting research data. Specifically, the following matters were discussed. First, the Tongkukchŏngun DB, which has already been established, was explained, and then the function of the search system required by researchers and the DB schema and UI design to realize it were discussed. The search system for pronunciation of Sino-Korean in Tongkukchŏngun proposed in this study will be the basis for the building of an integrated search system for pronunciation of Sino-Korean in rhyme books made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다수의 기관에서 한자음 관련 문헌 자료를 온라인 상에 공개하고 있으나, 대부분 이미지 파일 자료이기 때문에 원하는 조건에 부합하는 한자음 자료만을 추출해서 보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연구 자료 수집의 편의를 제공함으로써 운서 한자음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해 한자음 전용 검색 시스템 개발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이미 구축해 놓은 동국정운한자음 DB에 대하여 설명하고, 연구자들이 필요로 하는 검색 시스템의 기능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DB 스키마 및 UI 설계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동국정운한자음 검색 시스템은 향후 조선 운서 한자음에 대한 통합 검색 시스템 개발로 이어질 것이다.
      번역하기

      최근 다수의 기관에서 한자음 관련 문헌 자료를 온라인 상에 공개하고 있으나, 대부분 이미지 파일 자료이기 때문에 원하는 조건에 부합하는 한자음 자료만을 추출해서 보기는 사실상 불가...

      최근 다수의 기관에서 한자음 관련 문헌 자료를 온라인 상에 공개하고 있으나, 대부분 이미지 파일 자료이기 때문에 원하는 조건에 부합하는 한자음 자료만을 추출해서 보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연구 자료 수집의 편의를 제공함으로써 운서 한자음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해 한자음 전용 검색 시스템 개발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이미 구축해 놓은 동국정운한자음 DB에 대하여 설명하고, 연구자들이 필요로 하는 검색 시스템의 기능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DB 스키마 및 UI 설계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동국정운한자음 검색 시스템은 향후 조선 운서 한자음에 대한 통합 검색 시스템 개발로 이어질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무림, "「동국정운」의 편운에 대하여" 한국어학회 3 : 1996

      2 김영경, "한중일 고대 한자 자전(字典) 통합 DB 구축과 비교연구" 한국연구재단 2015

      3 신수영 ; 구현아 ; 김바로 ; 엄지, "조선시대 중국어 역학서 어휘 및 어음 정보의 시맨틱 데이터 구축 연구" 한국중국학회 (101) : 3-23, 2022

      4 임은기, "자료흐름도로부터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설계순서를 추출하는 알고리즘" 한국정보기술학회 5 (5): 226-234, 2007

      5 김현, "디지털인문학 입문"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원 2016

      6 中華書局, "集韻" 臺灣中華書局印刷廠 1980

      7 伊藤智ゆき, "資料篇" 汲古書院 2007

      8 藝文印書館, "等韻五種" 藝文印書館 1975

      9 郭錫良, "漢字古音手冊" 北京大學出版社 1986

      10 "漢典"

      1 김무림, "「동국정운」의 편운에 대하여" 한국어학회 3 : 1996

      2 김영경, "한중일 고대 한자 자전(字典) 통합 DB 구축과 비교연구" 한국연구재단 2015

      3 신수영 ; 구현아 ; 김바로 ; 엄지, "조선시대 중국어 역학서 어휘 및 어음 정보의 시맨틱 데이터 구축 연구" 한국중국학회 (101) : 3-23, 2022

      4 임은기, "자료흐름도로부터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설계순서를 추출하는 알고리즘" 한국정보기술학회 5 (5): 226-234, 2007

      5 김현, "디지털인문학 입문"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원 2016

      6 中華書局, "集韻" 臺灣中華書局印刷廠 1980

      7 伊藤智ゆき, "資料篇" 汲古書院 2007

      8 藝文印書館, "等韻五種" 藝文印書館 1975

      9 郭錫良, "漢字古音手冊" 北京大學出版社 1986

      10 "漢典"

      11 고려대학교출판부, "洪武正韻譯訓 (영인본)" 고려대학교 출판부 1972

      12 林茶英, "東國正韻漢字音硏究-中声の修正を中心に" 도쿄대 2019

      13 차익종, "東國正韻式 漢字音 硏究"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14 건국대학교출판부, "東國正韻 (영인본)" 건국대학교 출판부 1988

      15 周祖謨, "廣韻校本" 中華書局 2004

      16 "小學堂"

      17 조운성, "『동국정운』한자음의 성모와 운모 체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