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웹툰 <정년이>의 사례를 통해 디지털 매체와 웹 환경에서 비롯된 특징적 자질들이 서사의 안팎으로 개입해 담론적 효력을 발휘하는 국면을 확인하고자 한 시도이다. 오늘날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697810
정도미 (전남대학교)
2025
Korean
<정년이> ; 디지털 매체 ; 디지털 서사 ; 웹 환경 ; 웹툰 서사학 ; Jeongnyeoni ; Digital media ; Digital narrative ; Web environment ; Webtoon narrative
KCI등재
학술저널
201-229(2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웹툰 <정년이>의 사례를 통해 디지털 매체와 웹 환경에서 비롯된 특징적 자질들이 서사의 안팎으로 개입해 담론적 효력을 발휘하는 국면을 확인하고자 한 시도이다. 오늘날 ...
본 연구는 웹툰 <정년이>의 사례를 통해 디지털 매체와 웹 환경에서 비롯된 특징적 자질들이 서사의 안팎으로 개입해 담론적 효력을 발휘하는 국면을 확인하고자 한 시도이다.
오늘날 전통적 출판시장의 경쟁력이 약화되는 분위기 속에서 디지털 매체와 웹 환경이 문학의 새로운 유통경로로 자리한다는 사실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이에 본고는 문학 매체로서의 디지털과 웹 환경이 서사의 외적 형식을 변화시키는 데에만 그치지 않고,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서사를 둘러싼 상호작용 전반에 개입할 여지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고는 디지털 매체와 웹 환경의 자질들이 웹툰 <정년이>의 서사와 조응하는 국면을 분석하는 비평적 작업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정년이>에 나타난 웹툰 특유의 수직적 시각 동선이 서사 공간의 분할로 이어져 겹의 서사를 생성하고 시‧공간적 횡단을 이루는 국면, 쌍방향성과 비선현성에 입각한 독자의 수행적 참여가 현재진행형의 서사를 빚어내는 국면, 웹 환경에서의 의사소통 창구를 통해 독자들의 집합적 관심사와 언표가 발현되는 국면을 차례대로 확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iscusses how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media and web environments intervene in both the internal and external aspects of narrative, exerting discursive effects. To clarify this, the study uses the webtoon <Jeongnyeoni> as an exa...
This study discusses how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media and web environments intervene in both the internal and external aspects of narrative, exerting discursive effects. To clarify this, the study uses the webtoon <Jeongnyeoni> as an example.
Today, the competitiveness of the traditional publishing market is gradually weakening. As a result, digital media and web environments have become new distribution channels for literature. As literary media, digital and web environments not only alter the external forms of narratives but also intervene in the overall interaction surrounding the narrativ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how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media and web environments are manifested in the narrative of the webtoon <Jeongnyeoni>.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vertical visual movement in the webtoon leads to the division of the narrative space, resulting in the creation of two distinct narrative threads. Additio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cess of rewriting within web media fosters an active form of narrative. Finally, it was also confirmed that empathy and communication transcend both time and space.
한시로 읽는 아버지의 마음: 서거정(徐居正)의 서복경(徐福慶) 소재 한시에 드러난 아들 형상과 그 의미
고토쿠 슈스이와 러일전쟁의 시대-고토쿠의 사상 변화의 흐름을 중심으로-
일본 유교 잡지 『사문(斯文)』 부록에 실린 잡극(雜劇) 「서유기(西遊記)」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