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게리 스나이더의 '사물의 본성 ' 연구 : 생태문학적 접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8937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생태문학의 개념 규정과 스나이더의 시를 생태학적 관점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생태문학이란 용어는 그 개념이 문학사적으로 확립된 것은 아니지만, 필자는 기존의 논의들을 전반적으로 검토한 결과 생태학적 문제의식을 계기로 삼아 창작된 작품을 생태문학이라 규정하였다. 따라서 생태주의 시인들이 생태계의 파괴를 인식하고 그에 대해 생태학적 상상력을 통해 시적 대응을 하는 것은 생태계 위기에 닥친 인간들에게 반성할 수 있는 계기와 생태환경문제의 해결을 위한 유효한 사고의 틀을 제공해 줄 수 있으리라고 본다.
      이러한 생태학적 인식을 토대로 필자는 본 논문에서 미국의 현역시인인 게리 스나이더(Gary Snyder)의 가장 최근 시선(詩選)집인 『사물의 본성』(No Nature)에 수록된 시편들을 다음 세 양상으로 살펴보았다. 첫째, 현대 문명 비판에 관한 시편들이다. 둘째는 스나이더의 생태학적 감수성이 짙은 작품들을 살펴보고, 셋째로는 생태학적, 유기체적 세계관에 기초하여 자연과 인간의 교감을 형상화하여 생명공동체를 회복하는 시편들이다.
      서구문명의 밑바닥에는 인간의 탐욕과 이기심 그리고 땅에 대한 불경스러운 태도가 뿌리 깊게 자리하고 있다고 본 스나이더는 이러한 서구문화의 병폐는 그 자체로서는 치유가 어렵고 현재의 지배적 삶의 구조와 가치와 한 대안을 상생과 조화를 바탕으로 하는 북미 인디언의 생활양식과 동양의 선 불교(Zen Buddhism)와 도교에서 찾는다. 그는 자신의 시를 ꡒ생존을 위한 기술ꡓ로 언급한 사실에서 알 수 있듯이 그의 시에서는 종교적 이데올로기나 인간 중심적 세계관이 오늘의 생태위기를 가져왔다고 본다. 생태위기를 먼저 인식하고 문학적 대응을 보여준다.
      절박한 생태위기에 직면하고 있는 오늘날, 스나이더는 인간이 다른 생명들과 다르다고 보지 않고 식물들과 여러 동물들의 언어를 대신하며 우리 인간들도 그들의 소리에 귀기울일 것을 강조한다. 인간은 그들과의 관계 속에서만 존재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고 주장하며 이런 그의 사상 기저에는 모든 만물이 유기적으로 관련을 맺는다는 불교의 연기론이 깔려 있다. 스나이더의 최대 관심은 이러한 공동체 구성원의 행복을 보장하는 참다운 공동체의 형성이다. 그가 말하는 공동체는 소유의 관계가 아닌 유기적인 관계로 공동체 구성원들간의 공존공생하는 사회이며 인간도 자연의 일부분이므로 자연과 더불어 사는 것이 진정한 공동체라고 강조한다 .
      스나이더의 시는 곧 자연이며 문화이다. 여기서 자연이란 인간을 위한 인간 위주의 인간에 의해 변형된 자연이 아니라 야생 그대로의 자연을 의미하며, 문화란 인간과 문명에 대한 비판을 통해서 종족과 국가, 종교를 초월하여 인간과 문명을 비롯하여 모든 것을 수용하는 문화이다. 따라서 스나이더의 이상적 공동체의 비전은 현대인에게 생태 환경파괴와 인간성의 오염을 조장하는 죽임의 문화에 대한 대안을 제시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스나이더의 생태학적 세계관을 토대로, 현대 생태계의 위기가 종교적 이데올로기와 인간중심의 이원론적 사상에서 왔다는 전제 아래, 이를 반성하고 인간과 자연의 조화, 즉 자연의 일부로서 인간을 인식하며 더불어 살아가는 모습을 노래한 시편들을 살펴봄으로써, 이상적 공동체의 실현을 주장하는 스나이더의 시 세계를 연구하였다.
      번역하기

      본 논문에서는 생태문학의 개념 규정과 스나이더의 시를 생태학적 관점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생태문학이란 용어는 그 개념이 문학사적으로 확립된 것은 아니지만, 필자는 기존의 논의들을...

      본 논문에서는 생태문학의 개념 규정과 스나이더의 시를 생태학적 관점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생태문학이란 용어는 그 개념이 문학사적으로 확립된 것은 아니지만, 필자는 기존의 논의들을 전반적으로 검토한 결과 생태학적 문제의식을 계기로 삼아 창작된 작품을 생태문학이라 규정하였다. 따라서 생태주의 시인들이 생태계의 파괴를 인식하고 그에 대해 생태학적 상상력을 통해 시적 대응을 하는 것은 생태계 위기에 닥친 인간들에게 반성할 수 있는 계기와 생태환경문제의 해결을 위한 유효한 사고의 틀을 제공해 줄 수 있으리라고 본다.
      이러한 생태학적 인식을 토대로 필자는 본 논문에서 미국의 현역시인인 게리 스나이더(Gary Snyder)의 가장 최근 시선(詩選)집인 『사물의 본성』(No Nature)에 수록된 시편들을 다음 세 양상으로 살펴보았다. 첫째, 현대 문명 비판에 관한 시편들이다. 둘째는 스나이더의 생태학적 감수성이 짙은 작품들을 살펴보고, 셋째로는 생태학적, 유기체적 세계관에 기초하여 자연과 인간의 교감을 형상화하여 생명공동체를 회복하는 시편들이다.
      서구문명의 밑바닥에는 인간의 탐욕과 이기심 그리고 땅에 대한 불경스러운 태도가 뿌리 깊게 자리하고 있다고 본 스나이더는 이러한 서구문화의 병폐는 그 자체로서는 치유가 어렵고 현재의 지배적 삶의 구조와 가치와 한 대안을 상생과 조화를 바탕으로 하는 북미 인디언의 생활양식과 동양의 선 불교(Zen Buddhism)와 도교에서 찾는다. 그는 자신의 시를 ꡒ생존을 위한 기술ꡓ로 언급한 사실에서 알 수 있듯이 그의 시에서는 종교적 이데올로기나 인간 중심적 세계관이 오늘의 생태위기를 가져왔다고 본다. 생태위기를 먼저 인식하고 문학적 대응을 보여준다.
      절박한 생태위기에 직면하고 있는 오늘날, 스나이더는 인간이 다른 생명들과 다르다고 보지 않고 식물들과 여러 동물들의 언어를 대신하며 우리 인간들도 그들의 소리에 귀기울일 것을 강조한다. 인간은 그들과의 관계 속에서만 존재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고 주장하며 이런 그의 사상 기저에는 모든 만물이 유기적으로 관련을 맺는다는 불교의 연기론이 깔려 있다. 스나이더의 최대 관심은 이러한 공동체 구성원의 행복을 보장하는 참다운 공동체의 형성이다. 그가 말하는 공동체는 소유의 관계가 아닌 유기적인 관계로 공동체 구성원들간의 공존공생하는 사회이며 인간도 자연의 일부분이므로 자연과 더불어 사는 것이 진정한 공동체라고 강조한다 .
      스나이더의 시는 곧 자연이며 문화이다. 여기서 자연이란 인간을 위한 인간 위주의 인간에 의해 변형된 자연이 아니라 야생 그대로의 자연을 의미하며, 문화란 인간과 문명에 대한 비판을 통해서 종족과 국가, 종교를 초월하여 인간과 문명을 비롯하여 모든 것을 수용하는 문화이다. 따라서 스나이더의 이상적 공동체의 비전은 현대인에게 생태 환경파괴와 인간성의 오염을 조장하는 죽임의 문화에 대한 대안을 제시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스나이더의 생태학적 세계관을 토대로, 현대 생태계의 위기가 종교적 이데올로기와 인간중심의 이원론적 사상에서 왔다는 전제 아래, 이를 반성하고 인간과 자연의 조화, 즉 자연의 일부로서 인간을 인식하며 더불어 살아가는 모습을 노래한 시편들을 살펴봄으로써, 이상적 공동체의 실현을 주장하는 스나이더의 시 세계를 연구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서론 생태문학의 의미 6
      • Ⅱ.파괴된 생태계와 현대 문명비판 16
      • Ⅲ.스나이더의 생태학적 비전 32
      • Ⅳ.스나이더 시의 이상적 공동체 44
      • Ⅴ. 결 론 67
      • Ⅰ.서론 생태문학의 의미 6
      • Ⅱ.파괴된 생태계와 현대 문명비판 16
      • Ⅲ.스나이더의 생태학적 비전 32
      • Ⅳ.스나이더 시의 이상적 공동체 44
      • Ⅴ. 결 론 67
      • 참고문헌 70
      • 국문초록 75
      • ABSTRACT 7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