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젖소 生産形質에 대한 年齡 補正係數 開發에 관한 硏究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ge adjustment factors for production traits in dairy catt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458841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건국대학교 대학원 , 낙농학과 , 1997. 8

      • 발행연도

        1997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527.5 판사항(4)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ii, 80p. : 삽도 ; 27cm .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74-80

      • 소장기관
        • 건국대학교 상허기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1985년부터 1996까지의 젖소 비유기록, 유량과 유지방량의 경우 122,658개를, 유단백질량과 무지고형분량의 경우 51,947개를 이용하여 젖소의 생산형질에 대한 우군-년도, 산차, 분만월령, 분만월 그리고 젖소효과들을 고려한 연령보정계수를 개발하는 데 있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료의 우군 수는 2,527개이었고, 우군당 기록 수는 2개에서 1,815개까지 분포되어 있었으며, 평균 49개이었다. 이들 중 40개 이하의 기록을 가진 우군이 전체 우군의 63.2%를 차지하였다.
      2. 100개 이상의 기록을 가진 우군은 8%에 해당되나 그들이 차지하는 기록 수는 전체의 38.1%이었으며, 생산량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유량, 유지방량, 유단백질량 및 무지고형분량 모두 분만년도에 따라 생산량의 증가를 보여, multiplicative 연령보정계수를 산출한 것은 적절하였다.
      4. 산차별 305일 유량과 유지방량은 4산차에서 가장 높았으며 305일 유단백질량과 무지고형분량은 5산차에서 가장 높았으나 3, 4, 5산차 간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5. 8월에 분만한 젖소가 가장 낮은 305일 생산량을 보였으며 겨울철에 분만한 젖소가 높은 생산량을 보여, 분만월별로 구분된 보정계수의 개발이 타당하였다.
      6. 분만월령별 생산량의 변화는 월령이 높을수록 생산량이 증가하나 어느 시점 즉, 성년월령을 지나면 감소하였다.
      7. 분만월별 분만월령에 따른 BLUEs에 대한 polynomial regression의 R^(2)는 유량에 있어서 0.47 - 0.85, 유지방량에 있어서는 0.57 - 0.87이었고, 유단백질량과 무지고형분량의 경우 각각 0.42 - 0.77, 0.46 - 0.78이었으며, 하절기가 타계절보다 낮았다.
      8. 현행 보정계수로 보정된 성년형 생산량은 1, 2산에서 과다 추정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 305일 유량에 대한 현행 보정계수로 보정된 성년형 유량과 본 연구의 보정계수로 보정된 성년형 유량의 상관계수는 0.92와 0.98이었으며, 유지방량의 경우는 0.94와 0.98이었다.
      10. 기준 성년형 유량에 대한 각 월령의 평균보정유량의 편차는 현행 보정계수로 보정된 경우가 -349.11kg부터 1,335.47kg까지로 평균 342.95kg이며, 본 연구의 보정계수로 보정된 경우가 -229.30kg부터 284.16kg까지이며 평균 51.73kg으로 과대 평가된 생산량이 뚜렷이 감소되었으며, 유지방량의 경우도 같은 결과를 보였다.
      11. 특히 1산과 2산에서 기준 성년형 유량과 보정유량의 편차의 평균은 현행 보정계수로 보정된 경우가 1,032.16kg, 872.18kg이고 본 연구의 보정계수로 보정된 경우에는 -27.62kg, 91.89kg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유지방량에 있어서는 현행 보정계수의 경우 31.40kg, 23.76kg이나 본 연구의 보정계수의 경우 3.01kg, 3.47kg이었다.
      12. 현행 보정계수로 보정된 성년형 유량은 분만월에 따라 305일 유량과 같은 추세를 보였으나, 본 연구의 보정계수로 보정된 성년형 유량은 분만월별로 비슷하여 분만월별 생산량의 차이가 보정된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이는 유지방량, 유단백질량 및 무지고형분량에 있어서도 같은 추세를 보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1985년부터 1996까지의 젖소 비유기록, 유량과 유지방량의 경우 122,658개를, 유단백질량과 무지고형분량의 경우 51,947개를 이용하여 젖소의 생산형질에 대한 우군-년도, 산차, ...

      본 연구의 목적은 1985년부터 1996까지의 젖소 비유기록, 유량과 유지방량의 경우 122,658개를, 유단백질량과 무지고형분량의 경우 51,947개를 이용하여 젖소의 생산형질에 대한 우군-년도, 산차, 분만월령, 분만월 그리고 젖소효과들을 고려한 연령보정계수를 개발하는 데 있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료의 우군 수는 2,527개이었고, 우군당 기록 수는 2개에서 1,815개까지 분포되어 있었으며, 평균 49개이었다. 이들 중 40개 이하의 기록을 가진 우군이 전체 우군의 63.2%를 차지하였다.
      2. 100개 이상의 기록을 가진 우군은 8%에 해당되나 그들이 차지하는 기록 수는 전체의 38.1%이었으며, 생산량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유량, 유지방량, 유단백질량 및 무지고형분량 모두 분만년도에 따라 생산량의 증가를 보여, multiplicative 연령보정계수를 산출한 것은 적절하였다.
      4. 산차별 305일 유량과 유지방량은 4산차에서 가장 높았으며 305일 유단백질량과 무지고형분량은 5산차에서 가장 높았으나 3, 4, 5산차 간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5. 8월에 분만한 젖소가 가장 낮은 305일 생산량을 보였으며 겨울철에 분만한 젖소가 높은 생산량을 보여, 분만월별로 구분된 보정계수의 개발이 타당하였다.
      6. 분만월령별 생산량의 변화는 월령이 높을수록 생산량이 증가하나 어느 시점 즉, 성년월령을 지나면 감소하였다.
      7. 분만월별 분만월령에 따른 BLUEs에 대한 polynomial regression의 R^(2)는 유량에 있어서 0.47 - 0.85, 유지방량에 있어서는 0.57 - 0.87이었고, 유단백질량과 무지고형분량의 경우 각각 0.42 - 0.77, 0.46 - 0.78이었으며, 하절기가 타계절보다 낮았다.
      8. 현행 보정계수로 보정된 성년형 생산량은 1, 2산에서 과다 추정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 305일 유량에 대한 현행 보정계수로 보정된 성년형 유량과 본 연구의 보정계수로 보정된 성년형 유량의 상관계수는 0.92와 0.98이었으며, 유지방량의 경우는 0.94와 0.98이었다.
      10. 기준 성년형 유량에 대한 각 월령의 평균보정유량의 편차는 현행 보정계수로 보정된 경우가 -349.11kg부터 1,335.47kg까지로 평균 342.95kg이며, 본 연구의 보정계수로 보정된 경우가 -229.30kg부터 284.16kg까지이며 평균 51.73kg으로 과대 평가된 생산량이 뚜렷이 감소되었으며, 유지방량의 경우도 같은 결과를 보였다.
      11. 특히 1산과 2산에서 기준 성년형 유량과 보정유량의 편차의 평균은 현행 보정계수로 보정된 경우가 1,032.16kg, 872.18kg이고 본 연구의 보정계수로 보정된 경우에는 -27.62kg, 91.89kg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유지방량에 있어서는 현행 보정계수의 경우 31.40kg, 23.76kg이나 본 연구의 보정계수의 경우 3.01kg, 3.47kg이었다.
      12. 현행 보정계수로 보정된 성년형 유량은 분만월에 따라 305일 유량과 같은 추세를 보였으나, 본 연구의 보정계수로 보정된 성년형 유량은 분만월별로 비슷하여 분만월별 생산량의 차이가 보정된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이는 유지방량, 유단백질량 및 무지고형분량에 있어서도 같은 추세를 보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ge adjustment factors, considering herd-year, parity, age at calving , month of calving and cow effects for production traits in dairy cattle, using 122,658 lactation records for milk and fat yield, and 51,947 lactation records for protein and SNF yield of dairy cows from 1985 to 1996.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otal number of herds were 2,527 and number of records per herd were from 2 to 1,815, averaging 49, and the herds having less than 40 records accounted for 63.2% of total herds.
      2. Herds having more than 100 records were only 8% but number of records from these herds reached 38.1%. Productivity of these herds was also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s.
      3. Development of multiplicative age adjustment factors was valid, because productivity for all production traits (milk, fat, protein and SNF yields) was increaed by advancing calving year in this study.
      4. 305-day milk and fat yield were highest in 4th parity and 305-day protein and SNF yield were highest in 5th parity, though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3rd to 5th parity for all production traits.
      5. Developing age adjustment factors classified by calendar month of calving was appropriate, because cows calved in August showed lowest productivity and cows calved in winter season had higher production in 305-day yield.
      6. Productivity was increased according to age at calving, but it was decreased after mature age at calving.
      7. The values of R^(2) for polynomial regression on BLUEs of ,age at calving by month of calving were from 0.47 to 0.85 for milk, from 0.57 to 0.87 for fat, and being from 0.42 to 0.77, from 0.46 to 0.78 for protein and SNF, respectively and the values in summer season were lower than those of other seasons.
      8. Mature equivalent yields adjusted by the current factors were overestimated in 1st and 2nd parity.
      9.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305-day milk yield and mature equivalent milk yields adjusted by the current factors and new factors developed in this study were 0.92 and 0.98, respectively, and those for fat yield were 0.94 and 0.98, respectively.
      10. Average deviations of mature equivalent milk yields adjusted by current factors from base mature milk yield by age at calving were ranged from -349.11kg to 1,335.47kg (average 342.95kg), whereas those by new factors in this study were from -229.30kg to 284.16kg (average 51.73kg). Therefore, overestimated yield was decreased considerably, and this result was the same for fat yield.
      11. In particular, deviations of adjusted milk yield from base mature milk yield in the 1st and 2nd parity were 1,032.16kg and 872.18kg by current factors, but these were -27.62kg and 91.89kg by new factors. Deviations for fat yield were 31.40kg and 23.76kg by current factors, but those were 3.01kg and 3.47kg by new factors.
      12. The trends of adjusted milk yields by current factors were similar to 305-day milk yields according to calendar month of calving, whereas those by new factors were approximately the same for each calendar month of calving. Therefore, differences in yield by month of calving seemed to be adjusted, and this result was same for fat, protein and SNF yield.
      번역하기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ge adjustment factors, considering herd-year, parity, age at calving , month of calving and cow effects for production traits in dairy cattle, using 122,658 lactation records for milk and fat yield, and 51,9...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ge adjustment factors, considering herd-year, parity, age at calving , month of calving and cow effects for production traits in dairy cattle, using 122,658 lactation records for milk and fat yield, and 51,947 lactation records for protein and SNF yield of dairy cows from 1985 to 1996.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otal number of herds were 2,527 and number of records per herd were from 2 to 1,815, averaging 49, and the herds having less than 40 records accounted for 63.2% of total herds.
      2. Herds having more than 100 records were only 8% but number of records from these herds reached 38.1%. Productivity of these herds was also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s.
      3. Development of multiplicative age adjustment factors was valid, because productivity for all production traits (milk, fat, protein and SNF yields) was increaed by advancing calving year in this study.
      4. 305-day milk and fat yield were highest in 4th parity and 305-day protein and SNF yield were highest in 5th parity, though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3rd to 5th parity for all production traits.
      5. Developing age adjustment factors classified by calendar month of calving was appropriate, because cows calved in August showed lowest productivity and cows calved in winter season had higher production in 305-day yield.
      6. Productivity was increased according to age at calving, but it was decreased after mature age at calving.
      7. The values of R^(2) for polynomial regression on BLUEs of ,age at calving by month of calving were from 0.47 to 0.85 for milk, from 0.57 to 0.87 for fat, and being from 0.42 to 0.77, from 0.46 to 0.78 for protein and SNF, respectively and the values in summer season were lower than those of other seasons.
      8. Mature equivalent yields adjusted by the current factors were overestimated in 1st and 2nd parity.
      9.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305-day milk yield and mature equivalent milk yields adjusted by the current factors and new factors developed in this study were 0.92 and 0.98, respectively, and those for fat yield were 0.94 and 0.98, respectively.
      10. Average deviations of mature equivalent milk yields adjusted by current factors from base mature milk yield by age at calving were ranged from -349.11kg to 1,335.47kg (average 342.95kg), whereas those by new factors in this study were from -229.30kg to 284.16kg (average 51.73kg). Therefore, overestimated yield was decreased considerably, and this result was the same for fat yield.
      11. In particular, deviations of adjusted milk yield from base mature milk yield in the 1st and 2nd parity were 1,032.16kg and 872.18kg by current factors, but these were -27.62kg and 91.89kg by new factors. Deviations for fat yield were 31.40kg and 23.76kg by current factors, but those were 3.01kg and 3.47kg by new factors.
      12. The trends of adjusted milk yields by current factors were similar to 305-day milk yields according to calendar month of calving, whereas those by new factors were approximately the same for each calendar month of calving. Therefore, differences in yield by month of calving seemed to be adjusted, and this result was same for fat, protein and SNF yiel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 List of tables = ⅱ
      • List of figures = ⅴ
      • Abstract = ⅵ
      • Ⅰ. 서론 = 1
      • 목차 = ⅰ
      • List of tables = ⅱ
      • List of figures = ⅴ
      • Abstract = ⅵ
      • Ⅰ. 서론 = 1
      • Ⅱ. 재료 및 방법 = 5
      • 1. 공시재료 = 5
      • 2. 분석방법 = 5
      • 1) BLUE(Best Linear Unbiased Estimates)의 추정 = 5
      • 2) BLUE의 Smooth화 = 6
      • 3) 연령보정계수의 산출 = 7
      • Ⅲ. 결과 및 고찰 = 8
      • 1. 우군의 분포와 생산량 = 15
      • 2. 분만년도와 생산량의 추세 = 19
      • 3. 산차와 분만월에 따른 생산량의 추세 = 22
      • 4. 성년형의 정의와 BLUE의 smooth화 = 30
      • 5. 분만월-월령별 보정계수의 산출 = 38
      • 6. 연령보정계수의 정확도 = 42
      • Ⅳ. 적요 = 54
      • Ⅴ. 부록 (연령보정계수) = 57
      • Ⅵ. 참고문헌 = 7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