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김태준의 시조관과 시조 연구 = Kim, Taejoon"s view and works on Sijo - with a focus on the "Joseongayogaeseol(the Introduction to the Korean traditional Songs)" and "Cheongguyeongeon(the Collections of Korean Sij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182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김태준의 계급주의적 관점에 압도되어 제대로 조명되지 못한 김태준의 시조관과 시조 연구의 의의에 대해 살펴보려 한다. 김태준은 1933년부터『조선일보』지면에 연재된 ‘...

      이 연구에서는 김태준의 계급주의적 관점에 압도되어 제대로 조명되지 못한 김태준의 시조관과 시조 연구의 의의에 대해 살펴보려 한다. 김태준은 1933년부터『조선일보』지면에 연재된 ‘조선가요개설’에서 총 22회에 걸쳐 시조론을 전개하는 한편, 같은 시기 시조의 기원과 연혁에 대한 별도의 저작을 통해 시조에 대한 관심을 지속하였다. 시조를 사적으로 체계화하고, 정리하려는 김태준의 의도는 시조를 포함한 시가에 대한 전체적 조망을 끝낸 1939년 교감·편찬한 김태준 본 『청구영언』으로 정점을 찍었다. 이 연구에서는 시조를 사적으로 체계화한 ‘조선가요개설’과 청구영언을 중심으로 김태준의 시조관을 조명하고 그의 연구의 의미를 동 시대 시조 연구의 경향과 견주어 밝히려 한다. 김태준은 별곡 - 시조로 이어지는 시조의 연원과 가요사적 맥락을 살피면서도 이를 실증과 사회사적 기반을 중시하는 과학적 태도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그는 시경(詩經)이나 악부(樂府)와 같은 동양 가요의 전통과 당대 사회사를 종횡으로 엮어가면서, 시조의 본질을 드러내려 하였다. 그의 이러한 입장은 1920년대부터 지속되어 주류를 형성해 온 ‘민족문학, 근대적 시문학으로서의 시조’라는 입장과는 명백하게 다른 노선을 취하고 있었다. 말하자면 시조에 대한 그의 입장은 시조를 ‘朝鮮心’이라는 추상적 실체로 혹은 ‘국민’과 ‘민족’의 이름으로 신화화한 동시대 주류적 연구와는 다른 탈신화화의 한 방향이었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ill reflect on how Kim, Tae-Jun noted scholar of Korean literature who was an active comrad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t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saw the tradition of the local three-stanza poems (Sijo) and what it means in the ...

      This study will reflect on how Kim, Tae-Jun noted scholar of Korean literature who was an active comrad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t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saw the tradition of the local three-stanza poems (Sijo) and what it means in the study of this literary form. Kim Tae-Jun published his arguments in a 22-time serial piece titled Introduction to the "Traditional Songs of Joseon" in the Chosun Ilbo, while continuing his infatuation with these traditional songs through separate works on its origins and history. His attempts to compile and organize the Sijo culminated with his 1939 version of the 18th century volume Chung-gu-young-un, in which he offers a comprehensive account of poetry including the Sijo. This study shall seek to shed light on his views centering on the two above-mentioned materials, and on the significance of his work in comparison to the academic trends of his contemporaries. Kim Tae-Jun looked at the origins of the Sijo and its place in the timeline of Korean lyrics, but also kept an objective attitude emphasizing substantiation and the social background of the times. In this process, Kim Tae-Jun weaves the traditions of oriental verses such as the “Sigyung(Chinese Book of Odes from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and the societies they were born out of; seeking to arrive at the essence of the Sijo. Such an approach is a marked departure from the mainstream logics since the 1920s that sees Sijo in nationalistic and modern terms. In a sense, he was dispelling the myth that was the creation of the then mainstream academia to conjure up an abstract image of Sijo being the ‘ethos of Chosun’ with terms like ‘nation’ and ‘ethnic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는 말
      • Ⅱ. 김태준의 시가관과 ‘가요’로서의 시가
      • Ⅲ. 김태준의 시조관
      • Ⅳ. 나오는 말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는 말
      • Ⅱ. 김태준의 시가관과 ‘가요’로서의 시가
      • Ⅲ. 김태준의 시조관
      • Ⅳ. 나오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金台俊, "청구영언" 學藝社 1939

      2 "조선일보 아카이브"

      3 나정순, "조선왕조실록을 통해 본 ‘시가’와 ‘가요’의 문제" 한국시가학회 (22) : 171-206, 2007

      4 조윤제, "조선시가사강" 동광당서점 1937

      5 최남선, "육당 최남선전집" 역락 2003

      6 임경화, "식민지하의 <조선시가사>의 형성 -조윤제 『조선시가사강』을 통해 본 식민지 스티그마의 재해석-" 글로벌일본연구원 (3) : 7-30, 2004

      7 서철원, "시조사의 편성 과정과 최남선의 시가 인식" 민족문학사학회 (49) : 40-65, 2012

      8 김승우, "김태준의 詩歌史 인식과 高麗歌詞" 민족문화연구원 (57) : 349-388, 2012

      9 김용직, "김태준 평전 - 지성과 역사적 상황" 일지사 4-625, 2007

      10 김태준, "교주 조선가요집성" 다운샘 2007

      1 金台俊, "청구영언" 學藝社 1939

      2 "조선일보 아카이브"

      3 나정순, "조선왕조실록을 통해 본 ‘시가’와 ‘가요’의 문제" 한국시가학회 (22) : 171-206, 2007

      4 조윤제, "조선시가사강" 동광당서점 1937

      5 최남선, "육당 최남선전집" 역락 2003

      6 임경화, "식민지하의 <조선시가사>의 형성 -조윤제 『조선시가사강』을 통해 본 식민지 스티그마의 재해석-" 글로벌일본연구원 (3) : 7-30, 2004

      7 서철원, "시조사의 편성 과정과 최남선의 시가 인식" 민족문학사학회 (49) : 40-65, 2012

      8 김승우, "김태준의 詩歌史 인식과 高麗歌詞" 민족문화연구원 (57) : 349-388, 2012

      9 김용직, "김태준 평전 - 지성과 역사적 상황" 일지사 4-625, 2007

      10 김태준, "교주 조선가요집성" 다운샘 2007

      11 박애경, "가요 개념의 근대화, 식민화, 혼종화" 한국구비문학회 (34) : 155-184, 2012

      12 이광수, "金台俊氏의 <朝鮮歌謠集成>"

      13 박희병, "天台山人의 국문학연구 (하) - 그 경로와 방법" 민족문학사연구소 4 : 166-218, 1993

      14 박희병, "天台山人의 국문학연구 (상) - 그 경로와 방법" 민족문학사연구소 3 : 248-283, 1993

      15 최영년, "古今歌謠의 沿革" (1) : 1917

      16 "『청구영언』延專謄寫本"

      17 "『청구영언』大學本"

      18 "『김태준전집 민요·시가』1" 보고사 1992

      19 배은희, "1930년대 시조담론 고찰 -안확과 조윤제의 시가(詩歌)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시조학회 (38) : 49-75, 2013

      20 배은희, "1920년대 시조론 형성과정 고찰" 한국시조학회 (32) : 63-92,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5 0.55 1.045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