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김영삼 정권의 등장배경과 주요 정치 세력의 역학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999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93년에 등장한 김영삼정권은 1961년 5ㆍ16군사쿠데타 이후 30여년만에 들어선 민선민간정부였다. 이 논문의 목적은 김영삼정권시기 주요 정치적-지역적 세력의 권력역학의 성격을 규명하고...

      1993년에 등장한 김영삼정권은 1961년 5ㆍ16군사쿠데타 이후 30여년만에 들어선 민선민간정부였다. 이 논문의 목적은 김영삼정권시기 주요 정치적-지역적 세력의 권력역학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김정권 탄생의 정치적 기반은 노태우정권 하에서 이루어진 3당 합당이었다. 김영삼은 비록 소수파로 합당에 참여하였지만, 당내 권력 투쟁에서 승리하여 대통령 후보로 지명되었고, 정치적 경쟁자인 김대중과 협력하여 대선에서 2자 경쟁구도를 구축하였다. 김영삼은 호남고립화전략과 김종필의 충청지역표의 지원으로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대통령 취임 후 김영삼은 상호 갈등적이고 모순적인 정치적-정책적 목표를 추구하였다. 김영삼은 군사정권 시기 실력자들의 지원과 경상도민의 지지를 필요로 하는 한편, 군사 정권의 유산을 제거하고 지역적 대립을 완화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김영삼의 개혁정치는 김영삼 지지세력 내부의 분열과 군사정권의 지역적 기반이었던 대구경북지역의 김영삼에 대한 지지를 감소시키는 결과만을 낳았다. 지지세력이 축소됨에 따라 김영삼은 소규모의 부산ㆍ경남출신세력에게 더욱 의존하였고, 정책은 자의적이고 인기영합적으로 변하였다. 통치철학의 부재와 정책의 일관성 부족으로 김영삼은 시행착오를 반복하였고, 아들인 김현철의 국정 개입과 부패스캔달은 정권의 정당성마저 상실시켰고, 결국 IMF라는 국가파탄상태를 초래하고 말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Kim Young Sam regime was a revived civilian-led administration, the first to follow thirty two years of the military rule.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clarify the character of the power dynamics of major political groups during the Kim regime. ...

      The Kim Young Sam regime was a revived civilian-led administration, the first to follow thirty two years of the military rule.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clarify the character of the power dynamics of major political groups during the Kim regime.
      The political basis for the emergence of this regime came from Kim's participation in a three party merger during the former president Roh's military rule. Though only a leader in the minor group of the three party coalition, Mr. Kim succeeded in seizing the power of the entire party, and won the presidential nomination in the 1992 election. He also collaborated with his major political rival, Kim Dae Jung, ensuring that there would be only two major candidates to run. He won the election through regional votes, i.e, overwhelming support from the Kyongsang provinces, and with the help of Kim long Pil's Chungchung votes.
      Mr. Kim pursued two conflicting objectives. One was to maintain political support from the previous military establishments and his home town Kyongsang population. The other was to obtain legitimacy to liquidate the wrongs of military authoritarianism, and reduce the territorial antagonism. His reform measures, however, brought about an intensification of conflict within the ruling bloc between the pro-Kim forces and the clique which had grown out of past regimes, and reduced his popularity from the former military leader's home town, in Kyongbuk province.
      Faced with strong opposition, Kim relied more on his cadre of supporters to carry out his policies. Key public offices and Kim's own team of advisors were dominated by loyalists from the Pusan-Kyongnam area. And Kim's reform measures became more arbitrary and politically motivated. Mr. Kim preferred personal procedures to formal ones in deciding the major policy issues, and intervened extensively in the reform process. Soon his leadership was blamed for the creation of a civilian-led dictatorship.
      The Kim regime's image became one of meandering without a firm guiding principle, the result of which was a reactive posture of trial and error. As graft scandals rose in waves around his son, the so-called small president, his regime became a lame duck precipitate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3당합당과 김영삼의 집권과정
      • 3. 탈군사화과정과 주요 정치세력의 재편성과정
      • 4. 결론
      • 〈국문초록〉
      • 1. 서론
      • 2. 3당합당과 김영삼의 집권과정
      • 3. 탈군사화과정과 주요 정치세력의 재편성과정
      • 4. 결론
      • 참고 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현대한국정치의 새로운 인식" 박영사 2001

      2 "현대 한국정치의 쟁점" 을유문화사 2000

      3 견학필, "한국현대정치론" 신지서원 1998

      4 "한국정치리더쉽의 특성" 한울 2003

      5 강윤택, "한국정치Ⅰ:김영삼정부시기의 정당정치의 특징과 개혁의 한계" 한국정치학회 1 : 1997

      6 강문구, "한국의 민주적 공고화와 개혁의 한계 : 김영삼 정부의 개혁정책을 중심으로" 21세기정치학회 12 (12): 2002

      7 "한국의 개혁과 민주주의" 나남 2000

      8 "한국민주주의의 이론과 실제" 한길사 1993

      9 "한국민주주의 공고화와 사회적 갈등구조의 통합,한국의 자유민주주의" 도서출판 인간사랑 1999

      10 "한국 대통령학 대권 시나리오" 이유 2002

      1 "현대한국정치의 새로운 인식" 박영사 2001

      2 "현대 한국정치의 쟁점" 을유문화사 2000

      3 견학필, "한국현대정치론" 신지서원 1998

      4 "한국정치리더쉽의 특성" 한울 2003

      5 강윤택, "한국정치Ⅰ:김영삼정부시기의 정당정치의 특징과 개혁의 한계" 한국정치학회 1 : 1997

      6 강문구, "한국의 민주적 공고화와 개혁의 한계 : 김영삼 정부의 개혁정책을 중심으로" 21세기정치학회 12 (12): 2002

      7 "한국의 개혁과 민주주의" 나남 2000

      8 "한국민주주의의 이론과 실제" 한길사 1993

      9 "한국민주주의 공고화와 사회적 갈등구조의 통합,한국의 자유민주주의" 도서출판 인간사랑 1999

      10 "한국 대통령학 대권 시나리오" 이유 2002

      11 "포스트 양김시대의 정치" 개마고원 2002

      12 "타도 김영삼 해체 한총련?" 통권 133호 : 1997.3

      13 "체제전환의 정의와 동아시아 인권" (겨울호) : 1996년

      14 "제5분과:개혁정치의 명암:김영삼정치의 딜렘마," 한국정치학회 1997

      15 "정치관계법과 YS개혁의 조직적 저항세력" 제93집 (제93집): 사회평론

      16 김광식, "이회창은 김영삼대통령의 최종선택인가?" (겨울호) : 1996년

      17 김구현, "머리를 잘못 빌린 대통령" 온누리 1995

      18 "대한민국 50년사 2:유신정부에서 국민의 정부 탄생까지" 들녘 1998

      19 "대통령 비서실장론" 나남출판 2002

      20 "나도 심심한데 대통령이나 되볼까?" 사람과 사람 2001

      21 강준만, "김영삼이데올로기" 개마고원 1995

      22 "김영삼권력의 탄생" 도서출판 공간 1993

      23 "경쟁과 공존의 역사" 의암출판 1992

      24 "YS의 44가지 잘못" 비전21 1996

      25 "YS 대권전쟁" 범조사 1993

      26 "3김을 넘어서" 푸른숲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1-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TUDIES INSTITUTE -> Center for Korean Studies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1-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71 1.169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