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스마트폰 보상경험이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폰 사용신념의 매개효과와 정적정서 및 부적정서의 차별적 조절효과 = The effect of smartphone reinforcement experience on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 the mediating effect of belief about smartphone use and differential moderating effect of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6592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스마트폰 보상경험이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스마트폰 보상경험이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마트폰 사용신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스마트폰 사용신념이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적정서 및 부적정서 각각이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서 서울 및 경기도 소재의 대학(원)생 425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각 변인을 측정하기 위해 스마트폰 보상경험척도, 스마트폰 사용신념척도, 스마트폰 중독경향성 척도(S-척도), 정적정서 및 부적정서 척도(PANAS)를 사용하였다. 연구에서 사용된 스마트폰 보상경험 척도는 기존의 “인터넷 보상경험 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보상경험, 스마트폰 사용신념, 스마트폰 중독경향성, 부적정서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정적정서는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만 유의하지만 약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스마트폰 보상경험은 스마트폰 사용신념을 매개로 하여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에 직·간접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스마트폰 보상경험과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스마트폰 사용신념은 정적정서와만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즉, 스마트폰 사용신념은 스마트폰 보상경험과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 동시에, 정적정서와 상호작용하여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와 한계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스마트폰 보상경험이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스마트폰 보상경험이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마트폰 사용신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본 연구는 스마트폰 보상경험이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스마트폰 보상경험이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마트폰 사용신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스마트폰 사용신념이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적정서 및 부적정서 각각이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서 서울 및 경기도 소재의 대학(원)생 425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각 변인을 측정하기 위해 스마트폰 보상경험척도, 스마트폰 사용신념척도, 스마트폰 중독경향성 척도(S-척도), 정적정서 및 부적정서 척도(PANAS)를 사용하였다. 연구에서 사용된 스마트폰 보상경험 척도는 기존의 “인터넷 보상경험 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보상경험, 스마트폰 사용신념, 스마트폰 중독경향성, 부적정서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정적정서는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만 유의하지만 약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스마트폰 보상경험은 스마트폰 사용신념을 매개로 하여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에 직·간접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스마트폰 보상경험과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스마트폰 사용신념은 정적정서와만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즉, 스마트폰 사용신념은 스마트폰 보상경험과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 동시에, 정적정서와 상호작용하여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와 한계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martphone reinforcement experience on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and whether belief about smartphone use mediates the relation between smartphone reinforcement experience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In addition to this mediated model, the study examine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rough belief about smartphone us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reinforcement experience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425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asked to complete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about Smartphone Reinforcement Experience Scale, Belief about Smartphone Use, Korean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Adult, and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ale. Smartphone Reinforcement Experience Scale in the present study were adapted by the existed Reinforcement Experience of Internet Use Scale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martphone reinforcement experience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each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belief about smartphone use, and negative affect. Positive affec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Second, belief about smartphone use played the role of medi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reinforcement experience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Third, only positive affect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belief about smartphone use on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In other words, belief about smartphone use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smartphone reinforcement experience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simultaneously, belief about smartphone use has significant effect on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with positive affect.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martphone reinforcement experience on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and whether belief about smartphone use mediates the relation between smartphone reinforcement experience and smartphone addi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martphone reinforcement experience on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and whether belief about smartphone use mediates the relation between smartphone reinforcement experience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In addition to this mediated model, the study examine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rough belief about smartphone us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reinforcement experience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425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asked to complete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about Smartphone Reinforcement Experience Scale, Belief about Smartphone Use, Korean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Adult, and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ale. Smartphone Reinforcement Experience Scale in the present study were adapted by the existed Reinforcement Experience of Internet Use Scale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martphone reinforcement experience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each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belief about smartphone use, and negative affect. Positive affec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Second, belief about smartphone use played the role of medi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reinforcement experience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Third, only positive affect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belief about smartphone use on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In other words, belief about smartphone use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smartphone reinforcement experience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simultaneously, belief about smartphone use has significant effect on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with positive affect.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martphone reinforcement experience on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and whether belief about smartphone use mediates the relation between smartphone reinforcement experience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In addition to this mediated model, the study examine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rough belief about smartphone us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reinforcement experience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425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asked to complete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about Smartphone Reinforcement Experience Scale, Belief about Smartphone Use, Korean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Adult, and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ale. Smartphone Reinforcement Experience Scale in the present study were adapted by the existed Reinforcement Experience of Internet Use Scale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martphone reinforcement experience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each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belief about smartphone use, and negative affect. Positive affec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Second, belief about smartphone use played the role of medi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reinforcement experience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Third, only positive affect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belief about smartphone use on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In other words, belief about smartphone use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smartphone reinforcement experience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simultaneously, belief about smartphone use has significant effect on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with positive affect.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martphone reinforcement experience on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and whether belief about smartphone use mediates the relation between smartphone reinforcement experience and smartphone addi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martphone reinforcement experience on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and whether belief about smartphone use mediates the relation between smartphone reinforcement experience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In addition to this mediated model, the study examine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rough belief about smartphone us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reinforcement experience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425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asked to complete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about Smartphone Reinforcement Experience Scale, Belief about Smartphone Use, Korean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Adult, and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ale. Smartphone Reinforcement Experience Scale in the present study were adapted by the existed Reinforcement Experience of Internet Use Scale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martphone reinforcement experience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each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belief about smartphone use, and negative affect. Positive affec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Second, belief about smartphone use played the role of medi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reinforcement experience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Third, only positive affect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belief about smartphone use on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In other words, belief about smartphone use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smartphone reinforcement experience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simultaneously, belief about smartphone use has significant effect on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with positive affect.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스마트폰 보상경험이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스마트폰 보상경험이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마트폰 사용신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스마트폰 사용신념이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적정서 및 부적정서 각각이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서 서울 및 경기도 소재의 대학(원)생 425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각 변인을 측정하기 위해 스마트폰 보상경험척도, 스마트폰 사용신념척도, 스마트폰 중독경향성 척도(S-척도), 정적정서 및 부적정서 척도(PANAS)를 사용하였다. 연구에서 사용된 스마트폰 보상경험 척도는 기존의 “인터넷 보상경험 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보상경험, 스마트폰 사용신념, 스마트폰 중독경향성, 부적정서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정적정서는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만 유의하지만 약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스마트폰 보상경험은 스마트폰 사용신념을 매개로 하여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에 직·간접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스마트폰 보상경험과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스마트폰 사용신념은 정적정서와만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즉, 스마트폰 사용신념은 스마트폰 보상경험과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 동시에, 정적정서와 상호작용하여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와 한계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스마트폰 보상경험이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스마트폰 보상경험이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마트폰 사용신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본 연구는 스마트폰 보상경험이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스마트폰 보상경험이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마트폰 사용신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스마트폰 사용신념이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적정서 및 부적정서 각각이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서 서울 및 경기도 소재의 대학(원)생 425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각 변인을 측정하기 위해 스마트폰 보상경험척도, 스마트폰 사용신념척도, 스마트폰 중독경향성 척도(S-척도), 정적정서 및 부적정서 척도(PANAS)를 사용하였다. 연구에서 사용된 스마트폰 보상경험 척도는 기존의 “인터넷 보상경험 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보상경험, 스마트폰 사용신념, 스마트폰 중독경향성, 부적정서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정적정서는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만 유의하지만 약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스마트폰 보상경험은 스마트폰 사용신념을 매개로 하여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에 직·간접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스마트폰 보상경험과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스마트폰 사용신념은 정적정서와만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즉, 스마트폰 사용신념은 스마트폰 보상경험과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 동시에, 정적정서와 상호작용하여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와 한계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4
      • 1) 스마트폰 중독경향성 4
      • 2) 인지-행동모델 8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4
      • 1) 스마트폰 중독경향성 4
      • 2) 인지-행동모델 8
      • 3) 스마트폰 중독의 인지-행동 모델 10
      • 4) 정적정서 및 부적정서 17
      • 3. 연구문제 및 가설 19
      • Ⅱ 방법 21
      • 1. 연구대상 21
      • 2. 측정도구 21
      • 3. 연구절차 24
      • 4. 자료분석방법 25
      • Ⅲ 결과 28
      • 1. 기초통계분석 28
      • 1) 변인간 상관분석 및 정규성 가정 검증 28
      • 2. 측정모형검증 29
      • 3. 구조모형의 검증 32
      • 1) 스마트폰 사용신념의 매개효과 검증 32
      • 2) 정적정서의 조절효과 검증 35
      • 3) 부적정서의 조절효과 검증 39
      • Ⅳ 논의 41
      • 참고문헌
      • 부록
      • 영문초록(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