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자립준비청년의 주거경험과 집의 의미에 관한 사진유도면담 연구 = Housing Experiences and the Meaning of Home Among Young Adults Aging Out of the Care System: A Photo Elicitation Interviewing Stud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2440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housing experiences and the meaning of home in the lives of young adults aging out of the care system (YAAC) through photo-elicitation interviews. The research question was, “What are the housing experiences and the meanings of home in the lives of YAAC?”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2 YAAC, aged 18-29 who had lived in residential facilities including group homes. Data collection took place from March to July 2024, with each participant receiving one orientation session and three in-depth interview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hoto-elicitation interviews and were analyzed using reflexive thematic analysis.
      First, the housing experiences of YAAC were grounded in an understanding of their tumultuous life histories. While there were some commonalities in their broader experiences due to similar backgrounds, the specific details of their experiences varied. These life stories began with experiences of broken boundaries in the original family’s home, symbolized by the "broken umbrella.” Relationships with their birth families were often painful, like old scars on the body, and unresolved, like chains with lost keys.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experiences during institutional life and after leaving the facilities were reflected in the process of home-making. The participants first experienced "alternative fences, light and shadow of institutional life.” In the facilities that replaced their original families, they made places by creating spaces they liked and formed new relationships. However, negative experiences led them to perceive their living situation as a weakness, making it hard to form attachments to the place. Near the time of leaving the facility, they experienced a "struggle to find my own home.” Each participant faced individual hurdles and the pressure of moving quickly into adulthood. Through this struggle, they experienced either a sense of their first real home or, through moving,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pieces of the living space they desired. After this process, their housing experiences were characterized as "my current home, a small but vast universe.” Each participant’s home-making involved meaningful spaces and objects and expanded through meaningful relationships with family, friends, or romantic partners. These spaces, objects, and relationships formed a small world for the participants, where their homes, though physically small, became spaces holding their vast personal universes.
      Third, for YAAC, the experience of home was the shift from psychological homelessness to a sense of having a home. This was embodied in two key meanings of home, “a secure base in a vast world” and “a space that embodies the longing for a normal life.” The past homes of the participants were not homes but shelters where they wandered like the “ugly duckling,” searching for a place to belong. In contrast, their current homes became spaces of rest, recovery, and safety, where they could show their true selves. Additionally, these homes were places where the longing for a normal life and the realization of that dream were present, as well as aspirations for future homes.
      The key discus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ed to focus on the home-making practices of YAAC and the relationships inherent in these processes. Participants showed that through place-making or home-making, unfamiliar spaces could become familiar, or conversely, even with a physical home, they might experience a lack of emotional connection to it. Experiences with important others influenced their sense of home, highlighting the need for richer social networks to promote stable home-making. The way they made homes and formed relationships were closely linked to their ability to adapt during their transition to independence, offering valuable insights into providing effective support for YAAC.
      Second, there is a need for an understanding and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emerging adulthood, particularly regarding intimate relationships for YAAC. These young people experienced pressure to quickly transition to adulthood and gain independence due to their circumstances. Therefore, support is needed to ensure they accumulate resources and form diverse social relationships during their transition, with particular attention given to intimate relationships. Many of these youth struggled with disclosing their backgrounds to romantic partners, and due to their unique histories, their family concept was not limited to biological relatives. Intimate relationship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how these young people navigated their transition to adulthood and their housing experiences.
      Third, housing experiences revealed the agency of YAAC. While previous research had largely depicted these young people as passive or vulnerable, this study found that they were active agents, making choices and decisions and creating their own homes within their circumstances. This highlights the need for a shift in perspective when designing policies and services for these youth, recognizing them as active agents with goals and visions for their lives. Support should aim to enhance their housing experiences and build their resilience.
      Fourth, housing research and support policies for YAAC should consider their unique housing experiences. These experiences were multifaceted and complex,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ir peers. For others, who have lived in stable housing provided by their parents, moving to independent living during emerging adulthood often symbolizes instability. In contrast, for YAAC, they experienc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homelessness” due to long periods of living in group settings, and only after exiting these facilities do they begin to create a home, experiencing “having a home” as a positive and meaningful space.
      Finally, appropriate support is needed, considering the disparities in housing experiences among YAAC. These disparities were evident in various aspects such as experiences in institutional housing, post-exit housing, current housing types, economic difficulties, career decisions, and work experiences. These differences could lead to feelings of relative deprivation within the group of YAAC. Therefore, careful support and management that take into account differences between institutions and individual circumstances are necessary. Additionally, to reduce these disparities,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children currently in protective care and improvements in the quality of housing environments within facilities.
      This study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home-making and the relationships inherent in the housing experiences of YAAC. It also confirmed that these youth are active and autonomous agents of their own lives. By shedding light on the meaning of home as experienced by these youth, the study provides valuable implications for policy development and future research.
      번역하기

      This study explored the housing experiences and the meaning of home in the lives of young adults aging out of the care system (YAAC) through photo-elicitation interviews. The research question was, “What are the housing experiences and the meanings ...

      This study explored the housing experiences and the meaning of home in the lives of young adults aging out of the care system (YAAC) through photo-elicitation interviews. The research question was, “What are the housing experiences and the meanings of home in the lives of YAAC?”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2 YAAC, aged 18-29 who had lived in residential facilities including group homes. Data collection took place from March to July 2024, with each participant receiving one orientation session and three in-depth interview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hoto-elicitation interviews and were analyzed using reflexive thematic analysis.
      First, the housing experiences of YAAC were grounded in an understanding of their tumultuous life histories. While there were some commonalities in their broader experiences due to similar backgrounds, the specific details of their experiences varied. These life stories began with experiences of broken boundaries in the original family’s home, symbolized by the "broken umbrella.” Relationships with their birth families were often painful, like old scars on the body, and unresolved, like chains with lost keys.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experiences during institutional life and after leaving the facilities were reflected in the process of home-making. The participants first experienced "alternative fences, light and shadow of institutional life.” In the facilities that replaced their original families, they made places by creating spaces they liked and formed new relationships. However, negative experiences led them to perceive their living situation as a weakness, making it hard to form attachments to the place. Near the time of leaving the facility, they experienced a "struggle to find my own home.” Each participant faced individual hurdles and the pressure of moving quickly into adulthood. Through this struggle, they experienced either a sense of their first real home or, through moving,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pieces of the living space they desired. After this process, their housing experiences were characterized as "my current home, a small but vast universe.” Each participant’s home-making involved meaningful spaces and objects and expanded through meaningful relationships with family, friends, or romantic partners. These spaces, objects, and relationships formed a small world for the participants, where their homes, though physically small, became spaces holding their vast personal universes.
      Third, for YAAC, the experience of home was the shift from psychological homelessness to a sense of having a home. This was embodied in two key meanings of home, “a secure base in a vast world” and “a space that embodies the longing for a normal life.” The past homes of the participants were not homes but shelters where they wandered like the “ugly duckling,” searching for a place to belong. In contrast, their current homes became spaces of rest, recovery, and safety, where they could show their true selves. Additionally, these homes were places where the longing for a normal life and the realization of that dream were present, as well as aspirations for future homes.
      The key discus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ed to focus on the home-making practices of YAAC and the relationships inherent in these processes. Participants showed that through place-making or home-making, unfamiliar spaces could become familiar, or conversely, even with a physical home, they might experience a lack of emotional connection to it. Experiences with important others influenced their sense of home, highlighting the need for richer social networks to promote stable home-making. The way they made homes and formed relationships were closely linked to their ability to adapt during their transition to independence, offering valuable insights into providing effective support for YAAC.
      Second, there is a need for an understanding and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emerging adulthood, particularly regarding intimate relationships for YAAC. These young people experienced pressure to quickly transition to adulthood and gain independence due to their circumstances. Therefore, support is needed to ensure they accumulate resources and form diverse social relationships during their transition, with particular attention given to intimate relationships. Many of these youth struggled with disclosing their backgrounds to romantic partners, and due to their unique histories, their family concept was not limited to biological relatives. Intimate relationship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how these young people navigated their transition to adulthood and their housing experiences.
      Third, housing experiences revealed the agency of YAAC. While previous research had largely depicted these young people as passive or vulnerable, this study found that they were active agents, making choices and decisions and creating their own homes within their circumstances. This highlights the need for a shift in perspective when designing policies and services for these youth, recognizing them as active agents with goals and visions for their lives. Support should aim to enhance their housing experiences and build their resilience.
      Fourth, housing research and support policies for YAAC should consider their unique housing experiences. These experiences were multifaceted and complex,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ir peers. For others, who have lived in stable housing provided by their parents, moving to independent living during emerging adulthood often symbolizes instability. In contrast, for YAAC, they experienc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homelessness” due to long periods of living in group settings, and only after exiting these facilities do they begin to create a home, experiencing “having a home” as a positive and meaningful space.
      Finally, appropriate support is needed, considering the disparities in housing experiences among YAAC. These disparities were evident in various aspects such as experiences in institutional housing, post-exit housing, current housing types, economic difficulties, career decisions, and work experiences. These differences could lead to feelings of relative deprivation within the group of YAAC. Therefore, careful support and management that take into account differences between institutions and individual circumstances are necessary. Additionally, to reduce these disparities,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children currently in protective care and improvements in the quality of housing environments within facilities.
      This study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home-making and the relationships inherent in the housing experiences of YAAC. It also confirmed that these youth are active and autonomous agents of their own lives. By shedding light on the meaning of home as experienced by these youth, the study provides valuable implications for policy development and future researc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자립준비청년의 주거경험과 집의 의미를 사진유도면담을 통해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질문은 ‘자립준비청년의 주거경험은 어떠하며 집의 의미는 무엇인가?’였다. 연구참여자는 만 18-29세의 자립준비청년으로 생활시설(보호체계 유형상 양육시설, 공동생활가정)을 퇴소한 자립준비청년 총 12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24년 3-7월에 이루어졌으며, 개인별로 오리엔테이션 1회와 심층면담 3회를 실시하였다. 사진유도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성찰적 주제분석법(reflexive thematic analysis)으로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도출된 6개의 대주제는 ‘망가진 우산, 원가족의 집’, ‘대체 울타리, 시설 생활의 빛과 그림자’, ‘내 집을 찾기 위한 분투’, ‘현재의 집, 작지만 커다란 나의 우주’, ‘집, 거대한 세계 속 안전기지’, ‘보통의 삶에 대한 갈망이 함축된 공간’이었다. 대주제를 축으로 주요 연구결과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립준비청년의 주거경험은 이들의 파란만장한 생애의 일부였다. 연구참여자들의 생애 경험은 큰 틀에서 유사한 환경으로 인한 동질성이 있었으나 세부적인 체험 내용은 이질적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생애사의 시작은 ‘망가진 우산, 원가족의 집’에서의 깨어진 울타리의 경험이었다. 연구참여자들의 원가족과의 관계는 몸에 새겨진 오래된 흉터처럼 아픔이 있는 관계, 열쇠를 찾지 못한 족쇄처럼 아직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한 관계였다.
      둘째, 자립준비청년의 주거경험 특성은 집 만들기(home-making)의 여정을 통해 나타났다. 먼저, 연구참여자들은 ‘대체 울타리, 시설 생활의 빛과 그림자’를 경험했다. 원가족을 대신해 자신을 받아준 시설에서 좋아하는 공간으로 장소 만들기(place-making)를 하고 새로운 관계를 경험하기도 했지만, 시설에서의 부정적 경험들을 통해 내가 사는 곳을 약점으로 인식하게 되고, 장소에 대한 애착을 갖지 않거나 내 공간을 관리하지 않는 집 안 만들기(home-unmaking)를 하기도 했다. 다음으로, 퇴소 무렵에는 ‘내 집을 찾기 위한 분투’를 해야 했다. 주거독립을 위해 저마다 넘어야 하는 허들이 있었고, 다양한 가능성과 정체성을 탐색하는 성인진입기(emerging adulthood) 시기임에도 자립에 대한 부담으로 인해 스스로 성인기 이행을 재촉하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진정한 의미의 첫 번째 집을 경험하거나, 주거이동으로 원하는 공간의 조각들을 맞추기도 했다. 이러한 경험은 ‘현재의 집, 작지만 커다란 나의 우주’를 만드는 것으로 이어졌다. 연구참여자의 집 만들기는 의미 있는 공간과 사물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가족과 연인 등 의미 있는 관계를 통해 확장되었다. 공간과 사물, 관계는 연구참여자의 작은 세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집은 물리적으로는 작지만 저마다의 커다란 우주를 담은 공간이었다.
      셋째, 자립준비청년에게 집은 심리정서적 ‘집 없음’에서 벗어나 ‘집 있음’을 경험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집의 의미는 구체적으로 ‘거대한 세계 속 안전기지’, ‘보통의 삶에 대한 갈망이 함축된 공간’으로 나타났다. 연구참여자들에게 과거의 집은 마치 미운 오리처럼 있을 곳을 찾아 떠돌아야 했던, 물리적 거주지(shelter)일 뿐 집(home)은 아니었던 곳이지만 이제는 쉼과 회복의 충전소이자 내 본연의 모습을 드러낼 수 있는 안전기지와 같았다. 또한 집은 과거의 독특한 주거경험에서 비롯된 보통의 삶과 평범한 집에 대한 갈망을 담은 곳이자, 그러한 갈망을 실현하는 곳, 나아가 미래의 내 집에 대한 꿈과 소망을 담은 곳이었다.
      연구 결과에 기반한 논의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립준비청년의 집 만들기와 이에 내재된 관계성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연구참여자들은 장소 만들기 또는 집 만들기를 통해 낯선 공간이 친숙한 공간이 되거나, 반대로 물리적 집은 있으나 심리적 집 없음을 체험하기도 했다. 이와 같은 집 (안)만들기 실천은 중요한 타인과의 긍정적 또는 부정적 관계 경험과 관련이 있었고, 이는 안정적인 집 만들기를 촉진할 수 있는 보다 풍부한 사회적 네트워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둘째, 자립준비청년의 성인진입기 특성, 특히 친밀한 관계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필요하다. 자립준비청년은 가족의 지원을 받는 일반 청년들과 달리 성인진입기라는 새로운 발달단계를 여유롭게 탐색할 수 없고, 자립에 대한 부담 및 성인기로의 빠른 전환에 대한 압박을 경험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들이 성인진입기를 보내면서 다음 단계에 필요한 자원을 충분히 축적하고 다양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친밀한 관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자립준비청년은 연인에게 자신의 배경을 오픈하는 것에 대한 관계 부담이 컸고, 성장과정으로 인해 가족의 범위를 혈연가족에 국한시키지 않는 특성이 있었다.
      셋째, 주거경험을 통해 자립준비청년의 행위자성(agency)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동안 자립준비청년에 관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수행되었지만 행위자성에 주목한 연구는 드물었다. 자립준비청년을 취약하고 수동적인 존재로 그려온 기존 시각과 달리,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주어진 환경에서 능동적으로 선택하고 결정하며 자신의 집을 만들어가는 주체적 행위자였다. 이는 자립준비청년을 위한 제도 및 서비스 마련에 있어 인식과 관점의 변화의 필요성을 의미한다. 즉, 자립준비청년을 자신의 삶에 대한 목표와 구체적인 그림을 가지고 살아가는 행위자로 존중하며, 이들의 주거경험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그리고 이와 연결해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키는 방향의 제도 및 서비스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넷째, 자립준비청년의 주거 연구 및 지원 정책에 있어 이들의 독특한 주거경험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하다. 자립준비청년에게 있어 집이란 처음부터 그 자리에 있는 익숙한 장소와 개념이 아니다. 이들의 주거경험은 생활세계 속 다차원적이며 복합적인 집의 특성을 담고 있는 동시에, 또래 청년들의 주거경험과는 확연히 달랐다. 부모가 마련한 집에서 안정적인 주거생활을 하다가 성인진입기에 주거독립을 시작하는 일반 청년들에게 독립적 주거는 불안정의 상징인 경우가 많다. 반면, 자립준비청년의 경우 긴 시간을 단체생활에 가까운 주거경험 속에 심리정서적 ‘집 없음’을 경험했다가, 퇴소 후에야 집 만들기를 통해 ‘집 있음’을 경험하게 되는, 긍정적 의미의 특별한 공간이었다.
      다섯째, 자립준비청년 간 주거경험의 격차를 고려한 적절한 지원이 필요하다. 개인차와 이질적 경험은 시설 주거경험, 퇴소 후의 주거경험, 현재의 주거유형, 경제적 어려움 정도, 진로 결정 및 일 경험 등 다양한 측면에서 나타났다. 이는 자립준비청년 집단 내에서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게 하는 요인이었다. 따라서 시설 간의 차이나 개인의 상황을 고려한 세심한 지원과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현재 보호체계 내에 있는 보호아동에 대한 관심과 시설 주거환경의 질적인 부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자립준비청년의 주거경험을 통해 이들의 집 만들기 특성과 이에 내재된 관계성에 주목하였다. 또한 자립준비청년이 능동적이며 주체적인 자기 생의 행위자임을 확인하였고, 이들이 경험하는 집의 의미를 밝힘으로써 정책 마련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유용한 함의를 제공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자립준비청년의 주거경험과 집의 의미를 사진유도면담을 통해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질문은 ‘자립준비청년의 주거경험은 어떠하며 집의 의미는 무엇인가?’였...

      본 연구는 자립준비청년의 주거경험과 집의 의미를 사진유도면담을 통해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질문은 ‘자립준비청년의 주거경험은 어떠하며 집의 의미는 무엇인가?’였다. 연구참여자는 만 18-29세의 자립준비청년으로 생활시설(보호체계 유형상 양육시설, 공동생활가정)을 퇴소한 자립준비청년 총 12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24년 3-7월에 이루어졌으며, 개인별로 오리엔테이션 1회와 심층면담 3회를 실시하였다. 사진유도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성찰적 주제분석법(reflexive thematic analysis)으로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도출된 6개의 대주제는 ‘망가진 우산, 원가족의 집’, ‘대체 울타리, 시설 생활의 빛과 그림자’, ‘내 집을 찾기 위한 분투’, ‘현재의 집, 작지만 커다란 나의 우주’, ‘집, 거대한 세계 속 안전기지’, ‘보통의 삶에 대한 갈망이 함축된 공간’이었다. 대주제를 축으로 주요 연구결과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립준비청년의 주거경험은 이들의 파란만장한 생애의 일부였다. 연구참여자들의 생애 경험은 큰 틀에서 유사한 환경으로 인한 동질성이 있었으나 세부적인 체험 내용은 이질적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생애사의 시작은 ‘망가진 우산, 원가족의 집’에서의 깨어진 울타리의 경험이었다. 연구참여자들의 원가족과의 관계는 몸에 새겨진 오래된 흉터처럼 아픔이 있는 관계, 열쇠를 찾지 못한 족쇄처럼 아직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한 관계였다.
      둘째, 자립준비청년의 주거경험 특성은 집 만들기(home-making)의 여정을 통해 나타났다. 먼저, 연구참여자들은 ‘대체 울타리, 시설 생활의 빛과 그림자’를 경험했다. 원가족을 대신해 자신을 받아준 시설에서 좋아하는 공간으로 장소 만들기(place-making)를 하고 새로운 관계를 경험하기도 했지만, 시설에서의 부정적 경험들을 통해 내가 사는 곳을 약점으로 인식하게 되고, 장소에 대한 애착을 갖지 않거나 내 공간을 관리하지 않는 집 안 만들기(home-unmaking)를 하기도 했다. 다음으로, 퇴소 무렵에는 ‘내 집을 찾기 위한 분투’를 해야 했다. 주거독립을 위해 저마다 넘어야 하는 허들이 있었고, 다양한 가능성과 정체성을 탐색하는 성인진입기(emerging adulthood) 시기임에도 자립에 대한 부담으로 인해 스스로 성인기 이행을 재촉하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진정한 의미의 첫 번째 집을 경험하거나, 주거이동으로 원하는 공간의 조각들을 맞추기도 했다. 이러한 경험은 ‘현재의 집, 작지만 커다란 나의 우주’를 만드는 것으로 이어졌다. 연구참여자의 집 만들기는 의미 있는 공간과 사물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가족과 연인 등 의미 있는 관계를 통해 확장되었다. 공간과 사물, 관계는 연구참여자의 작은 세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집은 물리적으로는 작지만 저마다의 커다란 우주를 담은 공간이었다.
      셋째, 자립준비청년에게 집은 심리정서적 ‘집 없음’에서 벗어나 ‘집 있음’을 경험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집의 의미는 구체적으로 ‘거대한 세계 속 안전기지’, ‘보통의 삶에 대한 갈망이 함축된 공간’으로 나타났다. 연구참여자들에게 과거의 집은 마치 미운 오리처럼 있을 곳을 찾아 떠돌아야 했던, 물리적 거주지(shelter)일 뿐 집(home)은 아니었던 곳이지만 이제는 쉼과 회복의 충전소이자 내 본연의 모습을 드러낼 수 있는 안전기지와 같았다. 또한 집은 과거의 독특한 주거경험에서 비롯된 보통의 삶과 평범한 집에 대한 갈망을 담은 곳이자, 그러한 갈망을 실현하는 곳, 나아가 미래의 내 집에 대한 꿈과 소망을 담은 곳이었다.
      연구 결과에 기반한 논의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립준비청년의 집 만들기와 이에 내재된 관계성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연구참여자들은 장소 만들기 또는 집 만들기를 통해 낯선 공간이 친숙한 공간이 되거나, 반대로 물리적 집은 있으나 심리적 집 없음을 체험하기도 했다. 이와 같은 집 (안)만들기 실천은 중요한 타인과의 긍정적 또는 부정적 관계 경험과 관련이 있었고, 이는 안정적인 집 만들기를 촉진할 수 있는 보다 풍부한 사회적 네트워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둘째, 자립준비청년의 성인진입기 특성, 특히 친밀한 관계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필요하다. 자립준비청년은 가족의 지원을 받는 일반 청년들과 달리 성인진입기라는 새로운 발달단계를 여유롭게 탐색할 수 없고, 자립에 대한 부담 및 성인기로의 빠른 전환에 대한 압박을 경험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들이 성인진입기를 보내면서 다음 단계에 필요한 자원을 충분히 축적하고 다양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친밀한 관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자립준비청년은 연인에게 자신의 배경을 오픈하는 것에 대한 관계 부담이 컸고, 성장과정으로 인해 가족의 범위를 혈연가족에 국한시키지 않는 특성이 있었다.
      셋째, 주거경험을 통해 자립준비청년의 행위자성(agency)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동안 자립준비청년에 관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수행되었지만 행위자성에 주목한 연구는 드물었다. 자립준비청년을 취약하고 수동적인 존재로 그려온 기존 시각과 달리,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주어진 환경에서 능동적으로 선택하고 결정하며 자신의 집을 만들어가는 주체적 행위자였다. 이는 자립준비청년을 위한 제도 및 서비스 마련에 있어 인식과 관점의 변화의 필요성을 의미한다. 즉, 자립준비청년을 자신의 삶에 대한 목표와 구체적인 그림을 가지고 살아가는 행위자로 존중하며, 이들의 주거경험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그리고 이와 연결해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키는 방향의 제도 및 서비스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넷째, 자립준비청년의 주거 연구 및 지원 정책에 있어 이들의 독특한 주거경험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하다. 자립준비청년에게 있어 집이란 처음부터 그 자리에 있는 익숙한 장소와 개념이 아니다. 이들의 주거경험은 생활세계 속 다차원적이며 복합적인 집의 특성을 담고 있는 동시에, 또래 청년들의 주거경험과는 확연히 달랐다. 부모가 마련한 집에서 안정적인 주거생활을 하다가 성인진입기에 주거독립을 시작하는 일반 청년들에게 독립적 주거는 불안정의 상징인 경우가 많다. 반면, 자립준비청년의 경우 긴 시간을 단체생활에 가까운 주거경험 속에 심리정서적 ‘집 없음’을 경험했다가, 퇴소 후에야 집 만들기를 통해 ‘집 있음’을 경험하게 되는, 긍정적 의미의 특별한 공간이었다.
      다섯째, 자립준비청년 간 주거경험의 격차를 고려한 적절한 지원이 필요하다. 개인차와 이질적 경험은 시설 주거경험, 퇴소 후의 주거경험, 현재의 주거유형, 경제적 어려움 정도, 진로 결정 및 일 경험 등 다양한 측면에서 나타났다. 이는 자립준비청년 집단 내에서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게 하는 요인이었다. 따라서 시설 간의 차이나 개인의 상황을 고려한 세심한 지원과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현재 보호체계 내에 있는 보호아동에 대한 관심과 시설 주거환경의 질적인 부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자립준비청년의 주거경험을 통해 이들의 집 만들기 특성과 이에 내재된 관계성에 주목하였다. 또한 자립준비청년이 능동적이며 주체적인 자기 생의 행위자임을 확인하였고, 이들이 경험하는 집의 의미를 밝힘으로써 정책 마련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유용한 함의를 제공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Ⅰ. 서론 1
      • Ⅱ. 연구의 배경 6
      • Ⅲ. 연구방법 37
      • Ⅳ. 파란만장 생애의 시작 53
      • 목 차
      • Ⅰ. 서론 1
      • Ⅱ. 연구의 배경 6
      • Ⅲ. 연구방법 37
      • Ⅳ. 파란만장 생애의 시작 53
      • Ⅴ. 자립준비청년의 집 만들기 여정 81
      • Ⅵ. ‘집 없음’에서 ‘집 있음’으로 125
      • Ⅶ. 결론 및 논의 143
      • 참고문헌 16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