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사와 학생과 연구자 사이에서: 석사과정 파견 과학교사들의 연수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Between teacher, student, and researcher: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dispatched science teachers’ experience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during master cour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486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석사과정 파견교사 중 과학교사의 경험을 그들의 입장에서 현상학적으로 연구함으로써 기존의 연구에서 드러나지 않았던 석사과정 파견과학교사들의 경험과 그 경험이 가지는 교육학적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석사과정 파견교사로서 과학교사들의 경험은 그들 자신에게 어떠한 것인가?’라는 의문에 초점을 맞추었고, 이 의문에 답하기 위하여 중부권과 서남권의 국립대학에 개설되어 있는 파견연수 과정을 경험한 7명의 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현상학적 접근 방법을 시도하였다. 현상학적 연구방법 중 Van Manen(1990)의 분석틀을 원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21개의 드러난 주제로부터 5개의 본질적 주제를 추출하였다. 교사와 학생, 그리고 연구자로 생활하는 석사과정 파견교사들의 경험들은 ‘전문성계발 욕구의 기회’, ‘교사와 학생의 정체성 혼재’, ‘연구자의 정체성 형성’, ‘교사로서 자신감’, ‘덤으로 얻은 선물과 애로점’으로 나타났다. 파견연수 경험을 통해 향상된 교사의 자신감과 교사전문성으로 교육현장에서 교사로, 연구자로서의 생활하거나 연수과정에 있는 파견 과학교사들의 경험들은 교사연수 프로그램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파견교사들에 대한 경험적 이해가 교사연수에 제공하는 함의를 교사의 질 향상과 교사연수에 대한 정책적 측면에서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에서는 석사과정 파견교사 중 과학교사의 경험을 그들의 입장에서 현상학적으로 연구함으로써 기존의 연구에서 드러나지 않았던 석사과정 파견과학교사들의 경험과 그 경험이 가지...

      이 연구에서는 석사과정 파견교사 중 과학교사의 경험을 그들의 입장에서 현상학적으로 연구함으로써 기존의 연구에서 드러나지 않았던 석사과정 파견과학교사들의 경험과 그 경험이 가지는 교육학적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석사과정 파견교사로서 과학교사들의 경험은 그들 자신에게 어떠한 것인가?’라는 의문에 초점을 맞추었고, 이 의문에 답하기 위하여 중부권과 서남권의 국립대학에 개설되어 있는 파견연수 과정을 경험한 7명의 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현상학적 접근 방법을 시도하였다. 현상학적 연구방법 중 Van Manen(1990)의 분석틀을 원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21개의 드러난 주제로부터 5개의 본질적 주제를 추출하였다. 교사와 학생, 그리고 연구자로 생활하는 석사과정 파견교사들의 경험들은 ‘전문성계발 욕구의 기회’, ‘교사와 학생의 정체성 혼재’, ‘연구자의 정체성 형성’, ‘교사로서 자신감’, ‘덤으로 얻은 선물과 애로점’으로 나타났다. 파견연수 경험을 통해 향상된 교사의 자신감과 교사전문성으로 교육현장에서 교사로, 연구자로서의 생활하거나 연수과정에 있는 파견 과학교사들의 경험들은 교사연수 프로그램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파견교사들에 대한 경험적 이해가 교사연수에 제공하는 함의를 교사의 질 향상과 교사연수에 대한 정책적 측면에서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aimed to explore the meaning of dispatched science teachers’ experience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during master course. Four teachers who experienced ‘dispatched professional development course’of the university located in southern a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with all participants. Field notes, recording under the participants’ agreements. The data interpreted to using Van-Menen(1990)’s phenomenological analysis framework. Result of study revealed that participants are experiencing the following 5 essential themes: ‘Professional development needs and opportunities’, ‘Identity confusion between the teacher and student’, ‘Forming identity as a researcher’, ‘Confidence as a teacher’, ‘Gift and sorrow, which is obtained as a bonus’. More precisely this study found following 21 identified themes. The meaning of dispatched science teachers’ experience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during master course found in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new science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번역하기

      In this study, we aimed to explore the meaning of dispatched science teachers’ experience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during master course. Four teachers who experienced ‘dispatched professional development course’of the university located in s...

      In this study, we aimed to explore the meaning of dispatched science teachers’ experience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during master course. Four teachers who experienced ‘dispatched professional development course’of the university located in southern a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with all participants. Field notes, recording under the participants’ agreements. The data interpreted to using Van-Menen(1990)’s phenomenological analysis framework. Result of study revealed that participants are experiencing the following 5 essential themes: ‘Professional development needs and opportunities’, ‘Identity confusion between the teacher and student’, ‘Forming identity as a researcher’, ‘Confidence as a teacher’, ‘Gift and sorrow, which is obtained as a bonus’. More precisely this study found following 21 identified themes. The meaning of dispatched science teachers’ experience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during master course found in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new science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인선, "핵물리 연구 참여 경험이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 탐구과정의 본성에 대한 인식과 진로탐색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 29 (29): 541-551, 2009

      2 정민희, "초등 교사들의 사회과 관련 PLC 참여경험의 의미" 교육연구원 30 (30): 1-19, 2014

      3 강순민, "첨단 과학 실험장비 활용 및 연수에 대한 과학고 과학교사와 예비교사들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 28 (28): 880-889, 2008

      4 이종기, "첨단 과학 기술 지향 과학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 및 평가의 BT, BIT, NBT를 중심으로 -" 한국생물교육학회 35 (35): 425-451, 2007

      5 이근무, "자살자 가족들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사례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2 (62): 109-134, 2010

      6 백인영, "연구 참여 경험을 통한 과학 교사의 전문성 발달 과정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 31 (31): 663-679, 2011

      7 김경은, "사회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대학-학교간 협력 프로그램 개발 : C교육대학교와 S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45-69, 2010

      8 이지원, "동료 교수법 기반의 과학교사 연수를 위한 단계형 개념검사문항 개발 -바늘구멍 사진기의 원리 학습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33 (33): 229-248, 2013

      9 안세근, "교원연구년제 도입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8 (8): 25-45, 2009

      10 전제상,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따른 교원연수지원 요구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7 (27): 369-394, 2010

      1 이인선, "핵물리 연구 참여 경험이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 탐구과정의 본성에 대한 인식과 진로탐색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 29 (29): 541-551, 2009

      2 정민희, "초등 교사들의 사회과 관련 PLC 참여경험의 의미" 교육연구원 30 (30): 1-19, 2014

      3 강순민, "첨단 과학 실험장비 활용 및 연수에 대한 과학고 과학교사와 예비교사들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 28 (28): 880-889, 2008

      4 이종기, "첨단 과학 기술 지향 과학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 및 평가의 BT, BIT, NBT를 중심으로 -" 한국생물교육학회 35 (35): 425-451, 2007

      5 이근무, "자살자 가족들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사례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2 (62): 109-134, 2010

      6 백인영, "연구 참여 경험을 통한 과학 교사의 전문성 발달 과정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 31 (31): 663-679, 2011

      7 김경은, "사회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대학-학교간 협력 프로그램 개발 : C교육대학교와 S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45-69, 2010

      8 이지원, "동료 교수법 기반의 과학교사 연수를 위한 단계형 개념검사문항 개발 -바늘구멍 사진기의 원리 학습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33 (33): 229-248, 2013

      9 안세근, "교원연구년제 도입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8 (8): 25-45, 2009

      10 전제상,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따른 교원연수지원 요구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7 (27): 369-394, 2010

      11 부희영, "교사 학습연구년제 요구 분석 및 발전 방향 탐색"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123-148, 2012

      12 김효정, "과학교사들의 교사모임에의 참여 경험과 교사 정체성 형성과정에 대한 탐색 -실천공동체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33 (33): 390-404, 2013

      13 하민수, "과학교사들의 2009 개정 교육과정 융합형 ‘과학’ 수용에 관한 인과 모델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34 (34): 235-246, 2014

      14 심재호, "과학교사 전문성과 실험 연수에 대한 중등 과학 교사의 인식" 한국생물교육학회 34 (34): 27-37, 2006

      15 Putnam, R. T., "What do new views of knowledge and thinking have to say about research on teacher learning?" 4-15, 2000

      16 Van Manen, M.,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Human science for an action sensitive pedagog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0

      17 UNESCO., "Recommendation concerning the Status of Teacher" 29-39, 1966

      18 Morse, J. M.,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health professionals" Sage 1995

      19 Omery, A., "Phenomenology : A method for nursing research" 5 (5): 49-63, 1983

      20 Boyd, C. O., "Phenomenological research in nursing : commentary and response" 2 (2): 16-19, 1989

      21 Miliband, D., "Personalized learning: Building a new relationship with school" 2004

      22 Parse, R. R., "Nursing research: Qualitative methods" Brady Communication 1985

      23 Lim, C. H., "Nature and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teaching" 24 (24): 235-249, 2003

      24 Lincoln, Y. S., "Naturalistic inquiry" Sage Publication 1989

      25 Fullan, M., "Leadership Substantiality" Corwin Press 2004

      26 Kim, J. K., "Improvement ways for in-service training of science teachers" 11 (11): 97-115, 1991

      27 Rogers, E. M., "Diffusion of innovation" Ree Press 1995

      28 Hansen, J. B., "Comparison of trained and untrained teachers of gifted students" 38 (38): 115-121, 1994

      29 Weiss, I. R., "A study of K-12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Horizon Research 2003

      30 Cohen, M. Z., "A historical overview of the phenomenological movement" 19 (19): 31-34, 198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6-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3 1.544 0.5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