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동시는 압축된 언어와 절제된 형식으로 정서적으로 메말라가는 아동들에게 무한한 상상력과 동경의 세계를 키워주는 등 정서함양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으나, 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0751506
구미 :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학위논문(석사) --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2006. 8
2006
한국어
375.3 판사항(4)
372.13 판사항(21)
경상북도
viii, 54p. : 삽도 ; 26cm
참고문헌: p. 49-5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동시는 압축된 언어와 절제된 형식으로 정서적으로 메말라가는 아동들에게 무한한 상상력과 동경의 세계를 키워주는 등 정서함양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으나, 여...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동시는 압축된 언어와 절제된 형식으로 정서적으로 메말라가는 아동들에게 무한한 상상력과 동경의 세계를 키워주는 등 정서함양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으나, 여러 가지 요인으로 재미없고 어려운 영역으로 인식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동시감상은 심미적 체험 및 내면화 등 개인의 주관적인 요소와 많은 관련이 있기에 개인의 강점 지능 및 개인적인 요소를 강조하고 있는 다중 지능 이론과 동시감상 학습의 접목은 효율적인 동시감상교육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동시감상 학습에 있어서 다중지능에 기초한 동시감상 수업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2. 연구의 내용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실험반 학생들의 동시감상 능력 실태분석은 문헌연구를 통해 첫째, 다중지능이론과 동시감상,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실험처치 전 동시감상 실태(지식. 기능, 태도, 만족도)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실험처치 후 감상기능 영역과 감상태도 영역의 만족도를 통해 다중지능에 기초한 동시감상 수업의 효과를 조사·분석하였다.
3. 연구의 방법 및 절차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는 표준화 검사지인 문용인의 다중지능 검사지와 관련한 문헌연구 및 선행연구 자료를 근거로 하여 지도교수의 지도·조언을 받아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한 동시감상 실태 설문지(적용 전, 적용 후)를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실험반 30명과 비교반 27명을 자료를 SPSS를 통해 빈도, 백분율, 표준편차 등과 같은 기본적이고 기술적인 통계를 산출하였고, 각 연구문제에 따라 차이검정, 분산분석 및 개인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4. 연구의 결과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실험반 학생들의 동시감상 능력 실태 분석 결과
첫째, 실험반 학생의 동시감상 능력이 태도, 감상만족도 영역에서는 높았지만 다중지능, 본질 파악 및 내용 이해, 작품의 미적 구조, 좋아하는 시, 개별활동 적극성, 주제 살리기, 인상 깊은 구절, 배경음악 효과, 암송시, 감상학습 태도, 분위기, 시화꾸미기, 느낌 표현, 참여 태도, 경험과 관련, 발표력 준비도, 모둠활동 협동성, 배경이해, 시어 의미 이해 영역에서는 평균이 낮게 나타났다.
또한 성별에 따른 동시감상 검증 결과 주제 살리기 영역과 배경음악 효과 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시화 꾸미기영역에서는 1%, 분위기, 개별 활동 적극성, 발표력 준비도 영역에서는 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다중지능 영역 사전 검사 결과 실험반은 음악지능과 대인지능, 개인지능이 비교반은 언어지능, 공간적 지능, 운동적 지능, 논리 지능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여덟 가지 영역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셋째, 성별에 따른 동시감상 효과를 분석하여 보면, 실험 전 남학생과 여학생의 동시감상 학습 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여학생이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t값이 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실험 후 성별에 따른 동시감상 효과를 살펴보면, 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으며 여학생이 3.48의 증가를 보였다
넷째, 실험반 동시학습 효과 비교하여 보면, 실험반의 실험전 평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실험 후 학습효과를 살펴보면, 실험전의 학습에서와 마찬가지로 실험전의 차이보다 여학생이 훨씬 높게 나타났으며 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다섯째, 비교반의 동시학습 효과를 분석하여 보면, 비교반의 실험 전 남학생의 평균을 살펴보면 23.67로 여학생 26.18보다 2.51의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5%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섯째, 전체 학생의 동시학습 효과 결과를 살펴보면, 실험전 학습에 있어서 실험반은 24.77, 비교반은 24.73으로 실험반이 0.04% 높게 나타났고 실험 후 학습에 있어서는 실험반은 28.60, 비교반은 26.85로 실험반이 1.75높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남학생의 동시학습 효과를 비교하면 동시학습 전 실험반의 평균은 23.79에서 26.86으로, 비교반은 23.67에서 25.87로 나타나 실험반은 3.07, 비교반은 2.10의 상승을 나타내었고 여학생은 실험반이 25.63에서 30.13으로, 비교반이 26.18로 0.55 더 높은 28.18로 나타나 실험반이 4.50, 비교반이 2.00의 향상을 보였다.
5.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감상학습에 있어서 지식면을 살펴보면, 전통적인 모형을 적용한 비교반에 비해 다중지능 이론을 활용한 동시감상활동을 적용한 방법이 감상학습의 지식면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상기능을 살펴보면, 주제파악 하기를 포함한 동시의 본질 파악 및 내용 이해도가 높아졌으며 작품이 미적구조를 잘 파악하였고 더불어 다중지능 또한 향상되었다.
셋째, 감상학습의 태도면을 살펴보면, 비교반에 비해 다중지능 이론을 활용한 실험반 학생들은 동시감상학습의 중요성 및 동시 접촉빈도, 동시 쓰기 빈도, 시 관련 행사 참여도, 동시감상학습의 참여도, 동시감상수업에 대한 흥미도, 동시감상단원의 호감도, 동시감상 후 감동 정도, 동시감상활동에 대한 자신감등이 향상되어 동시감상활동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바뀌었다.
넷째, 수업만족도를 살펴보면, 다중지능 이론을 적용한 동시감상활동을 한 실험반에서는 동시감상 수업에 대해 호감과 흥미도가 높아져서 동시감상 학습력 또한 상승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의 다중지능 이론을 활용한 동시감상 실태(지식, 기능, 태도) 분석 결과, 실험처치 후 일부 영역에서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왔으며 동시감상의 지식면과 기능면이 향상되었으며 나아가 동시학습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