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자립 노숙인의 자립 성공 경험과 그 과정을 영성적 사회복지 실천의 관점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H 대학교와 수원시 다시서기 센터가 공동 주최한 ‘어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자립 노숙인의 자립 성공 경험과 그 과정을 영성적 사회복지 실천의 관점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H 대학교와 수원시 다시서기 센터가 공동 주최한 ‘어깨...
본 연구는 자립 노숙인의 자립 성공 경험과 그 과정을 영성적 사회복지 실천의 관점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H 대학교와 수원시 다시서기 센터가 공동 주최한 ‘어깨동무 인문학 과정’을 수료한 후, 자립에 성공한 10명의 노숙인들의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 내용은 노숙인의 자립 성공 경험의 본질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이며, 연구 방법은 질적 연구 방법 가운데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30개의 중심 의미와 9개의 구성 요소를 통해 ‘소명 의식을 갖고 자립에 헌신’, ‘인간애를 바탕으로 상호 인격적 관계 쌓기’, ‘자립에 내재된 장벽’, ‘이타적 가치 보존하기’의 4가지 본질적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노숙인의 자립 지원의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and processes of the successful independence of the homeless from the perspective of spiritual social work practice.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and processes of the successful independence of the homeless from the perspective of spiritual social work practice.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en homeless people who succeeded in becoming independent after completing the “Shoulder to Shoulder Humanities Course” co-hosted by H University in Gyeonggi-do and the Suwon Stand-up Again Center. The main goal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ssence of the homeless people’s successful independence experience. Giorgi’s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one of the qualitative methods, was used. The analysis results derived four essential themes from 30 central meanings and 9 components: “commitment to independence with a sense of calling,” “build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ased on humanity,” “barriers inherent in independence,” and “preserving altruistic values”. Based on these themes, this study affirms the value of programs that support the independence of the homeless.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정희, "한국 노숙인 발생 원인에 관한 연구" 16 (16): 113-131, 2010
2 도승자, "통합적-영성적 사회복지실천의 필요성" 1 : 21-56, 2013
3 강성영 ; 이상철, "코로나19 시대의 타자의 윤리 ― 본회퍼와 레비나스를 중심으로 살펴본 혐오 극복의 윤리학" 신학사상연구소 (194) : 127-160, 2021
4 진형섭, "초기 한국 개신교 영성 전통을 토대로 한 한국기독교장로회의 영성 갱신 연구" 신학사상연구소 (195) : 145-183, 2021
5 김미령, "쪽방거주자의 스트레스원과 극복자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8) : 126-151, 2008
6 이현아, "영성과 종교성을 포괄하는 사회복지 실천" 1 : 183-206, 2003
7 조윤옥, "쉼터노숙인의 자활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사회복지정책대학원 2013
8 유기영, "서울시 노숙인 정책 진단과 발전방안" 서울연구원 2021
9 김소영, "생애과정에 걸친 노숙 위험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성장기 불행한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8 (48): 143-171, 2017
10 최별 ; 이성규, "사회적 지지와 노숙인의 자활의지 간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7 (47): 119-146, 2019
1 강정희, "한국 노숙인 발생 원인에 관한 연구" 16 (16): 113-131, 2010
2 도승자, "통합적-영성적 사회복지실천의 필요성" 1 : 21-56, 2013
3 강성영 ; 이상철, "코로나19 시대의 타자의 윤리 ― 본회퍼와 레비나스를 중심으로 살펴본 혐오 극복의 윤리학" 신학사상연구소 (194) : 127-160, 2021
4 진형섭, "초기 한국 개신교 영성 전통을 토대로 한 한국기독교장로회의 영성 갱신 연구" 신학사상연구소 (195) : 145-183, 2021
5 김미령, "쪽방거주자의 스트레스원과 극복자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8) : 126-151, 2008
6 이현아, "영성과 종교성을 포괄하는 사회복지 실천" 1 : 183-206, 2003
7 조윤옥, "쉼터노숙인의 자활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사회복지정책대학원 2013
8 유기영, "서울시 노숙인 정책 진단과 발전방안" 서울연구원 2021
9 김소영, "생애과정에 걸친 노숙 위험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성장기 불행한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8 (48): 143-171, 2017
10 최별 ; 이성규, "사회적 지지와 노숙인의 자활의지 간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7 (47): 119-146, 2019
11 천효숙, "사회복지사의 영성적 사회복지실천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18
12 김경미, "사회복지사의 영성(Spiritualty)교육프로그램 참여 후 변화 경험 연구: 임상사목교육(CPE)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6 (16): 537-549, 2016
13 유영준, "사회복지 조직에서의 영성의 필요성" 3 : 52-67, 2013
14 조정형 ; 최은수, "비서의 직업공동체 활동을 통한 학습경험의 의미: (사)한국비서협회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비서학회 24 (24): 123-147, 2015
15 김정근, "부산시 노숙인 등의 생활실태·서비스 수요 분석 및 지원 방안 연구" 부산복지개발원 2022
16 김경전, "노숙인의 자활사업 경험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17
17 김용훈 ; 이경숙 ; 차혜명, "노숙인의 심리사회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 39 (39): 667-698, 2020
18 임덕영, "노숙인・쪽방주민에 대한 코로나19의 영향 및 정책 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
19 한영란 ; 윤희상 ; 최애숙, "노숙인 쉼터 거주 노인의 우울 관련 요인" 한국보건간호학회 25 (25): 289-301, 2011
20 정용택, "금융화 시대의 민중신학에 관한 시론적 연구 ― 안병무의 ‘가능성’(Möglichkeit) 개념을 중심으로" 신학사상연구소 (199) : 237-271, 2022
21 진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수급이 노숙인의 주거안정에 미치는 영향 : 부산광역시 노숙인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22 Pluck, G., "Time perspective, depression, and substance misuse among the homeless" 142 (142): 159-168, 2008
23 van Manen, M.,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Hunman Service for an Action Sensitive Pedagogy" State of New York Press 1990
24 Sermabeikian, P, "Our clients, ourselves : The spiritual perspective and social work practice" 39 (39): 178-183, 1994
25 Harter, 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26 Collins, Collins, S. B., "From homeless teen to chronically homeless adult: A qualitative study of the impact of childhood events on adult homelessness" 14 (14): 61-81, 2013
27 Wenger, E., "Communities of practice: The organizational frontier" 78 : 139-145, 2000
28 DeForge, V, "Children’s perceptions of homelessness" 27 (27): 377-383, 2001
29 보건복지부, "2023 노숙인 등의 복지사업 안내"
30 보건복지부, "2021년도 노숙인 등의 실태조사" 보건복지부 사회복지정책실 자립지원과 2022
윌리암 마틴(W.A.P. Martin)의 『천도소원』(天道溯原)에 나타난 자연신학 변증 연구
신학적 윤리 판단 형성 과정의 이해 ― ‘은둔형 외톨이’의 예를 중심으로
대학생활적응능력을 통한 기독교 대학 성서 교양 필수 과목 개발 모색 ― 다양성, 회복탄력성, 공감 능력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