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국방품질경영시스템 이행실태와 인증획득에 따른 경영성과 실증연구 = An Empirical Study on the Performance of Defense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Certification Outcomes for Military Contract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1947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내 군수분야의 품질보증제도는 미 국방성에서 적용 중이였던 MIL-Q-9858A를 근간으로 1975년에 품질경영시스템과 관련된 국방규격을 제정하면서 품질보증의 개념이 정립되기 시작한 이후 계속적인 발전을 거듭하였다.
      지난 1998년에 세계적인 품질경영 및 품질보증 추세에 맞추어 민간분야에서 확산 적용중인 ISO 9000품질경영시스템 규격을 근간으로 군수품의 특성에 적합한 국방품질경영시스템 규격을 제정하게 되었고, 1999년에 군수업체의 자체 품질보증능력 향상 유도와 정부 품질보증활동의 효율화를 위하여 국방품질경영시스템 인증 제도를 시행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0년에 전면 개정된 ISO 9000품질경영시스템 규격을 근간으로 우리나라 군수분야 실정에 맞게 2002년 개정된 KDS 0050-9000 국방품질경영시스템 규격에 의거 2004년부터 2006년까지 최초인증 및 갱신 심사업무를 수행하면서 획득된 부적합 자료를 분석하여 군수업체의 국방품질경영시스템 운영 실태를 분석하였고, 인증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인증 획득에 따른 경영성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심사부적합은 업체별 평균 7.5건이 발생되었고, 문서화 미흡사항이 14%, 문서화는 되어 있으나 실행이 미흡한 부적합이 86%를 차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직의 종·횡적 구조로 연계되어 있는 프로세스가 효과적으로 운영이 되지 않고 시스템이 붕괴된 중부적합 사항도 6%의 점유율을 보였다.
      P-D-C-A 사이클 관점에서 볼 때 계획을 실행하고, 제품과 서비스를 산출하여 고객에게 제공하는 단계인 ‘7장 제품실현’에서 부적합이 가장 많이 발생되었으며, 프로세스의 실행 결과를 점검하고 측정하여 이에 대한 조치를 실시하는 단계인 ‘8장 측정, 분석 및 개선’, 조직의 핵심프로세스를 파악하고 관리하는 계획 수립단계인 ‘4장 품질경영시스템’의 순으로 발생되었음을 분석 할 수 있었다. 국내 군수업체의 국방품질경영시스템 요건별 부적합에 대한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모니터링 및 측정’, ‘생산 및 서비스제공’, ‘문서관리’, 구매’의 순으로 부적합 점유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절차의 일부누락, 실행의 오류 및 근거 미 유지 등이 주요원인으로 판단되었다. 문서화와 실행 측면에서는 총 부적합의 14%를 문서화된 시스템이 없는 경우가 차지하였고, 품질경영시스템이 문서화되어 있으나 실행이 미비한 경우가 총 부적합의 86%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서화 부적합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난 요건은 ‘품질경영시스템’, ‘형상관리’, 시정 및 예방조치'의 순으로 분석되어 군수업체들이 국방품질경영시스템 규격요건의 실행을 위한 품질경영시스템 구축이 다소 미흡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실행 부적합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요건은 '기반구조 및 업무환경', '고객 관련 프로세스' 요건 부적합이 100% 이었으며, '생산 및 서비스 제공', '경영검토', '모니터링 및 측정', '구매', '문서관리' 요건의 순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아직까지 군수업체들이 품질경영 활동에 있어 업무환경의 구축과 고객을 위한 제품관련 요구사항의 검토, 의사소통, 품질경영시스템의 효과적인 증거제공을 위한 기록관리 등이 저조하고, 생산 및 서비스 제공과 경영성과의 지속적 검토활동도 취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군수업체의 국방품질경영시스템에 대한 지속적인 적합성 및 유효성 확인을 통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방품질경영시스템 인증을 획득함으로써 얻는 업체의 정성적 경영성과로는 척도 통계량에 의한 경우 ‘품질에 대한 의식변화’, ‘품질경영시스템의 운영’, ‘품질개선의 증가’순이며 정량적 경영성과로는 ‘연평균 불량률의 감소’, ‘품질COST의 감소’ 효과가 인증 획득 전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고 13개 경영성과 전 항목에 대해 통계량 가설검정을 한 결과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국방품질경영시스템 규격요건 항목의 경우 프로세스를 정의하는 ‘품질경영시스템’, ‘고객관련 프로세스’, ‘모니터링 및 측정의 문서화’의 순으로 개선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국내 군수업체의 국방품질경영시스템 인증획득의 확대와 운영을 위하여 제도적 개선사항으로는 유인책의 증대와 업체 자율성의 확대, 인증에 대한 국제적 위상제고를 위한 홍보와 협정, 기업규모별로 인증 등급제를 고안, ISO/TS 16949, AS 9100 등 민간 유사인증에 대해서 군수 관리에 필요한 요건을 개발 및 부가하여 분야별 인증의 추가 등이 연구되어 이의 적용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국방품질경영시스템 인증 획득이 군수업체의 품질경영시스템 구축 및 운영에 대한 저변을 확산시켜 군수품의 신뢰성 향상과 군수품의 품질경영 활동에 많은 도움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향후 국방품질경영시스템 인증 획득을 원하는 군수업체와 관련 전문가에게 활용되고, 인증제도 발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가 된다.
      번역하기

      국내 군수분야의 품질보증제도는 미 국방성에서 적용 중이였던 MIL-Q-9858A를 근간으로 1975년에 품질경영시스템과 관련된 국방규격을 제정하면서 품질보증의 개념이 정립되기 시작한 이후 계...

      국내 군수분야의 품질보증제도는 미 국방성에서 적용 중이였던 MIL-Q-9858A를 근간으로 1975년에 품질경영시스템과 관련된 국방규격을 제정하면서 품질보증의 개념이 정립되기 시작한 이후 계속적인 발전을 거듭하였다.
      지난 1998년에 세계적인 품질경영 및 품질보증 추세에 맞추어 민간분야에서 확산 적용중인 ISO 9000품질경영시스템 규격을 근간으로 군수품의 특성에 적합한 국방품질경영시스템 규격을 제정하게 되었고, 1999년에 군수업체의 자체 품질보증능력 향상 유도와 정부 품질보증활동의 효율화를 위하여 국방품질경영시스템 인증 제도를 시행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0년에 전면 개정된 ISO 9000품질경영시스템 규격을 근간으로 우리나라 군수분야 실정에 맞게 2002년 개정된 KDS 0050-9000 국방품질경영시스템 규격에 의거 2004년부터 2006년까지 최초인증 및 갱신 심사업무를 수행하면서 획득된 부적합 자료를 분석하여 군수업체의 국방품질경영시스템 운영 실태를 분석하였고, 인증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인증 획득에 따른 경영성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심사부적합은 업체별 평균 7.5건이 발생되었고, 문서화 미흡사항이 14%, 문서화는 되어 있으나 실행이 미흡한 부적합이 86%를 차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직의 종·횡적 구조로 연계되어 있는 프로세스가 효과적으로 운영이 되지 않고 시스템이 붕괴된 중부적합 사항도 6%의 점유율을 보였다.
      P-D-C-A 사이클 관점에서 볼 때 계획을 실행하고, 제품과 서비스를 산출하여 고객에게 제공하는 단계인 ‘7장 제품실현’에서 부적합이 가장 많이 발생되었으며, 프로세스의 실행 결과를 점검하고 측정하여 이에 대한 조치를 실시하는 단계인 ‘8장 측정, 분석 및 개선’, 조직의 핵심프로세스를 파악하고 관리하는 계획 수립단계인 ‘4장 품질경영시스템’의 순으로 발생되었음을 분석 할 수 있었다. 국내 군수업체의 국방품질경영시스템 요건별 부적합에 대한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모니터링 및 측정’, ‘생산 및 서비스제공’, ‘문서관리’, 구매’의 순으로 부적합 점유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절차의 일부누락, 실행의 오류 및 근거 미 유지 등이 주요원인으로 판단되었다. 문서화와 실행 측면에서는 총 부적합의 14%를 문서화된 시스템이 없는 경우가 차지하였고, 품질경영시스템이 문서화되어 있으나 실행이 미비한 경우가 총 부적합의 86%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서화 부적합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난 요건은 ‘품질경영시스템’, ‘형상관리’, 시정 및 예방조치'의 순으로 분석되어 군수업체들이 국방품질경영시스템 규격요건의 실행을 위한 품질경영시스템 구축이 다소 미흡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실행 부적합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요건은 '기반구조 및 업무환경', '고객 관련 프로세스' 요건 부적합이 100% 이었으며, '생산 및 서비스 제공', '경영검토', '모니터링 및 측정', '구매', '문서관리' 요건의 순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아직까지 군수업체들이 품질경영 활동에 있어 업무환경의 구축과 고객을 위한 제품관련 요구사항의 검토, 의사소통, 품질경영시스템의 효과적인 증거제공을 위한 기록관리 등이 저조하고, 생산 및 서비스 제공과 경영성과의 지속적 검토활동도 취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군수업체의 국방품질경영시스템에 대한 지속적인 적합성 및 유효성 확인을 통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방품질경영시스템 인증을 획득함으로써 얻는 업체의 정성적 경영성과로는 척도 통계량에 의한 경우 ‘품질에 대한 의식변화’, ‘품질경영시스템의 운영’, ‘품질개선의 증가’순이며 정량적 경영성과로는 ‘연평균 불량률의 감소’, ‘품질COST의 감소’ 효과가 인증 획득 전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고 13개 경영성과 전 항목에 대해 통계량 가설검정을 한 결과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국방품질경영시스템 규격요건 항목의 경우 프로세스를 정의하는 ‘품질경영시스템’, ‘고객관련 프로세스’, ‘모니터링 및 측정의 문서화’의 순으로 개선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국내 군수업체의 국방품질경영시스템 인증획득의 확대와 운영을 위하여 제도적 개선사항으로는 유인책의 증대와 업체 자율성의 확대, 인증에 대한 국제적 위상제고를 위한 홍보와 협정, 기업규모별로 인증 등급제를 고안, ISO/TS 16949, AS 9100 등 민간 유사인증에 대해서 군수 관리에 필요한 요건을 개발 및 부가하여 분야별 인증의 추가 등이 연구되어 이의 적용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국방품질경영시스템 인증 획득이 군수업체의 품질경영시스템 구축 및 운영에 대한 저변을 확산시켜 군수품의 신뢰성 향상과 군수품의 품질경영 활동에 많은 도움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향후 국방품질경영시스템 인증 획득을 원하는 군수업체와 관련 전문가에게 활용되고, 인증제도 발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가 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KDS 0050-9000:2002 was established according to domestic military demands on the basis of ISO 9000:200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formance status of Defense Quality Management System for domestic military contractors certified from 2004 to 2006 and to evaluate the economic outcomes of certification system through a survey on the certified contractors.
      To attain this purpose, diverse aspects of the domestic military contractors were surveyed through questionnaire and analyzed by SPS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1)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P-D-C-A cycle, 'Chap 7, product realization' was the most frequent case of failure, and 'Chap 8, measurement, analysis, and improvement' was the next, which followed by 'Chap 4, quality management system'.
      2) The military contractors listed the following factors as their advantages acquired after the introduction of KDS 0050-9000:2002. First, there were qualitative benefits such as 'the change in the mind of quality', 'utilization of QMS in operational level', and 'quality improvement' in order of frequency. Second, there were also quantitative benefits such as 'the reduced rate of poor quality per year', and 'the reduced quality cost', to name a few. Above these, many meaningful results were spelled ou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can be concluded that KDS 0050-9000:2002, to a certain degree, contributed to the enhancement of contractor's quality management system, which helped to make QMS of the military suppliers more activated, and, in turn, made military supplies more reliable.
      Hereafter, it would be desirable if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good guide to any contractor who want to acquire DQMS certification and to the experts who are concerned in, and want to develop the certification system.
      번역하기

      The KDS 0050-9000:2002 was established according to domestic military demands on the basis of ISO 9000:200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formance status of Defense Quality Management System for domestic military contractors certifie...

      The KDS 0050-9000:2002 was established according to domestic military demands on the basis of ISO 9000:200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formance status of Defense Quality Management System for domestic military contractors certified from 2004 to 2006 and to evaluate the economic outcomes of certification system through a survey on the certified contractors.
      To attain this purpose, diverse aspects of the domestic military contractors were surveyed through questionnaire and analyzed by SPS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1)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P-D-C-A cycle, 'Chap 7, product realization' was the most frequent case of failure, and 'Chap 8, measurement, analysis, and improvement' was the next, which followed by 'Chap 4, quality management system'.
      2) The military contractors listed the following factors as their advantages acquired after the introduction of KDS 0050-9000:2002. First, there were qualitative benefits such as 'the change in the mind of quality', 'utilization of QMS in operational level', and 'quality improvement' in order of frequency. Second, there were also quantitative benefits such as 'the reduced rate of poor quality per year', and 'the reduced quality cost', to name a few. Above these, many meaningful results were spelled ou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can be concluded that KDS 0050-9000:2002, to a certain degree, contributed to the enhancement of contractor's quality management system, which helped to make QMS of the military suppliers more activated, and, in turn, made military supplies more reliable.
      Hereafter, it would be desirable if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good guide to any contractor who want to acquire DQMS certification and to the experts who are concerned in, and want to develop the certification syste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1
      • 1.1. 연구의 목적 = 1
      •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4
      • 2. 군수분야 품질보증 제도 = 5
      • 2.1. 품질보증의 개념 및 발전과정 = 5
      • 1. 서론 = 1
      • 1.1. 연구의 목적 = 1
      •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4
      • 2. 군수분야 품질보증 제도 = 5
      • 2.1. 품질보증의 개념 및 발전과정 = 5
      • 2.2. 국내 군수분야 품질보증 = 8
      • 2.3. 국방품질경영시스템과 인증 = 9
      • 3. 국방품질경영시스템 이행실태 분석 = 18
      • 3.1. 분석개요 = 18
      • 3.2. 부적합 현황분석 = 21
      • 3.3. 요건별 주요 부적합 내용분석 = 25
      • 4. 인증획득에 따른 경영성과 분석 = 51
      • 4.1. 연구방법 = 51
      • 4.2. 신뢰성 분석 = 51
      • 4.3. 연구의 한계 = 52
      • 4.4. 조사업체의 일반사항 분석결과 = 52
      • 4.5. 조사업체의 인증획득 추진동기 및 필요성 분석결과 = 58
      • 4.6. 국방품질경영시스템 인증획득 추진방법 및 문제점 분석결과 = 61
      • 4.7. 국방품질경영시스템 인증획득 후 경영성과 분석결과 = 66
      • 4.8. 국방품질경영시스템 인증심사 분석결과 = 79
      • 4.9. 국방품질경영시스템 인증업체의 전반적인 애로사항 분석 = 85
      • 5. 결론 및 시사점 = 86
      • 5.1. 군수업체 국방품질경영시스템 이행실태 = 86
      • 5.2. 인증획득에 따른 군수업체 경영성과 = 87
      • 5.3. 국방품질경영시스템 인증 확대방향 = 88
      • 참고문헌 = 89
      • Abstract = 91
      • 부록 = 9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