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자기표현 음악치료 집단상담이 예비 고등학생의 불안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Group Counseling Focused on Self-Expression to Preliminary High School Students' Anxiety and Self-Este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4393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표현 음악치료 집단상담이 예비 고등학생의 불안과 자아존중 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자기표현 음악치료 집단상담이 예비 고등학생의 불안 감소에 효과가 있는가?
      둘째, 자기표현 음악치료 집단상담이 예비 고등학생의 자아존중 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부산시에 소재한 P교회 내 고등학교 진학을 앞둔 예비 고등학생 16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대기자 집단에 각각 8명씩 나누어 불안 측정검사와 자아존중 감 측정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에게 자기표현 음악치료 집단상담을 8회기 실시한 후 실험처치를 하지 않은 대기자 집단과 함께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연구문제 검증을 위한 통계처리는 Mann-Whitney U를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분석의 보조 자료로 면접을 통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표현 음악치료 집단상담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대기자 집단에 비해 불안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고등학교라는 새로운 환경에서의 적응과 학업・진로에 대한 고민과 불안을 음악활동을 통해 또래와의 교류와 수용을 경험함으로써 심리적인 안정감과 긍정적인 정서에 도움을 준 것으로 보인다.
      둘째, 자기표현 음악치료 집단상담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대기자 집단에 비해 자아존중 감이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음악활동을 통해 타인과의 감정을 교환하고 성취감, 자신감, 협동심을 경험함으로써 자신에 대한 긍정적 사고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이로써 자기표현 음악치료 집단상담이 예비 고등학생의 불안과 자아존중 감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말해 준다. 따라서 진학을 앞둔 예비 고등학생의 불안감소와 긍정적인 자아존중 감 형성에 도움을 주기 위한 정서적 측면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표현 음악치료 집단상담이 예비 고등학생의 불안과 자아존중 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표현 음악치료 집단상담이 예비 고등학생의 불안과 자아존중 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자기표현 음악치료 집단상담이 예비 고등학생의 불안 감소에 효과가 있는가?
      둘째, 자기표현 음악치료 집단상담이 예비 고등학생의 자아존중 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부산시에 소재한 P교회 내 고등학교 진학을 앞둔 예비 고등학생 16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대기자 집단에 각각 8명씩 나누어 불안 측정검사와 자아존중 감 측정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에게 자기표현 음악치료 집단상담을 8회기 실시한 후 실험처치를 하지 않은 대기자 집단과 함께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연구문제 검증을 위한 통계처리는 Mann-Whitney U를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분석의 보조 자료로 면접을 통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표현 음악치료 집단상담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대기자 집단에 비해 불안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고등학교라는 새로운 환경에서의 적응과 학업・진로에 대한 고민과 불안을 음악활동을 통해 또래와의 교류와 수용을 경험함으로써 심리적인 안정감과 긍정적인 정서에 도움을 준 것으로 보인다.
      둘째, 자기표현 음악치료 집단상담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대기자 집단에 비해 자아존중 감이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음악활동을 통해 타인과의 감정을 교환하고 성취감, 자신감, 협동심을 경험함으로써 자신에 대한 긍정적 사고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이로써 자기표현 음악치료 집단상담이 예비 고등학생의 불안과 자아존중 감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말해 준다. 따라서 진학을 앞둔 예비 고등학생의 불안감소와 긍정적인 자아존중 감 형성에 도움을 주기 위한 정서적 측면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elf-expression music therapy in terms of preliminary high students' anxiety and self-esteem in the context of group counseling. To fulfill this study, several questions need to be investigated.
      First, does self-expression music therapy have any effect to diminish students' anxiety?
      Second, does self-expression music therapy have any effect to improve students' self-esteem?
      To review these questions, anxiety test and self-esteem measurement have been fulfilled on 16 preliminary students who live in the city of Pusan, 8 of whom are in experimental group, and other 8 in waiting group. After the experimental group completed eight group-counselings for self-expression music therapy, they were compared with the waiting group who had no experience of the therapy. The statistical process was done with Mann-Whitney U. Qualitative analysis with individual interviews was accomplished as auxiliary data for the statical analysis.
      Below are the conclusions deduced from the research.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definitive diminishment of anxiety, compared with the waiting group. Such result indicates that music activity, by offering communication and sharing experience with peers, enables students to acquire psychological stability, relieving concern and anxiety which they suffer from new circumstances and stress of study and decision-making for life career.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s a definitive improvement of self-esteem, compared with the waiting group. Music activity can be safely regarded to contribute to form a positive self-image, while offering the opportunity to share feeling with others and to acquire a sense of accomplishment, self-confidence, teamwork.
      With these conclusions, group-counseling focused on self-expression music therapy can be affirmed to have a definitive effect in diminishing preliminary high students' anxiety and acquiring self-confidence. Concerning emotional aspect, music therapy may be put to use to diminish students' anxiety and elevating their self-esteem.
      번역하기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elf-expression music therapy in terms of preliminary high students' anxiety and self-esteem in the context of group counseling. To fulfill this study, several questions need to be investigated. First, does sel...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elf-expression music therapy in terms of preliminary high students' anxiety and self-esteem in the context of group counseling. To fulfill this study, several questions need to be investigated.
      First, does self-expression music therapy have any effect to diminish students' anxiety?
      Second, does self-expression music therapy have any effect to improve students' self-esteem?
      To review these questions, anxiety test and self-esteem measurement have been fulfilled on 16 preliminary students who live in the city of Pusan, 8 of whom are in experimental group, and other 8 in waiting group. After the experimental group completed eight group-counselings for self-expression music therapy, they were compared with the waiting group who had no experience of the therapy. The statistical process was done with Mann-Whitney U. Qualitative analysis with individual interviews was accomplished as auxiliary data for the statical analysis.
      Below are the conclusions deduced from the research.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definitive diminishment of anxiety, compared with the waiting group. Such result indicates that music activity, by offering communication and sharing experience with peers, enables students to acquire psychological stability, relieving concern and anxiety which they suffer from new circumstances and stress of study and decision-making for life career.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s a definitive improvement of self-esteem, compared with the waiting group. Music activity can be safely regarded to contribute to form a positive self-image, while offering the opportunity to share feeling with others and to acquire a sense of accomplishment, self-confidence, teamwork.
      With these conclusions, group-counseling focused on self-expression music therapy can be affirmed to have a definitive effect in diminishing preliminary high students' anxiety and acquiring self-confidence. Concerning emotional aspect, music therapy may be put to use to diminish students' anxiety and elevating their self-estee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3
      • 3. 용어의 정의 4
      • Ⅱ. 이론적 배경 5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3
      • 3. 용어의 정의 4
      • Ⅱ. 이론적 배경 5
      • 1. 자기표현 음악치료 집단상담 5
      • 2. 불안 10
      • 3. 자아존중감 13
      • 4. 음악치료 집단상담과 불안 및 자아존중감의 관계 15
      • Ⅲ. 연구방법 20
      • 1. 연구대상 20
      • 2. 실험설계 20
      • 3. 측정도구 21
      • 4. 음악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 22
      • 5. 연구절차 24
      • 6. 자료처리 24
      • Ⅳ. 연구결과 26
      • 1. 집단 간 동질성 검증 26
      • 2. 자기표현 음악치료 집단상담의 효과검증 27
      • 3. 면접을 통한 질적 분석 29
      • Ⅴ. 논의 35
      • 1. 방법에 대한 논의 35
      • 2. 결과에 대한 논의 36
      • Ⅵ. 결론 및 제언 38
      • 부록 39
      • 참고문헌 47
      • Abstract 54
      • 감사의글 5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