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바람직한 교육적 패러다임으로서 메타버스의 지향점 = Application and Direction of the Metaverse as an Educational Paradig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850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application status of the metaverse which is being introduced as a revolutionary paradigm in relation to the spread of the COVID-19 and development of the digital revolution in education and to identify its appropriate direction in the educational application.
      Following procedures were taken during the research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bove. Firstly, a concept and main features of the new paradigm called metaverse were examined. Secondly, the application status of the metaverse concept in the recent educational sites was studied. Lastly,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the metaverse and its direction for an appropriate educational application based on the pedagogical condition was discussed. Following minimum principles to comply with an appropriate educational application of the metaverse were drawn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First, a man verses man encounter premise should be considered as a basic principle for the establishment enforcement of an education policy or education program utilizing the metaverse. Second, educational standards and limits for the interests of the learner emphasized by the metaverse-applied education should be suggested. Third, ethical issues followed by an intervention of AI which is essentially accompanied by the metaverse must be considered. Also, an authority relation between the organization and system planning and utilizing the metaverse should be considered in advance. Last, educational agreement to apparently determine the ap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e metaverse is demanded. Grounds are suggested under the law for the existing virtual education in Korea however, more concrete and definite educational guidelines are requir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application status of the metaverse which is being introduced as a revolutionary paradigm in relation to the spread of the COVID-19 and development of the digital revolution in education and to 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application status of the metaverse which is being introduced as a revolutionary paradigm in relation to the spread of the COVID-19 and development of the digital revolution in education and to identify its appropriate direction in the educational application.
      Following procedures were taken during the research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bove. Firstly, a concept and main features of the new paradigm called metaverse were examined. Secondly, the application status of the metaverse concept in the recent educational sites was studied. Lastly,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the metaverse and its direction for an appropriate educational application based on the pedagogical condition was discussed. Following minimum principles to comply with an appropriate educational application of the metaverse were drawn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First, a man verses man encounter premise should be considered as a basic principle for the establishment enforcement of an education policy or education program utilizing the metaverse. Second, educational standards and limits for the interests of the learner emphasized by the metaverse-applied education should be suggested. Third, ethical issues followed by an intervention of AI which is essentially accompanied by the metaverse must be considered. Also, an authority relation between the organization and system planning and utilizing the metaverse should be considered in advance. Last, educational agreement to apparently determine the ap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e metaverse is demanded. Grounds are suggested under the law for the existing virtual education in Korea however, more concrete and definite educational guidelines are requir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상황의 영향으로 전통적인 대면 수업의 교육환경이 전면적 비대면 수업환경으로 전환되었다. 전면적 비대면 수업이 급박한 펜데믹 상황에서 충분한 사전 준비나 체계 없이 실행되기 시작했지만,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매체의 중요성은 반론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코로나19 대유행을 계기로 전면 시행된 비대면 교육을 위한 새로운 교육적 시간과 공간 패러다임은 3차원 가상공간을 활용한 교육의 가능성을 타진하는 수준까지 발전하였다. 이러한 최근의 교육환경에서 가장 뜨거운 감자로 인식되고 있는 것은 메타버스 플랫폼이다. 메타버스는 기존 비대면 교육매체들의 단점으로 지적되던 학습자의 참여도, 몰입감, 흥미 증진 등의 측면에서 혁명적인 매체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교육의 영역에서 코로나19의 확산과 디지털 혁명의 전개 등과 복합적으로 관련되어 하나의 교육플랫폼으로 도입되고 있는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현황을 살펴보고 그 교육적 적용에 대한 올바른 방향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절차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메타버스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개념과 주요 특징을 살펴보았다. 둘째, 메타버스라는 개념이 최근의 교육의 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현황과 근거를 살펴보았다. 셋째, 메타버스에 대한 이론적 이해와 교육학적 현황을 기반으로 올바른 교육적 활용을 위한 방향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메타버스의 올바른 교육적 활용을 위해 지켜야할 최소한의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육정책이나 교육프로그램 수립 시행의 기본 원칙은 인간과 인간의 만남이라는 전제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둘째, 메타버스 활용 교육이 강조하는 학습자의 흥미에 대한 교육적 기준과 한계를 제시해야 한다. 셋째, 메타버스가 필연적으로 동반하게 되는 AI의 개입에 따른 윤리적 문제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또한 메타버스를 계획하고 활용하는 기관과 체제의 권력관계에 대한 고려도 선행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메타버스의 활용과 한계를 분명히 정해주는 교육적 합의가 요청된다. 우리나라에서는 법률로 기존의 가상교육을 위한 근거를 제시하고 있지만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한 교육의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상황의 영향으로 전통적인 대면 수업의 교육환경이 전면적 비대면 수업환경으로 전환되었다. 전면적 비대면 수업이 급박한 펜데믹 상황에서 충분한 사전 준비...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상황의 영향으로 전통적인 대면 수업의 교육환경이 전면적 비대면 수업환경으로 전환되었다. 전면적 비대면 수업이 급박한 펜데믹 상황에서 충분한 사전 준비나 체계 없이 실행되기 시작했지만,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매체의 중요성은 반론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코로나19 대유행을 계기로 전면 시행된 비대면 교육을 위한 새로운 교육적 시간과 공간 패러다임은 3차원 가상공간을 활용한 교육의 가능성을 타진하는 수준까지 발전하였다. 이러한 최근의 교육환경에서 가장 뜨거운 감자로 인식되고 있는 것은 메타버스 플랫폼이다. 메타버스는 기존 비대면 교육매체들의 단점으로 지적되던 학습자의 참여도, 몰입감, 흥미 증진 등의 측면에서 혁명적인 매체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교육의 영역에서 코로나19의 확산과 디지털 혁명의 전개 등과 복합적으로 관련되어 하나의 교육플랫폼으로 도입되고 있는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현황을 살펴보고 그 교육적 적용에 대한 올바른 방향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절차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메타버스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개념과 주요 특징을 살펴보았다. 둘째, 메타버스라는 개념이 최근의 교육의 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현황과 근거를 살펴보았다. 셋째, 메타버스에 대한 이론적 이해와 교육학적 현황을 기반으로 올바른 교육적 활용을 위한 방향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메타버스의 올바른 교육적 활용을 위해 지켜야할 최소한의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육정책이나 교육프로그램 수립 시행의 기본 원칙은 인간과 인간의 만남이라는 전제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둘째, 메타버스 활용 교육이 강조하는 학습자의 흥미에 대한 교육적 기준과 한계를 제시해야 한다. 셋째, 메타버스가 필연적으로 동반하게 되는 AI의 개입에 따른 윤리적 문제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또한 메타버스를 계획하고 활용하는 기관과 체제의 권력관계에 대한 고려도 선행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메타버스의 활용과 한계를 분명히 정해주는 교육적 합의가 요청된다. 우리나라에서는 법률로 기존의 가상교육을 위한 근거를 제시하고 있지만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한 교육의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현기, "지리교육에서 메타버스의 교육적 의의와 활용" 한국지리학회 11 (11): 49-65, 2022

      2 고선영, "메타버스의 개념과 발전방향" 한국정보처리학회 28 (28): 2021

      3 정유선 ; 임태형 ; 류지헌, "메타버스를 활용한 대학생 온라인 수업에서 공간이동 수준이 학습실재감과 흥미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7 (27): 1167-1188, 2021

      4 진승현, "메타버스를 이용한 현황분석과 사례를 통한 예술교육 개발 연구" 한국예술교육학회 19 (19): 21-40, 2021

      5 황요한, "메타버스(Metaverse)로의 초대, 새로운 교육공간의 필요성과 미래교육에 관한 고찰" 한국현대언어학회 37 (37): 377-389, 2021

      6 박휴용, "메타버스 환경 속 가상학습의 이론적 토대 및 유형, 그리고 수업의 실제" 과학교육연구소 61 (61): 35-56, 2022

      7 송원철 ; 정동훈, "메타버스 해석과 합리적 개념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8 (28): 3-22, 2021

      8 양은별 ; 류지헌, "메타버스 학습환경에서 동료와 교사 아바타가 학습실재감과 시각적 주의집중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7 (27): 1629-1653, 2021

      9 임태형 ; 류지헌 ; 정유선, "메타버스 학습환경에 사회적 상호작용 여부와 수업유형이 실재감과 흥미발달에 미치는 효과" 안암교육학회 28 (28): 167-189, 2022

      10 김나랑, "메타버스 특성요인과 학습 몰입 및 학습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게더타운을 대상으로" 한국정보시스템학회 31 (31): 219-238, 2022

      1 조현기, "지리교육에서 메타버스의 교육적 의의와 활용" 한국지리학회 11 (11): 49-65, 2022

      2 고선영, "메타버스의 개념과 발전방향" 한국정보처리학회 28 (28): 2021

      3 정유선 ; 임태형 ; 류지헌, "메타버스를 활용한 대학생 온라인 수업에서 공간이동 수준이 학습실재감과 흥미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7 (27): 1167-1188, 2021

      4 진승현, "메타버스를 이용한 현황분석과 사례를 통한 예술교육 개발 연구" 한국예술교육학회 19 (19): 21-40, 2021

      5 황요한, "메타버스(Metaverse)로의 초대, 새로운 교육공간의 필요성과 미래교육에 관한 고찰" 한국현대언어학회 37 (37): 377-389, 2021

      6 박휴용, "메타버스 환경 속 가상학습의 이론적 토대 및 유형, 그리고 수업의 실제" 과학교육연구소 61 (61): 35-56, 2022

      7 송원철 ; 정동훈, "메타버스 해석과 합리적 개념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8 (28): 3-22, 2021

      8 양은별 ; 류지헌, "메타버스 학습환경에서 동료와 교사 아바타가 학습실재감과 시각적 주의집중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7 (27): 1629-1653, 2021

      9 임태형 ; 류지헌 ; 정유선, "메타버스 학습환경에 사회적 상호작용 여부와 수업유형이 실재감과 흥미발달에 미치는 효과" 안암교육학회 28 (28): 167-189, 2022

      10 김나랑, "메타버스 특성요인과 학습 몰입 및 학습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게더타운을 대상으로" 한국정보시스템학회 31 (31): 219-238, 2022

      11 "메타버스 컨소시엄 교직원 연수 자료집, <메타버스 개요 및 메타버시티 활용>"

      12 심지원, "메타버스 시대의 도래와 도덕과 교육의 과제에 대한 토론문" 2021

      13 박균열, "메타버스 시대의 도래와 도덕과 교육의 과제 토론문" 2021

      14 박대호, "메타버스 시대의 도래와 도덕과 교육의 과제"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75) : 97-124, 2021

      15 김은하 ; 김현숙 ; 한지혜, "메타버스 시대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을 위한 스마트 콘텐츠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4 (24): 73-96, 2022

      16 오종택 ; 신진, "메타버스 공간 출현과 국가권력의 변화" 대한정치학회 30 (30): 55-78, 2022

      17 류성한 ; 윤혜정 ; 박재현 ; 장영훈, "메타버스 개념 및 현황에 대한 논의와 향후 연구 방향 제안" 한국지식경영학회 23 (23): 1-13, 2022

      18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