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사상’(Perfectionism)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구약 및 유대교 전통의 맥락에서 살펴봄으로써 지금까지 오해를 반증하고 새롭게 했다.김교수는 신약 중 가장 구약적 배경을 짙게 깔고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완전사상’(Perfectionism)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구약 및 유대교 전통의 맥락에서 살펴봄으로써 지금까지 오해를 반증하고 새롭게 했다.김교수는 신약 중 가장 구약적 배경을 짙게 깔고 ...
‘완전사상’(Perfectionism)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구약 및 유대교 전통의 맥락에서 살펴봄으로써 지금까지 오해를 반증하고 새롭게 했다.김교수는 신약 중 가장 구약적 배경을 짙게 깔고 있는 마태복음 중 ‘5장48절’과‘19장’을 중심으로 논의되는 ‘완전사상’을 먼저 레위기와 신명기를 중심으로 개념화한다.특히 레위기는 ‘거룩’의 개념을 통해 완전사상에 대한 포괄적 이해를 드러낸다.보통 거룩을 성속의 분리로 오해한다.물론 레위기 역시 초반부에는 분리의 개념에서 시작하나 후반부로 갈수록 세상 속에서의 윤리적 삶을 강조한다.즉 기록은 분리로 시작하나 세상 속에서의 사랑으로 완성된다.거룩의 완성은 사랑이며,세상으로 들어가는 것이다.마태복음과 신약성경에 나타난 완전에 대한 요구는 이러한 이상을 반영하고 있으며,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새로운 이스라엘로서의 사명을 부여 받은 “왕 같은 제사장이요 거룩한 나라”가 된 신약 성도들은 이 이상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
교회 안에서 일어나는 갈등, 목회자는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