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환경규제 규제순응 확보 방안에 대한 연구 -르완다와 케냐의 비닐봉투 규제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Achieving regulatory compliance for environmental regulation -Comparative study of Rwanda’s and Kenya’s plastic bag b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023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아프리카 국가인 르완다는 지난 2008년 비닐봉투의 생산, 사용, 수입, 판매 등을 전면 금지하는 환경규제를 감행했고, 오늘날 가장 성공적으로 비닐봉투 사용금지 규제를 시행한 국가로 손꼽...

      아프리카 국가인 르완다는 지난 2008년 비닐봉투의 생산, 사용, 수입, 판매 등을 전면 금지하는 환경규제를 감행했고, 오늘날 가장 성공적으로 비닐봉투 사용금지 규제를 시행한 국가로 손꼽힌다. 이에 반해 이웃국가인 케냐 역시 비슷한 규제를 시행했지만, 오늘날까지 규제를 성공적으로 안착시키지 못한 것으로 평가된다. 본 연구는 르완다의 성공적인 비닐봉투 규제 시행배경, 두 국가 간 규제 성과 차이의 원인을 규제순응 확보의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환경규제는 공유재 문제를 다루는 만큼 특히 강압적인 성격을 띄는데, 이와 동시에 성과를 거두기 위해선 규제대상집단인 시민의 의식변화, 즉 시민사회의 협력이 관건이다. 강압적인 규제는 통상정당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규제불응을 불러일으키기 마련인데, 르완다 정부는 강제적 방식의 공동체 활성화를 통해 시민들 간의 상호협력, 목표와 가치의 공유를 이끌어냈고, 이로부터 불응 요인을 제거했다고 볼 수 있으며, 케냐의 경우 이러한 시민의식의 변화 유도에 상대적으로 실패한 결과 규제순응 확보에 실패했다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르완다 사례를 통해 환경규제 규제순응 확보에서의 시민의식 변화 중요성이 검증되며, 강제적 방식일지라도 정부의 주도적 역할로 대상집단이 이해관계 동질화를 이룰 수 있는 사회적 네트워크가 효과적으로 운영된다면 이는 규제순응 확보에 큰 도움이 되고, 이로부터 효과적인 환경규제 집행이 가능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wanda implemented an environmental regulation in 2008 that completely banned the production, use, importation, and sale of plastic bags. Today, Rwanda is widely recognized as the most successful case in enforcing the ban. A neighboring country of Rwa...

      Rwanda implemented an environmental regulation in 2008 that completely banned the production, use, importation, and sale of plastic bags. Today, Rwanda is widely recognized as the most successful case in enforcing the ban. A neighboring country of Rwanda, Kenya, although also implemented similar regulation, is considered to be a less successful case.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background of Rwanda's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plastic bag regulation and also the reason why the two countries are witnessing different results from the perspective of regulatory compliance.
      Environmental regulations, especially those addressing shared resource issues, often have a coercive nature, but at the same time achieving success requires a change in the consciousness of citizens, or in other words, cooperation from civil society, which is the target group of the regulation. Stringent regulations typically face challenges in establishing legitimacy and can lead to non-compliance. However, the Rwandan government successfully eliminated factors of non-compliance by fostering a compulsory community approach, which promoted cooperation and disseminated shared objectives and values among citizens. This approach effectively removed barriers for compliance. Compared to this, Kenyan government could not promote such cooperation among the citizens as effectively as Rwandan government, hence failed to achieve the compliance.
      This has not only verified the importance of change in the consciousness of citizens for achieving regulative compliance and successful implementaion of environmental regulation, but also implies that even in a coercive approach, if the government takes a proactive role in creating social networks that enable the target group to achieve a shared understanding, it can greatly contribute to securing regulatory complianc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