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전 원도심 근현대문화유산 활성화를 위한 관광프로그램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ourism Programs to Revitalize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in Daejeon's Original Downtow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0551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대전은 1905년 경부선 철도 부설과 1932년 충남도청 이전을 계기로 급속 히 성장한 근대 도시이다. 일본식 목조 건축과 서양식 건축물이 혼재된 대 전 원도심은 대전의 역사적 연계성과 문화적 정체성을 잘 담고 있는 중요 한 공간이다. 그러나 6.25 전쟁과 이후 도시 개발로 많은 근대건축물이 소 실되거나 훼손되었으며, 1990년대 이후 주요 행정기관의 둔산 이전으로 원 도심은 쇠퇴의 길을 걷게 되었다. 대전시는 원도심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2000년대부터 다양한 재생 및 활성화 사업을 추진해 왔다. 본 연구는 대전 원도심의 근대문화유산을 활용한 관광 프로그램을 개발 하여 원도심 활성화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 현장답사, 지역활동가 설문 및 인터뷰를 통해 대전 원도심의 형성과 변천 과정을 분 석하였다. 또한 인천, 군산, 목포 등 유사한 역사를 가진 도시의 사례를 비 교 분석하여 대전 원도심에 적합한 관광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참고하였다. 연구 결과, 대전 원도심 근대문화탐방로의 코스를 개선하고 보행 환경을 정비하여 관광객이 편안하게 탐방할 수 있는 안을 마련하였다. 기존 탐방로 의 긴 코스를 세분화하고, 보행자의 안전과 편의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제안 하였다. 또한 지역 브랜드 강화를 위해 대전의 역사적, 문화적 자원을 발굴 하고 이를 스토리텔링 자원으로 활용하여 특화된 관광 프로그램의 원천 자 원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근대문화유산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투어 프로그램과 축제를 연계하여 관광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 도록 계획하였다. 본 연구는 원도심의 관광 환경을 개선하여 지역 주민과 관광객 모두에게 유익한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대전의 문화적 자산을 효과적으로 보존하고 활용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원도심의 역사문화자산을 보존 함으로써 지역 브랜드를 강화하고 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하며,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주제어 : 대전 원도심, 근대문화유산, 관광 프로그램, 스토리텔링, 근대문 화 탐방로, 지역 브랜드 강화
      번역하기

      대전은 1905년 경부선 철도 부설과 1932년 충남도청 이전을 계기로 급속 히 성장한 근대 도시이다. 일본식 목조 건축과 서양식 건축물이 혼재된 대 전 원도심은 대전의 역사적 연계성과 문화적...

      대전은 1905년 경부선 철도 부설과 1932년 충남도청 이전을 계기로 급속 히 성장한 근대 도시이다. 일본식 목조 건축과 서양식 건축물이 혼재된 대 전 원도심은 대전의 역사적 연계성과 문화적 정체성을 잘 담고 있는 중요 한 공간이다. 그러나 6.25 전쟁과 이후 도시 개발로 많은 근대건축물이 소 실되거나 훼손되었으며, 1990년대 이후 주요 행정기관의 둔산 이전으로 원 도심은 쇠퇴의 길을 걷게 되었다. 대전시는 원도심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2000년대부터 다양한 재생 및 활성화 사업을 추진해 왔다. 본 연구는 대전 원도심의 근대문화유산을 활용한 관광 프로그램을 개발 하여 원도심 활성화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 현장답사, 지역활동가 설문 및 인터뷰를 통해 대전 원도심의 형성과 변천 과정을 분 석하였다. 또한 인천, 군산, 목포 등 유사한 역사를 가진 도시의 사례를 비 교 분석하여 대전 원도심에 적합한 관광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참고하였다. 연구 결과, 대전 원도심 근대문화탐방로의 코스를 개선하고 보행 환경을 정비하여 관광객이 편안하게 탐방할 수 있는 안을 마련하였다. 기존 탐방로 의 긴 코스를 세분화하고, 보행자의 안전과 편의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제안 하였다. 또한 지역 브랜드 강화를 위해 대전의 역사적, 문화적 자원을 발굴 하고 이를 스토리텔링 자원으로 활용하여 특화된 관광 프로그램의 원천 자 원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근대문화유산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투어 프로그램과 축제를 연계하여 관광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 도록 계획하였다. 본 연구는 원도심의 관광 환경을 개선하여 지역 주민과 관광객 모두에게 유익한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대전의 문화적 자산을 효과적으로 보존하고 활용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원도심의 역사문화자산을 보존 함으로써 지역 브랜드를 강화하고 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하며,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주제어 : 대전 원도심, 근대문화유산, 관광 프로그램, 스토리텔링, 근대문 화 탐방로, 지역 브랜드 강화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 배경과 연구 목적 1
      • 2.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 방법 5
      • Ⅱ. 대전 원도심의 역사적 가치와 현황 9
      • 1. 대전 원도심의 역사적 형성과 변화 9
      • Ⅰ. 서 론 1
      • 1. 연구 배경과 연구 목적 1
      • 2.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 방법 5
      • Ⅱ. 대전 원도심의 역사적 가치와 현황 9
      • 1. 대전 원도심의 역사적 형성과 변화 9
      • 1) 대전 원도심의 형성 배경 9
      • 2) 대전 원도심의 변천 과정 13
      • 3) 대전 원도심 근대문화유산 현황 22
      • 2. 대전 원도심 근대문화유산의 보존 가치와 현황 29
      • 1) 근대역사문화공간으로서의 가치 29
      • 2) 지속가능한 문화자원으로서의 가치 32
      • 3) 잠재적 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 35
      • 3. 근대역사문화공간 보존 및 활성화 사례 검토 39
      • 1) 목포근대역사문화공간 39
      • 2) 군산근대화거리 – 해망로 일대 44
      • 3) 인천근대문화유산거리 – 자유공원 일대 47
      • Ⅲ. 대전 원도심 근대문화유산 보존의 한계와 노력 52
      • 1. 대전 원도심 근대문화유산 보전의 한계 52
      • 1) 제도적 측면의 한계 52
      • 2) 문화유산 인식 측면의 한계 57
      • 3) 경제적 측면의 한계 60
      • 2. 근대문화유산 보존을 위한 노력 64
      • 1) 공간 활용을 통한 노력 64
      • 2) 투어 프로그램을 통한 노력 69
      • 3) 경관 조성을 통한 노력 : 원도심 근대문화탐방로 조성 71
      • Ⅳ. 대전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관광 프로그램 개발안 77
      • 1. 원도심 근대문화 탐방로 코스와 환경개선 77
      • 1) 코스 변경 78
      • 2) 보행 환경 개선 82
      • 3) 특화거리와의 연계 85
      • 2. 지역 연구와 스토리텔링 자원 활성화 87
      • 1) 지역연구단체와의 협력 강화를 통한 다양한 이야기 발굴 87
      • 2) 전문가와의 협업을 통한 보전과 활용의 균형 90
      • 3) 지역민을 활용한 생동감 있는 이야기 구현 91
      • 3. 콘텐츠 개발을 통한 관광 활성화 93
      • 1) 다양한 투어 프로그램 개발 95
      • 2) 지역 축제를 통한 홍보 및 활성화 102
      • Ⅴ. 결론 107
      • 참고문헌 110
      • Abstract 1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