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말오줌나무 추출물의 미백활성 검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027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말오줌나무 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미백 효과를 검증하였다. 말오줌나무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측정실험은 1,000 μg/ml에서 86.21%의 효과를 나타내었고, ABTS 소거능을 측...

      본 연구는 말오줌나무 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미백 효과를 검증하였다. 말오줌나무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측정실험은 1,000 μg/ml에서 86.21%의 효과를 나타내었고, ABTS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1,000 μg/ml 농도에서 97.9%의 소거능을 보였다. Tyrosinase 저해활성 측정은 1,000 μg/ml 농도에서 37%의 효과를 보였다. 말오줌나무 추출물의 세포 생존율을 melanoma cell (B16F10)에서 확인하기 위해 MTT assay를 진행하였는데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100 μg/ml 농도에서 90% 이상의 생존율을 보였다. 말오줌나무 추출물의 MITF, TRP-1, TRP-2 및 tyrosinase의 단백질 발현 효과를 25, 50, 100 μg/ml 농도에서 측정하였으며 양성 대조군으로 β-actin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MITF, TRP-1, TRP-2 및 tyrosinase의 각각 100 μg/ml 농도에서 34.5%, 45.6%, 58.4%, 79.6%의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를 보였다. MITF, TRP-1, TRP-2 및 tyrosinase의 mRNA발현을 RT-PCR로 25, 50, 100 μg/ml 농도에서 측정하였고, 양성 대조군으로 GAPDH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말오줌나무 추출물의 100 μg/ml 농도에서 각각 85.4%, 67.5%, 85.2%, 67.1%의 mRNA 발현이 감소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말오줌나무 추출물이 미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valuated the anti-oxidant and whitening effects of a 70% ethanol extract of the Sambucus sieboldiana var. pendula (Nakai) (SS). At 1,000 μg/ml concentration,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this SS extract was found to be 86.21% and the ...

      This study evaluated the anti-oxidant and whitening effects of a 70% ethanol extract of the Sambucus sieboldiana var. pendula (Nakai) (SS). At 1,000 μg/ml concentration,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this SS extract was found to be 86.21% and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was 97.9%. In terms of whitening activity, the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of the extract was 37%, also at 1,000 μg/ml concentration. To explore the extractefftoxicity to B16F10 melanoma cells, a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bromide assay was performed. Results showed 90% or more cells remained viable at 100 μg/ml concentration. A Western blot of the SS extract was used to measure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tyrosinase-related protein-1 (TRP-1), tyrosinase relate protein-2 (TRP-2), and the tyrosinase protein expression inhibitory effect at 25, 50, 100 μg/ml concentrations; β-actin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Consequently, the MITF, TRP-1, TRP-2, and the tyrosinase protein expression inhibitory effect were seen to decrease by 34.5%, 45.6%, 58.4%, and 79.6%, respectively, at 100 μg/ml concentration. These were also then measured b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at 25, 50, 100 μg/ml concentrations with GAPDH as a positive control. As a result, the SS extract was seen to decrease MITF, TRP-1, TRP-2, and the tyrosinase protein expression inhibitory effect by 85.4%, 67.5%, 85.2%, 67.1%, respectively at the 100 μg/ml concentration. We therefore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Sambucus sieboldiana var. pendula (Nakai) extract as a whitening materia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References
      • 초록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References
      • 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차재영, "한방 생약재 발효액의 항산화 활성 및 tyrosinase 저해 활성" 한국생명과학회 20 (20): 940-947, 2010

      2 이수광, "특산식물 말오줌나무와 노랑말오줌나무의 종자발아 및 분화묘 재배특성" 한국산림과학회 103 (103): 359-367, 2014

      3 박태순, "인간 표피 멜라닌 세포에서의 단삼 추출물의 미백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응용생명화학회 58 (58): 333-338, 2015

      4 오혜인, "울금과 강황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비교연구" 대한본초학회 25 (25): 83-91, 2010

      5 김영언, "송이(Tricholoma matsutake Sing.)의 ABTS Radical 소거능과 암세포 생장 억제효능의 검색"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555-560, 2009

      6 김동희, "선학초 추출물의 미백활성" 한국응용생명화학회 54 (54): 284-289, 2011

      7 유미희, "생대추(풋대추) 과육 및 씨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항산화 성분" 한국식품과학회 38 (38): 128-134, 2006

      8 유재묘, "만형자 용매 분획물의 미백 개선 효과" 한국응용생명화학회 58 (58): 266-271, 2015

      9 차재영, "두릅 순 및 잎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한국생명과학회 19 (19): 652-658, 2009

      10 김다은, "갈만 추출물의 미백활성 및 기전 연구" 한국생약학회 47 (47): 343-351, 2016

      1 차재영, "한방 생약재 발효액의 항산화 활성 및 tyrosinase 저해 활성" 한국생명과학회 20 (20): 940-947, 2010

      2 이수광, "특산식물 말오줌나무와 노랑말오줌나무의 종자발아 및 분화묘 재배특성" 한국산림과학회 103 (103): 359-367, 2014

      3 박태순, "인간 표피 멜라닌 세포에서의 단삼 추출물의 미백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응용생명화학회 58 (58): 333-338, 2015

      4 오혜인, "울금과 강황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비교연구" 대한본초학회 25 (25): 83-91, 2010

      5 김영언, "송이(Tricholoma matsutake Sing.)의 ABTS Radical 소거능과 암세포 생장 억제효능의 검색"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555-560, 2009

      6 김동희, "선학초 추출물의 미백활성" 한국응용생명화학회 54 (54): 284-289, 2011

      7 유미희, "생대추(풋대추) 과육 및 씨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항산화 성분" 한국식품과학회 38 (38): 128-134, 2006

      8 유재묘, "만형자 용매 분획물의 미백 개선 효과" 한국응용생명화학회 58 (58): 266-271, 2015

      9 차재영, "두릅 순 및 잎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한국생명과학회 19 (19): 652-658, 2009

      10 김다은, "갈만 추출물의 미백활성 및 기전 연구" 한국생약학회 47 (47): 343-351, 2016

      11 권일호, "白?蠶 추출액의 피부암 세포주에서 세포사멸 유도 작용에 대한 연구" 한의병리학회 19 (19): 765-771, 2005

      12 Choi, B. W., "Screening of the tyrosinase inhibitors from marine algae and medicinal plants" 29 : 237-242, 1998

      13 이진영, "RAW 264.7 세포에서 말오줌나무 추출물의 iNOS, COX-2 단백질 및 mRNA 발현 억제 효과"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45 (45): 178-183, 2017

      14 Lin, J. W., "Natural products with skin-whitening effects" 16 : 1-10, 2008

      15 Abdel-Malek, Z. A., "Mitogenic and melanogenic stimulation of normal human melanocytes by melanotropic peptides" 92 : 1789-1793, 1995

      16 Yagi, A., "Inhibition of mushroom-tyrosinase by aloe extract" 53 : 515-517, 1987

      17 Carmichael, J., "Evaluation of a tetrazolium based semiautomated colorimetric assay : assessment of chemosensitivity testing" 47 : 936-942, 1987

      18 Lee, T. H, "Depigmentation activity of barley, unpolished rice, Job's-tear" 16 : 126-, 2003

      19 Park, J. G., "Chemosensitivity testing of human colorectal carcinoma cell lines using a tetrazolium-based colorimetric assay" 47 : 5875-5879, 1987

      20 Kim, H. K., "Antioxidative activity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some Korean medicinal plants" 27 : 80-86, 1995

      21 Blois, M. 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26 : 1199-1120, 195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8-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Life Science -> Journal of Life Scienc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3 0.774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