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주노동자의 권리: 인권 대 주권의 이분법을 넘어서 = The Rights of Migrant Workers: Beyond the Dichotomy of Human Rights and State Sovereign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115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number of foreign residents in Korea has exponentially increased since the mid-1990s. However, the national protection of migrant workers’ rights still faces a number of issues and limitations. In this vein,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the rig...

      The number of foreign residents in Korea has exponentially increased since the mid-1990s. However, the national protection of migrant workers’ rights still faces a number of issues and limitations. In this vein,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the rights of migrant workers under Korean law, based on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All Migrant Workers and Members of Their Families (hereafter, ICRMW). In particular, this paper locates the meaning of the ICRMW beyond the dichotomy of human rights and state sovereignty, from this perspective, suggests ways to improve the Korean legal system. In doing so, this paper emphasizes the following points. First, as a representative international human rights agreement, the ICRMW intends both to recognize the conflict between state sovereignty and human rights and to present a compromise to resolve this conflict. Second, the meaning of the ICRMW beyond the dichotomy of state sovereignty and human rights can be linked to the discussion of “new citizenship”. Third, rather than simply comparing Korean law and the ICRMW or examining the suitability of the latter in the context of the former, it is necessary to discuss in which context or on which grounds the two can coexist or be in conflict with each other.
      Chapter II of the paper analyzes the meaning of the ICRMW, which reveals the trade-offs between state sovereignty and human rights. Although the Convention protects the human rights of migrant workers, it also recognizes that immigration control falls under the purview of state sovereignty. It can be seen that the Convention gives states the opportunity to exercise their discretion by using flexible and restricted terms in the individual provisions rather than by imposing the legislative power of the states. Chapter III reviews the compromises embraced by the ICRMW in relation to the new citizenship discussion. The recent debate on citizenship in the academia has been helpful for such critical thinking, as the traditional notion that citizenship equals nationality has been criticized and alternatives better suited to the era of globalization have been presented. This provides a meaningful basis from which to decide how to identify the rights of migrant workers at the intersection of basic human rights and the exclusive rights of the people. Chapter IV assesses major labor rights issues facing migrant workers under Korean law in accordance with the ICRMW. It is shown that Korean law as it stands now can be made to work with rather than against the Convention. However, it is necessary to further facilitate family reunification for low-skilled workers, improve the employment permit program, and ease restrictions on moving to other companies. Chapter V concludes by discussing the significance of the ICRMW as an international agreement and what Korea joining the Convention might mean. The paper intends t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Convention and to highlight that it is important to make an effort to realize this spirit in Korean law, rather than vaguely arguing about the legitimacy of joining the Conven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990년대 중반 이후 국내의 이주노동자 규모는 계속하여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권리보호 문제 역시 계속하여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은 국내의 이주노동자 권리보호에 많은 한계와 ...

      1990년대 중반 이후 국내의 이주노동자 규모는 계속하여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권리보호 문제 역시 계속하여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은 국내의 이주노동자 권리보호에 많은 한계와 문제점이 있음을 인식하고, 이주노동자의 권리에 대한 국제규범인 「모든 이주노동자와 그 가족의 권리보호에 관한 국제협약(이하 “이주노동자권리협약”)」을 준거로 삼아 우리 법제를 분석하였다. 특히 본 논문은 협약의 입장에서 국내법제를 검토함에 있어, 주권 대 인권의 갈등지점을 넘어선 곳에서 이주노동자권리협약의 의미를 찾고, 이를 통해 국내법제의 개선방안을 논의하였다. 본 논문이 강조하고자 한 바는 첫째, 이주노동자권리협약은 대표적인 인권규범이지만 주권 대 인권의 갈등지점을 인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갈등지점을 해소할 수 있는 절충점을 함께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인권과 주권의 이분법을 넘어서는 이주노동자권리협약의 의미는 “새로운 시민권” 논의와 연결될 수 있다는 점이다. 셋째, 협약과 국내법제를 단순히 비교하거나 한국 법제의 맥락에서 협약의 적합성을 살펴보기보다는 어떠한 맥락에서 어떠한 근거로 협약과 한국법제가 공존 혹은 갈등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논문의 제II장에서는 인권과 주권의 절충점을 드러내는 이주노동자권리협약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협약은 인권의 시각으로 이주자의 권리보호를 규정하지만, 동시에 이주관리가 기본적으로 국가주권의 영역임을 인정하고 있으며, 당사국의 입법 권한을 강제하기보다 개별 조항에서 유연하고 제한된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개별 당사국이 가능한 재량을 행사할 수 있는 여지를 부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III장에서는 이주노동자권리협약이 보여주는 이러한 절충점을 새로운 시민권 논의와 접목시켜 살펴보았다. 새로운 시민권 논의는 국적 개념과 등치되는 전통적인 시민권 개념을 비판하고 이를 대체하여 지구화 시대에 부응하는 대안적인 시민권 개념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기본적인 인간의 권리와 배타적인 국민의 권리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이주노동자의 권리를 어떻게 위치시켜야 하는지에 관해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시해주고 있다. 제IV장에서는 이주노동자권리협약을 준거로 국내법제상 이주노동자의 노동권에 대한 주요 쟁점들을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법제의 내용이 협약에 배치되기보다는 조화될 수 있는 내용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단순기능인력의 가족재결합 및 고용허가제와 사업장변경제한제도의 개선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결론인 제V장에서는 국제규범으로서 이주노동자권리협약이 갖는 중요성 및 협약 가입의 의미를 유추해 보았으며, 협약 가입의 당위성을 막연히 주장하기보다 협약의 정신을 바르게 이해하고 이러한 정신을 국내법제에서 구현시키려는 노력이 중요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준기, "현행 고용허가제도의 인권침해적 요소와 인권보장 입법" 9 : 2006

      2 이철우, "탈국가적 시민권은 존재하는가" 비판사회학회 (79) : 62-87, 2008

      3 법무부 출입국,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 2018년 10월호"

      4 전윤구, "차별금지에서 외국인근로자의 법적 지위" 한국비교노동법학회 28 : 387-421, 2013

      5 서윤호, "이주사회에서 이주노동자의 권리보호" 법학연구소 (26) : 203-235, 2013

      6 권영국, "이주노동자의 노동3권과 노동시장에서의 지위, 이주노동자권리협약 쟁점 토론회 자료집"

      7 손윤석, "이주노동자의 고용허가제 개선 방안" 한국법학회 (49) : 1-23, 2013

      8 조태익, "이주노동자권리협약의 자유권 토론문, 이주노동자권리협약 쟁점 토론회 자료집"

      9 위은진, "이주노동자권리협약의 사회권 쟁점, 이주노동자권리협약쟁점 토론회 자료집"

      10 최홍엽, "이주노동자권리협약의 노동권 쟁점, 이주노동자권리협약쟁점 토론회 자료집"

      1 고준기, "현행 고용허가제도의 인권침해적 요소와 인권보장 입법" 9 : 2006

      2 이철우, "탈국가적 시민권은 존재하는가" 비판사회학회 (79) : 62-87, 2008

      3 법무부 출입국,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 2018년 10월호"

      4 전윤구, "차별금지에서 외국인근로자의 법적 지위" 한국비교노동법학회 28 : 387-421, 2013

      5 서윤호, "이주사회에서 이주노동자의 권리보호" 법학연구소 (26) : 203-235, 2013

      6 권영국, "이주노동자의 노동3권과 노동시장에서의 지위, 이주노동자권리협약 쟁점 토론회 자료집"

      7 손윤석, "이주노동자의 고용허가제 개선 방안" 한국법학회 (49) : 1-23, 2013

      8 조태익, "이주노동자권리협약의 자유권 토론문, 이주노동자권리협약 쟁점 토론회 자료집"

      9 위은진, "이주노동자권리협약의 사회권 쟁점, 이주노동자권리협약쟁점 토론회 자료집"

      10 최홍엽, "이주노동자권리협약의 노동권 쟁점, 이주노동자권리협약쟁점 토론회 자료집"

      11 박진완, "이주노동자권리협약에 규정된 권리들의 헌법적합성에 대한 검토"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6 (16): 139-170, 2010

      12 공수진, "이주노동자권리협약 비준을 위한 국내법제의" (9) : 2011

      13 한겨레, "이주노동자 절반이상 위험한 직장에서 일한다"

      14 한겨레, "이주노동자 노조 10년만에 합법화"

      15 이경숙, "이주노동자 권리 보호를 위한 국제인권규범 수용에 관한 연구 - 유엔 국제인권조약 및 이주노동자권리협약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11 (11): 189-221, 2008

      16 김용환, "이주근로자의 고용허가제 정착을 위한 관련법제 개선방향에관한 연구" 23 : 2010

      17 박종희, "이주근로자 인권보호에 관한 법제도운영과 개선방안" 법학연구원 (50) : 401-442, 2008

      18 이규용, "외국인력 노동시장 구조와 경제적 효과, In 외국인력 노동시장 분석 및 중장기 관리체계 개선방안 연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07

      19 설동훈, "외국인노동자와 인권 ―‘국가의 주권’과 ‘국민의 기본권’ 및 ‘인간의 기본권’의 상충요소 검토―" 5.18연구소 5 (5): 39-78, 2005

      20 김태환, "외국인근로자의 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 11 (11): 2011

      21 전형배, "외국인근로자의 노동인권" 한국비교노동법학회 18 : 125-157, 2010

      22 이상임, "외국인근로자의 노동3권 및 체류지원, 이주노동자권리협약쟁점 토론회 자료집"

      23 표명환, "외국인근로자 고용제도에 관한 법적 고찰" 한국법학회 (41) : 45-65, 2011

      24 하갑래, "외국인고용허가제의 변천과 과제" 한국비교노동법학회 22 : 333-389, 2011

      25 이상윤, "외국인 근로자의 노동법상" (70) : 2002

      26 연합뉴스, "연금공단이 이주노동자 보험료 떼먹나...전국서 ‘원성’"

      27 이동영, "불법체류 외국인근로자의 노조 결성 가능 판결의 의미와 시사점" (1033) : 2015

      28 연합뉴스, "불법체류 단속 중 미얀마 노동자 사망, 진상 규명해야"

      29 김범수, "민주주의에 있어 포용과 배제 : ‘다문화사회’에서 데모스의 범위 설정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48 (48): 173-198, 2008

      30 김희강, "다문화시대의 이민정책: 영주권제도의 개선 방안 연구" 한국행정학회 49 (49): 223-244, 2015

      31 채형복, "국제이주노동자권리협약에 대한 고찰" 법학연구원 (29) : 339-365, 2008

      32 장복희, "국제법상 이주노동자의 권리와 국내법제도 개선" 법학연구소 24 (24): 291-320, 2008

      33 이학춘, "고용허가제를 둘러싼 주요 갈등과 쟁점 및 향후 법적 과제 ― 기본원칙을 중심으로 ―" 한국비교노동법학회 27 : 291-341, 2013

      34 고준기, "개정 고용허가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2009년 10월 9일 개정법률을 중심으로 ―" 한국비교노동법학회 18 : 1-36, 2010

      35 이경숙, "UN 이주노동자권리협약의 이해와 비준운동의 과제"

      36 MacDonald, Euan, "The Migrant Workers Convention in Europe"

      37 Soysal, Yasemin N., "The Limits of Citizenship"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4

      38 Bauböck, Rainer, "Stakeholder Citizenship and Transnational Political Participation: A Normative Evaluation of External Voting" 75 (75): 2007

      39 Jacobson, David, "Rights across Borders: Immigration and the Decline of Citizenship"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7

      40 임현, "Revisiting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Voting Rights of Overseas Koreans" 한국학중앙연구원 54 (54): 5-29, 2014

      41 Cholewinski, Ryszard, "Migration and Human Rights: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Migrant Workers’ Righ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42 Battishtella, Graziano, "Migration and Human Rights: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Migrant Workers’ Righ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43 De Gucheteneire, Paul, "Migration and Human Rights: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Migrant Workers’ Righ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44 Hammar, Tomas, "Democracy and the Nation State: Aliens, Denizens and Citizens in a World International Migration" Avebury 1990

      45 Touzenis, Kristina, "Current Challenges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UN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All Migrant Workers and Members of Their Families"

      46 Castle, Stephen, "Citizenship and Migration: Globalization and the Politics of Belonging" Routledge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5-02-0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Dankook Law Riview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1 0.71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6 0.53 0.68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