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실시간 온라인 PBL 수업 실행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4018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상호작용 증진을 위하여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PBL)을 적용한 과정과 결과를 탐구한 실행연구이다. 연구참여자는 2020년 2학기에 ‘유아교과교재...

      본 연구는 상호작용 증진을 위하여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PBL)을 적용한 과정과 결과를 탐구한 실행연구이다. 연구참여자는 2020년 2학기에 ‘유아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을 수강한 유아교육학과 3학년 학생 30명이며, 실시간 온라인 수업은 15주 중 초기 8주 동안 운영되었다. 연구자료는 수업녹화 전사자료, 연구자 저널, 연구참여자 PBL 저널, 동료 및 자기평가지, 개방식 질문지 등을 수집하였다. Miles와 Huberman(1984)의 질적 자료 분석방법에 따라 자료 추리기, 자료 배열, 결론 도출 과정을 거쳤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 안정적인 라포 형성 지원하기, 둘째, 중기: 학습자의 학습속도 따라가기, 셋째, 후기: 적기에 명확한 피드백 제공하기 등이다. 이러한 결과는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상호작용을 증진하기 위한 수업설계와 전략이 필요하고, PBL이 한 가지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process and results of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PBL) in real-time online classes to promote interaction. The study participants were 30 third-yea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ho took the “...

      This study explores the process and results of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PBL) in real-time online classes to promote interaction. The study participants were 30 third-yea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ho took the “Teaching Materials and Method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0. The real-time online classes ran for the first eight weeks out of 15 weeks.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class recording transcription data, researcher journals, research participants" PBL journals, peer and self-rating reports, and open questionnaires. Based on the qualitative data analysis methods of Miles and Huberman (1984), data collection, data arrangement, and conclusion extraction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Early period: supporting stable rapport building, 2) Mid-period: following learners" learning speed, 3) Late period: providing clear feedback in a timely mann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promote interaction in online classes, lesson design and strategy is required for it in advance, and that PBL can be one wa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준희, "학습자간의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웹기반 문제중심학습 시스템 설계 및 구현"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1 (11): 57-65, 2008

      2 이은철, "학습자 특성을 고려한 스캐폴딩 지원이 PBL 수업 환경에서 교과 흥미와 상호작용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9 (19): 471-482, 2019

      3 권성연, "코로나19에 따른 초중등 교사들의 온라인 수업 경험과 인식에 대한 탐색" 한국교육공학회 36 (36): 745-774, 2020

      4 이용상,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 시대의 온라인 교육 실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3 (23): 39-57, 2020

      5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Ⅰ : Bricoleur" 아카데미프레스 2012

      6 김병욱, "질적 연구의 실제" 학지사 2018

      7 김희경, "이러닝 기반 문제중심학습 지원 프로세스(Problem-Based Learning Support Process)의 적용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8 Mac Naughton, G., "유아교육에서 실행연구하기" 창지사 2013

      9 임진형, "유아교원양성과정에서 문제중심학습(PBL)적용 실행과정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7 (17): 139-167, 2012

      10 임규연, "웹기반 협력적 문제해결학습에서의 문제해결 과정 분석: 스캐폴딩 유형에 따른 상호작용 내용패턴의 차이" 한국교육공학회 32 (32): 897-924, 2016

      1 이준희, "학습자간의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웹기반 문제중심학습 시스템 설계 및 구현"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1 (11): 57-65, 2008

      2 이은철, "학습자 특성을 고려한 스캐폴딩 지원이 PBL 수업 환경에서 교과 흥미와 상호작용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9 (19): 471-482, 2019

      3 권성연, "코로나19에 따른 초중등 교사들의 온라인 수업 경험과 인식에 대한 탐색" 한국교육공학회 36 (36): 745-774, 2020

      4 이용상,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 시대의 온라인 교육 실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3 (23): 39-57, 2020

      5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Ⅰ : Bricoleur" 아카데미프레스 2012

      6 김병욱, "질적 연구의 실제" 학지사 2018

      7 김희경, "이러닝 기반 문제중심학습 지원 프로세스(Problem-Based Learning Support Process)의 적용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8 Mac Naughton, G., "유아교육에서 실행연구하기" 창지사 2013

      9 임진형, "유아교원양성과정에서 문제중심학습(PBL)적용 실행과정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7 (17): 139-167, 2012

      10 임규연, "웹기반 협력적 문제해결학습에서의 문제해결 과정 분석: 스캐폴딩 유형에 따른 상호작용 내용패턴의 차이" 한국교육공학회 32 (32): 897-924, 2016

      11 김한식,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협력방법에 대한 성찰형태가 상호작용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12 강명희,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에서 메타인지, 몰입, 상호작용과 문제해결력의 관계" 교과교육연구소 12 (12): 293-316, 2008

      13 김경현,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 프로그램 개발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정보교육학회 9 (9): 1-14, 2005

      14 김영환, "원격교육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3

      15 이의길, "온라인교육에 대한 교수자 인식 및 수업전략"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2 (12): 87-105, 2006

      16 장선영,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문제해결 단계별 스캐폴딩 유형의 효과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30 (30): 193-220, 2014

      17 이은철,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고성취 집단의 학습과정에서 나타난 상호작용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31 (31): 159-190, 2015

      18 권성연, "온라인 수업의 조별 상호작용에서 나타난 사회적 실재감의 양상: 메시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8 (18): 147-175, 2012

      19 장경원, "온라인 PBL에서 학습자들의 문제해결 활동 특성 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2 (12): 33-63, 2006

      20 최승연, "예비유아교사 대상 아동수학교육 교과목의 팀 기반 학습(team-based learning) 적용에서 나타나는 영향 및 의미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3 (23): 281-303, 2018

      21 권혜진, "예비 유아교사를 위한 웹 기반 학습에서 나타난 교수자 역할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225-248, 2008

      22 홍지명, "문제중심학습(PBL)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9 (9): 1-12, 2018

      23 홍경선, "문제중심학습 원리를 적용한 웹기반 교육의 사례연구" 15 (15): 55-68, 1999

      24 최봉선, "문제 중심 학습 수업이 유아예비교사의 자기주도 학습에 미치는 영향" 23 (23): 85-107, 2007

      25 조형정, "면대면과 웹기반에서의 협력적 문제해결과정 분석 ― 비구조화된 문제를 중심으로 ―" 한국교육방법학회 20 (20): 173-195, 2008

      26 이상수, "면대면 학습 환경과 온라인 실시간/비실시간 학습 환경에서의 상호작용 패턴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0 (20): 63-88, 2004

      27 장한별, "랜선을 넘어 소통하라 : 상호작용이 있는 온라인 수업" 학지사 2020

      28 이지은, "대학 교수의 성공적인 수업에 대한 인식과 수업성찰" 한국교육방법학회 25 (25): 127-146, 2013

      29 우영희, "대규모 온라인 강좌에서의 대리 상호작용의 활용 및 학습자 반응분석" 한국교육방법학회 28 (28): 609-628, 2016

      30 손지선, "교사가 진짜 궁금해하는 온라인 수업 2" 학교도서관저널 2021

      31 백광호, "漢文科 問題中心學習法의 理論과 實踐"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9-39, 2019

      32 백수희, "e-러닝 환경에서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상호작용 기능의 설계 및 구현"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5 (5): 155-167, 2005

      33 Conrad, D., "University instructor’s reflection on their first online teaching experiences" 8 (8): 31-44, 2004

      34 Moore, M., "Three types of interaction" 3 (3): 1-6, 1989

      35 Argyris, C., "Theory in practice : increasing professional effectiveness" Jossey-Bass Publishers 1974

      36 Kemmis, S., "The Action Research Planner" Deakin University Press 1992

      37 Miles, M., "Qualitative data analysis : a source book of new methods" Sage 1984

      38 Barrows, H. S., "Problem-based learning : an approach to medicatl education" Springer 1980

      39 Hmelo-Silver, C. E., "Problem-based learning : What and how do students learn" 16 (16): 236-266, 2004

      40 Albanese, M. A., "Problem-based learning : A review of literature on its outcomes and implementation issues" 68 (68): 52-81, 1993

      41 최정임, "PBL로 수업하기" 학지사 2015

      42 Bouhnik, D., "Interaction in distance-leaning course" 57 (57): 299-305, 2006

      43 간진숙, "Flipped Learning 강좌 운영 사례분석 및 운영 모형 개발" 9 : 3-53, 2017

      44 Berge, Z. L., "Facilitation computer conferencing : recommendations from the field" 35 (35): 22-30, 1995

      45 바야르마, "A Case Study of Problem-Based Learning Application Using Google Classroom: Focused on Learning Korean" 한국산학기술학회 20 (20): 573-578,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3-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열린유아교육학회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5 2.35 2.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52 2.45 2.634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