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서울시 공식 유튜브 채널의 정책 홍보 콘텐츠 제작 전략 연구 : 로만 야콥슨의 의미생성 이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olicy Promotion Content Production Strategy of Seoul's Official YouTube Channel : Based on Roman Jakobson's Theory of Meaning Gene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1485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overnment agencies are putting out policies that are beneficial to the people. These policies promote policies to the public and encourage them to participate. Not only government agencies but also local governments are releasing many policies and promoting these policies using media platforms.
      In the modern society, due to the spread of smartphones, promotional media have also changed from existing legacy media to new platforms such as SNS. This is because more active policy promotion has become possible through the SNS platform.
      The purpose of policy promotion content is communicatio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policies can be increased through communication through content.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suggest a policy promotion content production strategy, focusing on Roman Jacobson's theory of meaning generation.
      Among the various local governments, Seoul's official YouTube is producing the most stable policy promotion contents. After selecting eight of these Seoul City YouTube contents as of 2023, analyzing the contents based on Roman Jakobson's theory of meaning generation, we will seek a direc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cont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YouTube content in Seoul minimizes brand exposure, employs appropriate performers, and strengthens the local identity of Seoul. There are also disadvantages such as lack of clarity of message, limitations in information delivery, and target inconsistency.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propose a new way to further subdivide the information to produce content, introduce various storytelling techniques, and produce content through planning that fits the topic.
      These studies lay the foundation for local governments' policy promotion content and make it possible to expect more qualitative research in the future.
      번역하기

      Government agencies are putting out policies that are beneficial to the people. These policies promote policies to the public and encourage them to participate. Not only government agencies but also local governments are releasing many policies and pr...

      Government agencies are putting out policies that are beneficial to the people. These policies promote policies to the public and encourage them to participate. Not only government agencies but also local governments are releasing many policies and promoting these policies using media platforms.
      In the modern society, due to the spread of smartphones, promotional media have also changed from existing legacy media to new platforms such as SNS. This is because more active policy promotion has become possible through the SNS platform.
      The purpose of policy promotion content is communicatio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policies can be increased through communication through content.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suggest a policy promotion content production strategy, focusing on Roman Jacobson's theory of meaning generation.
      Among the various local governments, Seoul's official YouTube is producing the most stable policy promotion contents. After selecting eight of these Seoul City YouTube contents as of 2023, analyzing the contents based on Roman Jakobson's theory of meaning generation, we will seek a direc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cont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YouTube content in Seoul minimizes brand exposure, employs appropriate performers, and strengthens the local identity of Seoul. There are also disadvantages such as lack of clarity of message, limitations in information delivery, and target inconsistency.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propose a new way to further subdivide the information to produce content, introduce various storytelling techniques, and produce content through planning that fits the topic.
      These studies lay the foundation for local governments' policy promotion content and make it possible to expect more qualitative research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정부 기관들은 국민에게 유익한 정책을 매년 내놓고 있다. 이러한 정책은 국민에게 정책을 홍보하면서 동시에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정부 기관 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에서도 많은 정책을 발표하고 미디어 플랫폼을 활용하여 이러한 정책을 홍보하고 있는 상황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해 홍보 매체도 기존의 TV, 라디오와 같은 전통적인 미디어에서 SNS와 같은 새로운 플랫폼으로 변화했다. SNS 플랫폼을 통해 보다 적극적인 정책 홍보가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정책 홍보 콘텐츠의 목적은 단연 소통이라고 할 수 있다. 콘텐츠 제작 및 홍보를 통한 소통은 정책 참여도를 높이기에 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로만 야콥슨의 의미생성 이론을 중심으로 정책 홍보 콘텐츠를 분석해서 제작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여러 지자체 중 서울시 공식 유튜브가 가장 안정적인 정책 홍보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다. 2023년 기준으로 이 중 8개의 서울시 유튜브 콘텐츠를 선정하여 로만 야콥슨의 의미생성 이론을 바탕으로 콘텐츠를 분석한 후 콘텐츠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방향을 모색하려고 한다.
      분석 결과, 서울의 유튜브 콘텐츠는 브랜드 노출을 최소화하고 적절한 출연자를 고용하며 서울의 지역 정체성을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시지의 명확성 부족, 정보 전달의 한계, 대상 불일치 등의 단점도 있다.
      이를 통해 콘텐츠 제작을 위해 정보를 더욱 세분화하고, 다양한 스토리텔링 기법을 도입하며, 주제에 맞는 기획을 통해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할 수 있었다.
      이 연구들을 통해 지방 정부의 정책 홍보 콘텐츠를 위한 기초를 마련하고, 앞으로 더 많은 질적 연구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정부 기관들은 국민에게 유익한 정책을 매년 내놓고 있다. 이러한 정책은 국민에게 정책을 홍보하면서 동시에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정부 기관 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에서도 ...

      정부 기관들은 국민에게 유익한 정책을 매년 내놓고 있다. 이러한 정책은 국민에게 정책을 홍보하면서 동시에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정부 기관 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에서도 많은 정책을 발표하고 미디어 플랫폼을 활용하여 이러한 정책을 홍보하고 있는 상황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해 홍보 매체도 기존의 TV, 라디오와 같은 전통적인 미디어에서 SNS와 같은 새로운 플랫폼으로 변화했다. SNS 플랫폼을 통해 보다 적극적인 정책 홍보가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정책 홍보 콘텐츠의 목적은 단연 소통이라고 할 수 있다. 콘텐츠 제작 및 홍보를 통한 소통은 정책 참여도를 높이기에 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로만 야콥슨의 의미생성 이론을 중심으로 정책 홍보 콘텐츠를 분석해서 제작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여러 지자체 중 서울시 공식 유튜브가 가장 안정적인 정책 홍보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다. 2023년 기준으로 이 중 8개의 서울시 유튜브 콘텐츠를 선정하여 로만 야콥슨의 의미생성 이론을 바탕으로 콘텐츠를 분석한 후 콘텐츠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방향을 모색하려고 한다.
      분석 결과, 서울의 유튜브 콘텐츠는 브랜드 노출을 최소화하고 적절한 출연자를 고용하며 서울의 지역 정체성을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시지의 명확성 부족, 정보 전달의 한계, 대상 불일치 등의 단점도 있다.
      이를 통해 콘텐츠 제작을 위해 정보를 더욱 세분화하고, 다양한 스토리텔링 기법을 도입하며, 주제에 맞는 기획을 통해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할 수 있었다.
      이 연구들을 통해 지방 정부의 정책 홍보 콘텐츠를 위한 기초를 마련하고, 앞으로 더 많은 질적 연구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 제2절 연구대상 7
      • 제3절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방법 12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 제2절 연구대상 7
      • 제3절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방법 12
      • 제2장 국내 지방자치단체의 정책 홍보와 로만 야콥슨의 의미생성 이론 20
      • 제1절 국내 지방자치단체의 정책 홍보 20
      • 1. SNS의 등장 및 확산 20
      • 2. 유튜브를 활용한 정책 홍보 23
      • 제2절 로만 야콥슨의 의미생성 이론 27
      • 1. 로만 야콥슨의 의미생성 이론 27
      • 2. 로만 야콥슨의 의미생성 이론 모델 적용 32
      • 제3장 서울특별시 정책 홍보 콘텐츠 제작 사례 분석 34
      • 제1절 서울시 유튜브 채널의 정책 홍보 콘텐츠 34
      • 1. 서울시 유튜브 채널 특징 35
      • 2. 인기 정책 홍보 콘텐츠 38
      • 제2절 서울시 정책 홍보 콘텐츠 사례 분석 30
      • 제4장 정책 홍보 콘텐츠 제작 개선 방안 80
      • 제1절 정책 홍보 콘텐츠 기획/제작을 위한 활성화 방안 80
      • 1. 기획 관점의 활성화 방안 83
      • 2. 제작 관점의 활성화 방안 85
      • 제5장 결 론 88
      • 참 고 문 헌 90
      • ABSTRACT 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