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21세기의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교과 교육의 과제 = Innovation of Secondary Education for the Enhancement of Competiveness in the 21st International Socie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0422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innovation of Korean secondary education. The suggestions were dervied from in - depth study regarding various subjects taught in secondary school, such as Korean language, Mathematics, Engl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innovation of Korean secondary education. The suggestions were dervied from in - depth study regarding various subjects taught in secondary school, such as Korean language, Mathematics, English, Social Studies and Science.
      Five kinds of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and answered by a total of 728 secondary teachers. The teachers were selected nation-wide by stratified cluster sampling method.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A student-centered teaching model of Korean language focusing on the improvement of c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was developed.
      Examples of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developing mathematical literacy were presented.
      Some suggestions for improving English education were proposed ;
      The curriculum should be established by both the top- down process from the educational administers and the curriculum developers, and the bottom-up process from the teachers : furthermore, the teachers should be allowed to adapt it for their own classes.
      Each school should be able to choose class- types; for example, small classes with less than 25 students, large classes with around 50 students, class placement by the students' proficiency, or team teaching. Multimedia English classrooms will be needed for more effective whole-class activities, group work, and individual work to overcome the problems with too many students in a class or with students with various proficiency in a class.
      The testing system should be changed completely, The entrance examinations for higher- level schools or nation-wide written tests should be abolished. Then, each city or district should have a center for testing and developing teaching aids to help teachers by providing listening test items and teaching aids, and administering direct testing for speaking or writing.
      Teacher qualifying examinations and reeducation programs for teachers should be changed to have better-qualified English teachers for the 21st C.
      A curricular and instructional model emphasizing the improvement of students' ability to dealing with various social problems was proposed.
      5) Various problems and issues in current science education were identified, and detailed suggestions to solve the problems and issues were proposed, which include entrance examinations,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development, gifted-student educatio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Ⅱ. 국어과 교육의 개선 방안 모색
      • 1. 연구의 방향
      • 2. 창의력 신장을 위한 학습자 중심의 문학 교수 - 학습 모형
      • 3. 사고력 신장을 위한 논술 교육의 방안
      • Ⅰ.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Ⅱ. 국어과 교육의 개선 방안 모색
      • 1. 연구의 방향
      • 2. 창의력 신장을 위한 학습자 중심의 문학 교수 - 학습 모형
      • 3. 사고력 신장을 위한 논술 교육의 방안
      • Ⅲ. 수학과 교육의 개선 방안 모색
      • 1. 연구의 방향
      • 2. 미래사회를 위한 수학과 교수 학습 방법의 모험 재발
      • 1) 수학교육에 있어서 문제 해결 능력의 중요성
      • 2) 수학 교수 학습에서 강조되어야 할 요소
      • 3) 교수 학습의 실제
      • Ⅳ. 영어과 교육의 재선 방안 모색
      • 1.연구의 방향
      • 2. 중학교 영어교육의 현활과 미래 사회를 위한 영어 교육 모형
      • 1) 중학교 영어 교육의 실태 조사
      • 2) 미래 사회를 위한 영어 교육 모형
      • Ⅴ. 사회과 교육의 개선 방안 모색
      • 1. 사회 문제를 중심으로한 사회과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
      • 2. 탐구 학습을 통한 사회과 학습지도의 개선 방안
      • 1. 사고력 개발을 위한 사례연구
      • 2. 상황분석 학습을 위한 사례연구
      • Ⅵ. 과학과 교육의 개선 방안 모색
      • 1. 연구의 방향
      • 2. 과학과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1) 일반 과학 교육 영역
      • 2) 과학 영재 교육 영역
      • Ⅶ. 결론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