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만희, "현행헌법상 대통령선거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23) : 1997
2 신우철, "현행 대통령제에 관한 몇 가지 생각 - 우리 헌정사의 경험을 반추하면서 -" 42 (42): 2000
3 신우철, "헌정사연구(抄)-건국헌법에서 현행헌법까지" 9 (9): 2002
4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2022
5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22
6 허 영, "헌법이론과 헌법" 박영사 2018
7 임지봉, "헌법상 통치구조 개헌의 바람직한 방향과 내용"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4 (14): 207-226, 2008
8 음선필, "헌법상 정치권력구조의 재구성 - 대안으로서의 균형형 대통령제 -" 법학연구소 19 (19): 117-159, 2018
9 신우철, "헌법과학 : 새로운 방법론의 탐색" 동현출판사 2002
10 김종철, "헌법개정의 정치학: 87년 체제의 평가와 헌법개정의 조건 및 방향" 법과사회이론학회 (55) : 171-206, 2017
1 정만희, "현행헌법상 대통령선거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23) : 1997
2 신우철, "현행 대통령제에 관한 몇 가지 생각 - 우리 헌정사의 경험을 반추하면서 -" 42 (42): 2000
3 신우철, "헌정사연구(抄)-건국헌법에서 현행헌법까지" 9 (9): 2002
4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2022
5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22
6 허 영, "헌법이론과 헌법" 박영사 2018
7 임지봉, "헌법상 통치구조 개헌의 바람직한 방향과 내용"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4 (14): 207-226, 2008
8 음선필, "헌법상 정치권력구조의 재구성 - 대안으로서의 균형형 대통령제 -" 법학연구소 19 (19): 117-159, 2018
9 신우철, "헌법과학 : 새로운 방법론의 탐색" 동현출판사 2002
10 김종철, "헌법개정의 정치학: 87년 체제의 평가와 헌법개정의 조건 및 방향" 법과사회이론학회 (55) : 171-206, 2017
11 김문현, "헌법개정의 기본방향" 한국공법학회 34 (34): 49-82, 2006
12 정재황 ; 송석윤, "헌법개정과 정부형태" 한국공법학회 34 (34): 155-182, 2006
13 송기춘, "헌법개정 논의에 붙여: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한국헌법학회 16 (16): 193-228, 2010
14 김영수, "한국헌법사" 학문사 2000
15 김현우, "한국정당통합운동사" 을유문화사 2000
16 정종섭, "한국의 대통령제 정부형태: 그 제도와 현실" 3 : 2001
17 박상훈, "한국의 '87년 체제': 민주화 이후 한국 정당체제의 구조와 변화" 아세아문제연구원 49 (49): 7-41, 2006
18 박찬욱, "한국권력구조의 이해" 나남 2004
19 박찬욱, "한국 통치구조의 변경에 관한 논의 : 대통령제의 정상적 작동을 위하여" 13 (13): 2004
20 함성득, "한국 대통령제의 발전과 권력구조 개편: ‘4년 중임 정ㆍ부통령제’ 도입에 관한 소고" 법학연구소 50 (50): 203-234, 2009
21 Huntington, Samuel P., "제3의 물결 : 20세기 후반의 민주화" 인간사랑 2011
22 김정현, "정치적・사회적 갈등의 통합을 위한 권력구조 및 선거제도 개선방안 – 제20대 대통령선거를 중심으로 –" 한국헌법학회 28 (28): 1-55, 2022
23 장영수, "정부형태의 선택 기준과 분권형 정부형태의 적실성" 법학연구원 (86) : 237-270, 2017
24 신우철, "정부형태, 과연 바꾸어야 하는가? - 최근 개헌론에 대한 헌법공학적 비판과 대안 -" 한국헌법학회 8 (8): 451-480, 2002
25 임지봉, "정부형태 개헌의 필요성과 방향" 한국헌법학회 16 (16): 79-103, 2010
26 전학선, "이원정부제의 도입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토지공법학회 41 : 411-434, 2008
27 김정현, "이원정부제" 금붕어 2009
28 정만희, "의원내각제 개헌론에 대한 비판적 분석" 6 (6): 2000
29 김정현, "오스트리아의 권력구조와 연립정부" 한국헌법학회 21 (21): 389-434, 2015
30 김정현, "선거주기와 헌법개정" 한국헌법학회 20 (20): 255-305, 2014
31 김정현, "분점정부에 관한 헌법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32 김정현, "분권형 대통령제 개헌논의와 핀란드의 정부형태" 한국헌법학회 24 (24): 97-136, 2018
33 이철승, "민주화 세대의 집권과 불평등의 확대" 2018
34 Dahl, Robert A, "민주주의" 동명사 2013
35 Dahl, Robert A, "미국헌법과 민주주의" 후마니타스 2007
36 강원택, "대통령제, 내각제와 이원정부제" 인간사랑 2006
37 김정현, "대통령선거의 결선투표제에 대한 헌법정책론적 접근" 한국헌법학회 25 (25): 143-181, 2019
38 음선필, "대통령선거 및 국회의원선거의 선거주기― 정치권력의 시간적 배분 ―" 한국헌법학회 13 (13): 107-156, 2007
39 정태호, "대통령 임기제 개헌의 필요성과 정당성" 한국헌법학회 13 (13): 1-60, 2007
40 김정현, "대통령 개헌안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정부형태 및 선거주기를 중심으로 ―" 한국공법학회 47 (47): 163-199, 2018
41 최장집, "다시 한국 민주주의를 생각한다 : 위기와 대안" 한국정치연구소 29 (29): 1-26, 2020
42 성낙인, "권력의 민주화와 정부형태 - 한국형 이원정부제(반대통령제) -" 15 : 1997
43 양동훈, "군부와 민주화 : 브라질과 아르헨티나 비교분석" 3 : 1990
44 임지봉, "개헌의 바람직한 방향 ― 정부의 개헌시안에 대한 비판적 분석과 기본권규정 개정을 중심으로 ―" 한국헌법학회 13 (13): 327-360, 2007
45 정종섭, "韓國에서의 大統領制政府와 持續可能性 - 憲法政策論的 接近 -" 법학연구소 53 (53): 447-496, 2012
46 손호철, "‘한국체제’ 논쟁을 다시 생각한다: 87년 체제, 97년 체제, 08년 체제론을 중심으로" 극동문제연구소 25 (25): 31-59, 2009
47 신우철, "‘반 대통령제’ 개헌론 재고(再考): 제도적-행태적 비교연구에 근거한 비판적 헌법정책론" 법과사회이론학회 (40) : 171-202, 2011
48 Linz, Juan J, "The perils of presidentialism" 1 (1): 1990
49 Paloheimo, Heikki, "The Rising Power of the Prime Minister in Finland" 26 (26): 2003
50 Schlesinger, Arthur M, "The Imperial Presidency" Mariner Books 2004
51 Linz, Juan J., "The Failure of Presidential Democracy: Comparative Perspectives" Baltimore and London: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4
52 Sartori, Giovanni, "The Failure of Presidential Democracy: Comparative Perspectiv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4
53 Shugart, Matthew Soberg, "Presidents and assemblies: constitutional design and electoral dynam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54 Blondel, Jean, "Parliamentary versus Presidential Government" Oxford University Press 1992
55 Levitsky, Steven, "How Demacracies Die" Broadway Books 2019
56 Gastil, Raymond D, "Freedom in the World: Political Right and Civil Liberties" Freedom House 1980
57 Sartori, Giovanni, "Comparative Constitutional Engineering: an Inquiry into Structures, Incentives, and Outcomes" New York University Press 1997
58 박명림, "87년 헌정체제 개혁과 한국민주주의: 무엇을, 왜, 어떻게 바꿀 것인가" (겨울) : 2005
59 한상희, "87년 헌법의 헌정사적 의미와 과제" 헌법재판연구원 9 (9): 3-31, 2022
60 송석윤, "4월 혁명의 헌정사적 영향과 의회민주주의 실현의 과제 - 헌법개정 및 정치개혁과 관련하여 -" 한국헌법학회 16 (16): 147-192, 2010
61 장영수, "2018년 3월 26일 발의된 대통령 개헌안의 문제점 ― 권력구조를 중심으로 ―" 한국공법학회 46 (46): 1-27,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