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2차 교육과정기 한국 고대사 연구와 국사교과서의 서술 검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596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교육과정 및 편수·운영 자료의 고대사 서술 검토
      • Ⅲ.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의 고대사 서술 분석
      • Ⅳ. 고대사 교육내용의 변화
      • Ⅴ. 맺음말
      • Ⅰ. 머리말
      • Ⅱ. 교육과정 및 편수·운영 자료의 고대사 서술 검토
      • Ⅲ.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의 고대사 서술 분석
      • Ⅳ. 고대사 교육내용의 변화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국문요약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신, "해제_중‧고등학교 국사교육개선을 위한 기본방향" 36 : 2016

      2 박진동, "해방후 현대사 교육 내용 기준의 변천과 국사교과서 서술" 역사학회 (205) : 37-75, 2010

      3 최병택, "해방 후 역사 교과서의 3·1운동 관련 서술 경향" 한국역사연구회 (74) : 265-297, 2009

      4 조성운, "해방 후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근대 교통사 서술의 변천" 역사교과서연구소 (21) : 359-424, 2015

      5 김태웅, "해방 후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에서 1894년 농민전쟁 서술의 변천" 역사교육연구회 (133) : 223-256, 2015

      6 이수정, "해방 이후 국사 교과서의 가야사 서술 변천" 역사교과서연구소 (19) : 167-198, 2014

      7 조성운, "해방 이후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신간회 서술 변천" 역사실학회 (57) : 419-456, 2015

      8 역사학회, "한국사의 회고와 전망Ⅰ" 역사학회 1996

      9 김정학, "한국문화사대계1" 1964

      10 김정학, "한국문화 형성의 재인식" 1968

      1 장신, "해제_중‧고등학교 국사교육개선을 위한 기본방향" 36 : 2016

      2 박진동, "해방후 현대사 교육 내용 기준의 변천과 국사교과서 서술" 역사학회 (205) : 37-75, 2010

      3 최병택, "해방 후 역사 교과서의 3·1운동 관련 서술 경향" 한국역사연구회 (74) : 265-297, 2009

      4 조성운, "해방 후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근대 교통사 서술의 변천" 역사교과서연구소 (21) : 359-424, 2015

      5 김태웅, "해방 후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에서 1894년 농민전쟁 서술의 변천" 역사교육연구회 (133) : 223-256, 2015

      6 이수정, "해방 이후 국사 교과서의 가야사 서술 변천" 역사교과서연구소 (19) : 167-198, 2014

      7 조성운, "해방 이후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신간회 서술 변천" 역사실학회 (57) : 419-456, 2015

      8 역사학회, "한국사의 회고와 전망Ⅰ" 역사학회 1996

      9 김정학, "한국문화사대계1" 1964

      10 김정학, "한국문화 형성의 재인식" 1968

      11 신주백, "한국근현대사에서 고구려와 발해에 관한 인식 - 역사교과서를 중심으로 -" 한국역사연구회 (55) : 101-130, 2005

      12 국립중앙도서관, "한국교과서목록, 1945-1979"

      13 김정배, "한국고대의 국가기원과 형성" 고려대출판부 1986

      14 차미희, "한국 중‧고등학교의 국사교육" 교육과학사 2011

      15 문교부, "편수자료 5"

      16 孫寶基, "층위를 이룬 석장리구석기문화" 36·37 : 1967

      17 김한종, "지배이데올로기와 국사교과서 해방 이후 국사교과서의 변천과 지배이데올로기" 15 : 1991

      18 김용섭, "중‧고등학교 국사교육개선을 위한 기본방향"

      19 "중·고등학교 교육과정 주석(1968년 9월 개정 1970년 3월 시행)" 배영사 1970

      20 조성운, "제2차 교육과정의 제정과 국사교과서의 편찬" 고려사학회 (66) : 329-373, 2017

      21 이부오, "제1차~제7차 교육과정기 국사교과서에 나타난 고대 영토사 인식의 변화" 한국고대사탐구학회 (4) : 225-267, 2010

      22 최남선, "육당최남선전집2" 현암사 1973

      23 金容燮, "우리나라 近代歷史學의 발달2-1930, 40년대의 實證主義史學" (가을) : 1972

      24 신선혜, "신라의 불교 전래와 교단의 확립" 한국불교연구원 (33) : 159-194, 2010

      25 이기백, "신라시대의 국가불교와 유교" 일조각 1978

      26 李基白, "신라사상사연구" 일조각 1986

      27 손보기, "석장리이외의 구석기 문화분포가능성" 7 : 1969

      28 이병도, "삼한문제의 신고찰(2)" 3 : 1935

      29 김원룡, "삼국시대의 개시에 관한 일고찰" 7 : 1967

      30 조성운, "반공주의적 한국사 교육의 성립과 강화 - 미군정기~제4차 교육과정기를 중심으로 -" 한국민족운동사학회 (82) : 227-260, 2015

      31 장영민, "박정희 정권의 국사교육 강화 정책에 관한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34 (34): 447-489, 2007

      32 문교부, "민족주체성 확립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지침"

      33 조성운, "민족종교의 두 얼굴" 선인출판사 2015

      34 서인원, "동학농민운동의 한국사 교과서 서술 내용 분석­-제1차∼제7차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숭실사학회 (32) : 165-220, 2014

      35 都宥浩, "굴포리 서포항동 발굴 보고" 2 : 1963

      36 이신철, "국사 교과서 정치도구화의 역사 ―이승만ㆍ박정희 독재정권을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97) : 177-209, 2006

      37 양정현, "국사 교과서 고대사 서술에서 민족·국가 인식의 변천" 한국고대사학회 (52) : 117-154, 2008

      38 신주백, "국민교육헌장의 역사(1968-1994)" 한국민족운동사학회 45 : 295-328, 2005

      39 신주백, "국민교육헌장 이념의 구현과 국사 및 도덕과 교육과정의 개편 (1968~1994)" 15 : 2005

      40 이홍우,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선을 위한 기초 연구" 문교부 1979

      41 "고등학교 및 사범학교 교과과정(문교부령 제46호 별책 단기 4288년 8월 1일 제정)"

      42 "고등학교 교육과정(문교부령 제121호)"

      43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문교부령 제121호 1963년 2월 15일 공포)"

      44 금경숙, "고등학교 「국사」교과서 내용분석 -고대사 부분을 중심으로-" 강원사학회 (8) : 25-42, 1992

      45 서의식, "고대‧중세초 지배세력연구의 동향과 「국사」 교과서의 서술" 45 : 1989

      46 하일식, "고교 ‘국사’의 발행제 변천과 전근대 서술 ―권력의 의도와 교과서 서술―" 한국역사연구회 (92) : 53-80, 2014

      47 德永重康, "豆滿江沿岸潼關鎭發掘物調査報告" 2 (2): 1-43, 1939

      48 김정인, "解放 以後 國史 敎科書의 ‘正統性’ 인식 - 日帝 强占期 民族運動史 서술을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85) : 2003

      49 尹武炳, "濊貊考" 1 : 1966

      50 金貞培, "濊貊族에 關한 硏究" 5 : 1968

      51 林炳泰, "李弘稙博士回甲紀念韓國史論叢" 1969

      52 直良信夫, "朝鮮潼關鎭發掘舊石器時代ノ遺物" 6 (6): 1-12, 1940

      53 藤田亮策, "朝鮮の石器時代" 18 : 1942

      54 金映遂, "曹溪禪宗에 就하야" 9 : 1938

      55 孫寶基, "公州 石壯里 無土器文化" 6 (6): 1965

      56 金映遂, "五敎兩宗에 對하여" 8 : 1937

      57 千寬宇, "三韓의 國家形成(上)" 2 : 1976

      58 김영태, "三國遺事所傳의 新羅佛敎思想硏究" 신흥출판사 1979

      59 윤용구, "1920~1930년대 한사군의 위치논쟁, In 한군현 및 패수 위치 비정에 관한 논의" 2015

      60 민영규, "(고등학교)최신 국사" 양문사 1968

      61 이현희, "(고등학교)최신 국사" 실학사 1968

      62 윤세철, "(고등학교)새로운 국사" 정음사 1968

      63 이홍직, "(고등학교)국사" 동아출판사 1968

      64 한우근, "(고등학교)국사" 을유문화사 1968

      65 이병도, "(고등학교)국사" 일조각 1968

      66 이상옥, "(고등학교)국사" 문호사 1968

      67 신석호, "(고등학교)국사" 광명출판사 1968

      68 변태섭, "(고등학교)국사" 법문사 1968

      69 이원순, "(고등학교)국사" 교학사 1968

      70 김상기, "(고등학교)국사" 장왕사 196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6-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5-10-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역사와교육학회 역사와교육 -> 역사와교육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