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Ⅰ. 머리말
- Ⅱ. 아산지역 동학의 포교와 조직화
- Ⅲ. 아산지역의 동학농민혁명과 동학농민군의 활동
- Ⅳ. 아산대접주 안교선과 최후의 모습
- Ⅴ. 맺음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259649
성주현 (청암대학교)
2017
Korean
동학 ; 동학농민혁명 ; 아산 ; 내포지역 ; 공주 ; 안교선 ; 남벌원 ; 동경대전 ; 교조신원운동 ; 최재호 ; 김개남 ; 서소문 ; 덕산기 포 ; 원벌기포 ; Donghak ; Donghak Peasant Revolution ; Asan ; Naepo region ; Gongju ; An Gyoseon ; Nambeolwon ; Dong-Kyung Da-jun ; Donghak's Founder Remission Movement ; Choi Jaeho ; Kim Gaenam ; Seosomun ; Deoksangipo ; Wonbeolgipo
374
KCI등재
학술저널
215-243(29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비숍, "한국과 그 이웃나라들" 도서출판 살림 2012
2 이이화, "충청도 예산 동학농민혁명" 모시는사람들 2014
3 "최선생문집도원기서"
4 윤석산, "초기동학의 역사-도원기서" 신서원 2000
5 "천도교회사초고"
6 "천도교창건사"
7 "천도교서"
8 "주한일본공사관기록 1" 국사편찬위원회 1986
9 김문자, "전봉준의 사진과 무라카미 텐신(村上天眞) -동학지도자를 촬영한 일본인 사진사-" 한국사연구회 (154) : 233-254, 2011
10 "일성록"
1 비숍, "한국과 그 이웃나라들" 도서출판 살림 2012
2 이이화, "충청도 예산 동학농민혁명" 모시는사람들 2014
3 "최선생문집도원기서"
4 윤석산, "초기동학의 역사-도원기서" 신서원 2000
5 "천도교회사초고"
6 "천도교창건사"
7 "천도교서"
8 "주한일본공사관기록 1" 국사편찬위원회 1986
9 김문자, "전봉준의 사진과 무라카미 텐신(村上天眞) -동학지도자를 촬영한 일본인 사진사-" 한국사연구회 (154) : 233-254, 2011
10 "일성록"
11 "이조전란사"
12 이인화, "의병과 동학" 민속원 2008
13 "아산지역 동학농민혁명"
14 신정일,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 5 : 충청도" 2017
15 "신인간"
16 "시천교종역사"
17 "승정원일기"
18 "속음청사"
19 김진필, "서산·태안지역의 동학농민전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1
20 "본교역사"
21 "메사마시신문"
22 황현, "동학란(동비기략초고)" 을유문화사 1985
23 "동학도종역사"
24 "동학농민혁명 국역총서 4"
25 "동학농민혁명 국역총서 1"
26 성주현, "동학과 동학혁명의 재인식" 국학자료원 2010
27 표영삼, "동학 2" 통나무 2005
28 표영삼, "교리교사연구 5" 천도교중앙총부 2000
29 "고종실록"
30 성주현, "洪景萬敎授停年紀念 韓國史學論叢" 韓國史學論叢刊行委員會 2002
31 "時事新報"
32 이진영, "忠淸道 內浦地域의 동학농민전쟁 전개양상과 특성" 한국동학학회 14 : 25-60, 2003
제2차 교육과정기 고등학교 국사교과서의 발행과 서술 변화
제2차 교육과정기 ‘사회2’에 적용된 중학교 역사의 통합 방식과 검정 교과서의 내용 구성
제2차 교육과정기 한국 고대사 연구와 국사교과서의 서술 검토
제2차 교육과정기 민족주체성 교육의 시행과 국사교과서 근현대사 서술내용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