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Ⅰ. 머리말
- Ⅱ. 중학교 사회과의 통합 방식과 검정 교과서 발행
- Ⅲ. 중학교 역사 교과서의 한국사와 세계사 내용 통합 분석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한식, "해방후 세계사 교육과정의 변천과 문제점" 61 : 1997
2 조미영, "해방 후 國史敎科의 社會科化와 ‘國史科’의 置廢" 역사교육연구회 (98) : 35-64, 2006
3 최재호, "한국사와 연계한 세계사, 세계사와 연계한 한국사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역사』 내용구성방안-" 역사교육학회 (40) : 119-160, 2008
4 허강, "한국 편수사 연구(Ⅰ)" 한국교과서연구재단 2000
5 차미희, "한국 중․고등학교의 국사교육: 국사과 독립 시기(1974~1994)를중심으로" 교육과학사 2011
6 옥일남, "한국 사회과교육과정의 시기별 특징 고찰: 초·중·고 교수요목기에서 2015개정교육과정기까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 (20): 57-86, 2017
7 유봉호, "한국 교육과정사 연구" 교학연구사 1992
8 함종규, "한국 교육과정 변천사 연구" 교육과학사 2003
9 이선근, "지상좌담:개정된 교육과정과 역사교육의 제문제" 9 : 1966
10 정소영, "중학교 역사(상) 교과서의 세계사와 한국사 연계성 분석과 활용 방안" 역사교육학회 (47) : 85-130, 2011
1 김한식, "해방후 세계사 교육과정의 변천과 문제점" 61 : 1997
2 조미영, "해방 후 國史敎科의 社會科化와 ‘國史科’의 置廢" 역사교육연구회 (98) : 35-64, 2006
3 최재호, "한국사와 연계한 세계사, 세계사와 연계한 한국사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역사』 내용구성방안-" 역사교육학회 (40) : 119-160, 2008
4 허강, "한국 편수사 연구(Ⅰ)" 한국교과서연구재단 2000
5 차미희, "한국 중․고등학교의 국사교육: 국사과 독립 시기(1974~1994)를중심으로" 교육과학사 2011
6 옥일남, "한국 사회과교육과정의 시기별 특징 고찰: 초·중·고 교수요목기에서 2015개정교육과정기까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 (20): 57-86, 2017
7 유봉호, "한국 교육과정사 연구" 교학연구사 1992
8 함종규, "한국 교육과정 변천사 연구" 교육과학사 2003
9 이선근, "지상좌담:개정된 교육과정과 역사교육의 제문제" 9 : 1966
10 정소영, "중학교 역사(상) 교과서의 세계사와 한국사 연계성 분석과 활용 방안" 역사교육학회 (47) : 85-130, 2011
11 강우철, "중학교 새사회2" 탐구당 1968
12 김성근, "중학교 사회Ⅱ" 교육출판사
13 변태섭, "중학교 사회Ⅱ" 법문사 1966
14 김상기, "중학교 사회Ⅱ" 장왕사 1968
15 문교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16 문교부, "중학교 교육과정"
17 전해종, "중학 새사회2" 민중서관 1965
18 이홍직, "중학 사회2" 동아출판사
19 조좌호, "중학 사회2" 영진문화사 1967
20 서명원, "중등교육의 제문제 –교원연수자료-" 교학도서주식회사 1963
21 양정현, "중등 역사과에서 한국사와 외국사의 연계 논리와 형식" 한국역사교육학회 (23) : 87-116, 2015
22 박평식, "조선시대사 연구의 성과와 국사교육" 역사교육연구회 (125) : 337-360, 2013
23 조성운, "제2차 교육과정의 제정과 국사교과서의 편찬" 고려사학회 (66) : 329-373, 2017
24 나영길, "제2차 교육과정기 중학교 역사교과서 구성 분석 : 국사·세계사 통합 구성에 주목하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25 방지원, "역사교육의 계열화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6
26 이원순, "역사교육연구회 50년을 회고하며 (1)" 역사교육연구회 (97) : 1-16, 2006
27 김한종, "역사교육과정과 교과서연구" 선인 2006
28 최상훈, "역사과 독립의 필요성과 내용조직 방안" 35 : 2003
29 이정인, "역사과 교육과정" 13 : 1970
30 이원순, "역사과 교육" 한국능력개발사 1977
31 이원순, "새로운 중학 사회2" 정음사 1967
32 황철수, "새로운 사회2" 사조사 1967
33 박성봉, "새로운 사회2" 홍지사 1968
34 강우철, "사회생활과 학습지도" 일조각 1962
35 최용규, "사회과 중등교육과정론" 22 : 1989
36 안영순, "사회과 교육학자로서의 강우철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37 강우철, "사회과 교육" 현대교육총서출판사 1963
38 한우근, "사회2" 일조각 1967
39 최상훈, "문․이과 통합 역사과 교육과정 재구조화 연구" 교육부 정책연구 2014
40 천은수, "국사와 세계사 교육의 연계 방안 모색" 11 : 2005
41 방지원, "국사교육에 나타난 한국사와 세계사의 연계" 한국역사교육학회 (7) : 117-143, 2008
42 김한종, "교육과정 구성 논리로 본 2015개정역사교육과정의 쟁점" 한국역사교육학회 (23) : 7-49, 2015
43 박진동, "解放後 歷史敎科書 發行制度의 推移" 역사교육연구회 (91) : 25-50, 2004
44 김한종, "<역사>교과서 단원구성을 위한 한국사와 세계사의 연계 방안"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5 (15): 123-148, 2008
45 양정현, "2015 역사과 교육과정의 논리와 구성" 역사문제연구소 (113) : 262-287, 2015
46 남한호, "2015 개정 중학교 역사 교육과정의 내용 구성 방식과 그 특징" 역사교육학회 (60) : 3-42, 2016
47 방지원,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한국사 - ‘힘을 가진 그들’의 역사를 반복하다" 역사문제연구소 (113) : 288-318, 2015
48 진재관,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시안 개발 연구Ⅱ: 역사과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49 권점례,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적용방안(Ⅰ) - 초․중학교를 중심으로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제2차 교육과정기 고등학교 국사교과서의 발행과 서술 변화
제2차 교육과정기 한국 고대사 연구와 국사교과서의 서술 검토
제2차 교육과정기 민족주체성 교육의 시행과 국사교과서 근현대사 서술내용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