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상담수련생인 나의 자아초월 경험을 하였는지 이해하고 이러한 경험이 나의 삶 속에서 어떠한 의미였는지를 밝혀보는 연구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 문제를‘상담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상담수련생인 나의 자아초월 경험을 하였는지 이해하고 이러한 경험이 나의 삶 속에서 어떠한 의미였는지를 밝혀보는 연구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 문제를‘상담수...
본 연구는 상담수련생인 나의 자아초월 경험을 하였는지 이해하고 이러한 경험이 나의 삶 속에서 어떠한 의미였는지를 밝혀보는 연구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 문제를‘상담수련생인 나는 어떠한 자아초월 경험을 해왔는가?’로 설정하였다. 나의 삶속에서 자아초월 경험을 다루고 세밀하게 파악하기 위해 질적 연구 방법의 하나인 자문화기술지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거대한 자연>, <주마등>, <자각몽>, <몰입>, <트랜스퍼스널 브레스 워크>로 5가지 범주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범주는 거대한 자연이 주는 영성과 관련한 주제다. 이러한 거대한 자연과 함께 살아갔던 나의 청소년기의 경험은 나의 자아초월 경험에서 중요한 주제로 등장하고 있었다. 두 번째 범주 ‘주마등’은 죽음과 관련된 주제이다. 나의 죽음은 타살과 자살의 경계선에 존재했고 정신을 잃게 된다. 살아있다는 감각이 돌아왔을 때 삶의 무의미, 죽음의 편안함과 두려움에 대한 혼란을 경험하며 다양한 영성 경험에 빠져드는 계기가 된다. 세 번째 범주는 자각몽으로 꿈속에서 나 자신의 또 다른 모습과 마주하는 계기가 되고 나의 미해결 과제인 괴롭힘에 대한 불안과 돌아가신 할머니에 대한 죄책감을 해결할 수 있었다. 네 번째 범주인‘몰입’에서는 상담수련생으로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 지에 대한 성찰적으로 고뇌하는 시간이 되었다. 마지막 범주인 트랜스퍼스널 브레스 워크는 신비한 체험이라 단순히 생각되는 영적인 경험들에 의미를 부여하게 하였고 이를 통해 포기하지 않도록 돕는 근원적인 힘을 제공하고 있었다.
해당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적인 체험을 특정한 소수만 경험한다는 틀에서 벗어나 나 자신의 경험들을 밝혀 그 과정에서 감정, 사고, 생가들이 상담수련생에게 어떠한 의미가 있었는지를 볼 수 있다. 둘째, 과거의 기억을 재해석하고 미해결과제의 해결과 성장을 확인했다는 점이다. 셋째, 상담수련생이 당면하는 다양한 과제들에 자아초월 경험이 어떠한지를 밝힌 것에 있다. 넷째, 특정 종교적 관점에서 영성을 다루지 않은 것에 의의가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